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이라크 전쟁의 배경
1.1. 이라크 공격에 대한 미국의 논리
미국은 이라크가 대량살상무기(WMD)를 개발하여 알카에다와 같은 테러집단에 무기를 넘길 수 있으며, 이러한 진행은 9.11과 같은 테러를 재발시킬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미국은 사담 후세인이 1990년대 초부터 유엔 결의를 지속적으로 위반하면서 전 세계 질서에 큰 도전을 일으켰다는 이유로 이라크의 정권교체가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조지 W. 부시 전 미국 대통령은 이라크를 북한, 이란과 함께 악의 축으로 꼽았으며, 사담 후세인이 세계를 속여왔고 계속해서 그렇게 하고 있으며, 테러조직과 연계돼 있다고 주장하며 이라크 공격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미국은 이라크 공격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유엔의 이라크 무기사찰과 안보리 논의라는 절차를 거쳤으나, 실제로는 대량살상무기에 대한 정보가 조작되었음이 드러났다. 미국은 자국의 안보와 테러 위협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이라크를 선제공격했다는 입장이나, 이는 국제법의 테두리를 벗어난 행동으로 평가받고 있다.
1.2. 미국의 중동지역 영향력 강화
중동지역에서 가장 강력한 친미정권으로 이스라엘과 함께 미국 중동정책의 거점이던 샤 팔레비 이란 왕조가 1979년 이란 혁명으로 붕괴하면서 미국과 서방국가의 영향력이 크게 감소했다. 이는 중동 지역에 일시적인 힘의 공백을 가져왔다. 서방 국가들은 이란에 등장한 이슬람정권의 영향으로 중동 전역에 반미, 반서방 이슬람 원리주의 물결이 일 것을 우려했다. 이를 견제하기 위해 전통적으로 이란과 대립관계에 있던 이라크에 접근하여 후세인 정권에게 막대한 외교, 경제, 군사적 지원을 시작했다.
이라크에 대한 영향력을 강화하게 되면, 이라크의 지정학적 위치 때문에 효율적이고 광범위한 중동지배가 가능해질 것으로 보았다. 갈등관계에 있는 또 다른 악의 축인 이란을 이라크, 아프가니스탄, 중앙아시아의 3면에서 압박할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중동지역에서 확실한 주도권을 확보하려고 했다. 과거 미국의 중동정책은 세력균형 유지가 기조였지만, 이라크 공격을 통해 그 기조에 변화를 주고자 했다.
1.3. 경제성장과 석유를 위한 전쟁
미국은 이라크 전쟁을 통해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