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기저귀 발진과 관련된 피부통합성장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기저귀 발진과 관련된 피부통합성장애
1.1. 간호 사정
1.1.1. 대상자 정보
1.1.2. 호흡, 수유, 배변/배뇨 상태
1.1.3. 피부 상태 사정
1.2. 간호 진단
1.2.1. 대소변 접촉과 관련된 피부 통합성 장애의 위험성
1.3. 간호 계획
1.3.1. 관찰 및 모니터링
1.3.2. 치료적 중재
1.3.3. 교육적 중재
1.4. 간호 수행 및 평가
1.4.1. 피부 상태 관찰 및 관리
1.4.2. 기저귀 교환 및 피부 관리
1.4.3. 연고 도포 및 보호자 교육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기저귀 발진과 관련된 피부통합성장애
1.1. 간호 사정
1.1.1. 대상자 정보
신생아 김OO(쌍둥이중 두 번째)는 2019년 3월 17일에 재태기간 32주+5일로 출생하였으며, 성별은 여아이다. 혈액형은 O형이다. 출생 시 체중은 1200g이었고, 현재 체중은 1910g이다. 출생신장은 39cm이며, 출생두위는 27.5cm이다. 분만 형태는 제왕절개수술이다. 진단명은 미숙아이다.
1.1.2. 호흡, 수유, 배변/배뇨 상태
신생아는 출생 후 규칙적이지 않은 호흡을 보이고 있다. chest retraction이 관찰되었으며, 인공수유와 gavage tube feeding을 하고 있는 중이다. 매일 4회의 대변 배출과 7회의 소변 배출이 관찰되었다. 구토 증상은 없으며, 젖병을 잘 먹고 있다.
1.1.3. 피부 상태 사정
대상자의 피부 상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하였다. 대상자의 피부는 건조하고 탄력성이 저하되어 있으며 쭈글쭈글한 양상이다. 엉덩이 부위에 1-2cm 크기의 경미한 발적이 관찰되었다. 발적 피부에서 열감이 느껴지지 않았다. 피부 상태 관찰 외에도 대상자의 배설물 양상과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대변은 하루 3-4회 정도 배출되고 있으며 소변은 하루 7-8회 배출되고 있다. 배설물의 양상은 대체로 정상적인 편이다. 대상자는 인공수유를 받고 있으며 하루 8회 분유 30-35cc를 섭취하고 있다. 구토 증상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반적으로 대상자의 피부 건강 상태는 양호한 편이나 경미한 발진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1.2. 간호 진단
1.2.1. 대소변 접촉과 관련된 피부 통합성 장애의 위험성
대소변 접촉과 관련된 피부 통합성 장애의 위험성이다. 신생아는 잦은 대소변으로 인해 피부 자극과 감염의 위험이 높다. 특히 기저귀 착용부위에 발적, 습윤, 피부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대소변이 장시간 피부와 접촉하여 발생하는데, 피부를 청결하고 건조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신생아의 피부는 성인에 비해 얇고 연약하여 외부 자극에 쉽게 손상될 수 있다. 또한 배설물에 함유된 효소와 암모니아 성분이 피부를...
참고 자료
차영남 외. (2013).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고성희 외. (2002). 포켓 간호진단 가이드. 현문사
김양호. (2010). 기본 병리학. 현문사
홍영혜 외. (2011). 최신 간호진단. 수문사
성미혜 외. (2014). 간호과정. 정문각
송경애 외. (2014). 최신 기본 간호학(하). 수문사. 서울
윤희옥 외. (2014). 아동간호학Ⅱ. 현문사
조경숙 외. (2014). 성인간호학Ⅱ. 현문사
김정미 외(2019), 최신 아동건강간호학1,2, 수문사
윤은자 외(2019), 성인간호학1,2, 수문사
이윤미 외(2019), 간호사를 위한 약리학, 수문사
백운철 외(2021), 병리학, 은학사
양영옥 외(2019),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 수문사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2019). 현문사. 박은영.
아동건강간호학Ⅰ (2020). 수문사. 김효신 외.
서울아산병원 신생아의학정보.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 https://www.amc.seoul.kr/asan/depts/neo/K/bbsDetail.do?menuId=1761&contentId=67869.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기저귀 피부염.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467.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기저귀 피부염.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2027.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서울아산병원 의약품정보.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