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간호학남양주사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최초 생성일 2025.05.21
11,5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지역사회간호학남양주사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지역사회 간호과정
1.1. 지역사회 사정
1.1.1. 지리적 특성
1.1.2. 인구학적 특성
1.1.3. 건강수준
1.1.4. 환경적 특성
1.1.5. 지역사회 자원
1.2. 자료분석 및 요약(SWOT)

2. 지역사회 간호진단
2.1. 지역사회 건강문제 진단
2.2. 지역사회 간호기준과 업무지침 확인
2.3. 지역사회 건강문제 우선순위 설정
2.4. 우선순위 건강문제 논리모형

3. 지역사회 간호계획
3.1. 목표설정
3.2. 방법이나 수단의 선택
3.3. 수행계획
3.4. 평가계획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지역사회 간호과정
1.1. 지역사회 사정
1.1.1. 지리적 특성

남양주시는 수도권 동북부에 위치하고 있다. 면적은 458.1㎢로, 경기도 전체 면적의 4.5%를 차지하는 중소 규모의 시가지가 분산된 다핵도시이다. 동쪽으로는 양평군과 가평군, 서쪽으로는 서울특별시, 의정부시, 구리시, 남쪽으로는 하남시와 광주시, 북쪽으로는 포천시와 접하고 있다. 북부 생활권은 3기 신도시(왕숙 신도시) 개발 예정으로 도시화가 진행 중이며, 2022년 3월에 지하철 4호선이 연장 개통되어 접근성이 향상되었다. 남부 생활권은 도시화 지역으로 경춘국도를 따라 도시가 형성되어 서울의 광진구, 강동구, 송파구와의 접근성이 좋다. 동부 생활권은 관광 농업지역이며 상수원 보호구역이 있어 개발이 제한된 지역이다. 기후는 겨울철 한랭 건조, 여름철 고온다습한 특징을 보인다.


1.1.2. 인구학적 특성

남양주시의 총인구수는 2022년 10월 말 기준 737,352명이며, 지난 10년간 평균 인구증가율은 2.0%이다. 남녀 인구구성비는 49.7 : 50.3으로 여성 인구가 남성 인구보다 많다. 중장년 40대가 전체 인구의 17.91%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합계출산율은 0.834로 경기도 0.853에 비해 낮으며, 사망률 또한 2021년 290명으로 경기도 288명보다 높다. 조사망률 5.2명으로 경기도의 5.0명보다 높고, 조출생률 인구 천명당 5.0명으로 경기도 5.7보다 낮으며, 조혼인율 3.4%로 경기도 4.1%보다 낮으나 조이혼율 2.2%는 경기도 2.0%보다 높다. 지난 4년간 독거노인 비율이 6.3%, 기초생활보장수급자 비율이 3.2%, 등록장애인 수가 4.4% 증가하는 추세이다. 노인인구는 총인구 대비 2021년 14.5%, 2022년 15.2%로 2021년에 고령사회에 진입했으며, 유소년부양비는 감소하는 반면 노년부양비가 증가하고 있다.


1.1.3. 건강수준

남양주시의 전반적인 건강수준을 살펴보면, 사망원인으로는 악성 신생물(암)이 가장 높으며, 그 다음으로 뇌혈관질환, 심장질환, 노쇠, 고의적 자해(자살) 등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연령표준화 사망률은 인구 10만 명당 285.8명으로 경기도 평균 287.7명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미충족 의료율은 5.5%로 경기도 평균 4.9%보다 높으며, 응급시설 이용 비율, 입원 이용률, 분만 이용률 등도 유사 규모 도시에 비해 낮은 편이다. 일반건강검진율 64.1%와 국가 암 검진율 48.9%도 전국 및 경기도 평균에 미치지 못한다. 특히 폐암 검진율은 25.8%로 경기도 평균 32.6%에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다.

혈압수치 인지율 59.2%, 혈당수치 인지율 25.1%, 당뇨병 진단 경험자의 치료율 88.8%는 경기도 평균에 못 미치는 수준이다. 치매 환자 유병률 22.42%는 경기도와 유사한 수준이다.

흡연율, 중증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 비만율, 저작 불편 호소율, 스트레스 인지율과 우울감 경험률은 경기도에 비해 높은 편이다. 월간 음주율, 건강생활 실천율, 칫솔질 실천율은 경기도 평균보다 낮다.

이처럼 남양주시의 주요 건강지표 대부분이 경기도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어 전반적인 건강 수준이 다소 낮은 편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암 검진률, 만성질환 관리, 건강행태 등의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1.1.4. 환경적 특성

상수도 보급률은 97.2%로 전국 평균 97.5%에 비해 다소 낮다. 하수도 보급률은 95.9%이며, 인구 증가로 인해 감소하는 추세이다. 구리시는 아차산과 한강이 어우러져 전국에서 손꼽히는 '환경 도시'이다. 시 전체 면적의 65%가 개발제한구역이며, 군사시설보호구역과 문화재보호구역 등의 규제로 넓은 녹지를 확보하고 있다. 왕숙천과 장자호수공원, 이문안 저수지 등 풍부한 녹색 환경자원이 도심을 둘러싸고 있어 친환경 도시의 기반을 갖추고 있다. 특히 장자못은 수생식물 식재 등 정화작업을 통해 수도권에서 손꼽히는 자연생태공원으로 탈바꿈되었다. 토평동에 위치한 '구리타워'는 구리시의 대표적인 친환경 시설로, 높이 100m의 전망대에서 한강과 아차산, 서울 야경을 감상할 수 있다. 국토해양부 평가에서 3년 연속 '환경도시 대상'을 수상한 것은 친환경 여건과 다양한 친환경 사업의 성과를 인정받은 결과이다. 왕숙천은 수도권 대기환경청이 선정한 산책하기 좋은 코스 3위에 선정될 만큼 쾌적한 환경을 자랑한다. 또한 봄에는 유채꽃 축제, 가을에는 코스모스 축제가 개최되어 수백만 명의 관광객이 방문하고 있다.


1.1.5. 지역사회 자원

남양주 보건소는 보건정책과, 건강증진과, 치...


참고 자료

남양주시, 제 8기 지역보건의료계획(2023~2026), 2023.01
남양주시 보건소, www.nyj.go.kr›health
장성옥, 이영휘, 공은숙, 김춘길, 김희경, 조명옥 and 채경숙. (2020).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치매선별검사 수행 영향요인. 성인간호학회지, 32(2), 134-144.
보건복지부,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치매센터, 국가치매정책동향 2022
경기도 광역치매센터, https://gyeonggi.nid.or.kr/information/status_dem/list.aspx
네덜란드 치매케어 정책 동향_국가치매전략 2021-2030을 중심으로, 국민건강보험공단, 2023
최선하외, 「21C 지역사회보건간호학」, 신광출판사(2018)
KOSIS 국가통계포털 : https://kosis.kr (국내 통계 – 주제별 통계)
구리시청 : https://www.guri.go.kr/
2022년 구리시 사회조사 보고서 : 수록기간 2021.9.14.~2022.9.13. / 발행일 2022.12
구리시 공공기관 정보
제35회 경기도 구리시 통계연보 (2021) : 수록기간 : 2020.12.31 / 자료갱신일 2022.6.12
구리시 공식 블로그 : https://blog.naver.com/guri9279
구리시 보건소 : http://www.guri.go.kr/main/health
건강증진사업
경기도 대기환경 정보 : air.gg.go.kr 경기도 대기질 평가보고서 (2020)
질병관리청 지역사회 건강조사 : https://chs.kdca.go.kr/
구리시 지역사회 건강통계 (2021) : 수록기간 2021.8.16.~2021.10.31. / 발행일 2022.3
국민건강보험 : https://www.nhis.or.kr/
건강검진 통계연보 (2020)
한국건강증진개발원: https://www.khealth.or.kr/kps
경기도 구리 지역보건의료 계획서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