소개글
"노인교육학의 기본모형 및 범위에 대해 정리한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노인교육학의 정의와 목적
3. 노인교육학의 기본모형 및 범위
3.1. 노인을 위한 교육
3.2. 노인에 관한 교육
3.3. 노인에 의한 교육
3.4. 세대공동체 교육
4. 노인교육의 구체적인 사례 및 프로그램
4.1. 노인에 관한 교육 프로그램
4.2. 노인에 의한 교육 프로그램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현대사회에 들어와서 의료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평균수명이 길어지게 되면서 점점 더 고령사회가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서 개인의 삶에서 노년기의 비중이 증가하게 되었고 고령인구가 늘어나게 되면서 이들에 대한 노인교육의 필요성 또한 증가하게 되었다. 현재 우리나라는 평생학습사회를 지향하면서 노인교육을 실천하기 위한 사회적 인프라를 갖추려고 하고 있지만 고령화로 인한 노인인구 증가와 평생학습사회화의 분위기 속에서 오히려 노인교육이 사각지대에 갇히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는 노인교육을 단순히 노인복지 측면에서 바라보고 이를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차원에서 잘못 해석하는 것에서 비롯되는 것으로서 노인교육학이 성장하기 좋은 환경을 갖추고 있지만 해석의 오류로 인하여 실질적으로 노인교육이 학문적으로나 실천적으로나 자리를 제대로 잡지 못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이처럼 현대사회에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노인교육학에 대해서 구체적인 기본 모형과 범위에 대하여 정리해보고자 한다.
2. 노인교육학의 정의와 목적
노인교육학이란 노인을 위한 교육, 노인에 관한 교육, 노인에 의한 교육, 세대공동체 교육을 의미한다. 이는 모든 세대가 공통된 목표를 가지면서 함께 배우는 것에 관해 실천하고 연구하는 것을 뜻한다. 협의적으로는 노인기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노년기 교육을 말하며, 광의적으로는 노인을 위한 교육이나 노인에 관한 교육, 노인에 의한 교육 전체를 포함하고 있다.
노인교육을 하는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화에 대해서 노인들이 적절히 대응하고 준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둘째, 노인 세대와 젊은 세대 사이에서의 이해를 증진시키는 것이다. 셋째, 모든 연령에 있는 개인들이 자신의 발달단계에서 잠재력을 최대치로 발휘하도록 하고 효과적으로 적응하도록 하는 것이다. 넷째, 노인들이 가지고 있는 잠재력을 개발하면서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고 건강하면서 생산적으로 삶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필요한 지식을 제공하는 것이다. []
3. 노인교육학의 기본모형 및 범위
3.1. 노인을 위한 교육
노인을 위한 교육은 노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교육적 실천 및 연구를 포함한다. 노인을 위한 교육은 기본적으로 노인들이 이미 습득한 기술을 유지하고 나아가 새로운 기술적 변화에 효과적으로 적응하는 수단일 뿐만 아니라, 삶에서의 자기만족, 목적의식, 자아정체성을 강화시키는 과정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즉, 해당 교육은 개인 및 집단이 자신의 삶과 지역, 그리고 전체 사회 속에서 힘을 갖도...
참고 자료
허정무. (2007). 노인교육학개론. 양서원.
한정란. (2015). 노인교육론. 학지사.
최운실, 노인교육론, 양서원, 2017.
최은수,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론, 공동체, 2016.
최나영, 퇴직준비교육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포스코, 정년 퇴직 예정자 대상 인생설계 교육 'GLD(Green Life Design)' 진행, 월간HRD, 2024.4.11.
한국노인인력개발원 홈페이지
https://www.kordi.or.kr/main.do
허정무(2007). 노인교육학개론. 양서원.
한정란(2008). 노인교육의 이해. 학지사.
박대복, 조연숙, 홍승혜(2017). 서울시 50+세대 젠더관점의 은퇴 및 노후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울시50플러스재단.
정재갑(2020). 노인교육의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21.
노인교육학 교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