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물의 전기분해 실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 원리
2.1. 전기분해
2.2. 물의 전기분해
2.3. 이온화합물의 전기분해
2.4. 패러데이 법칙
2.5. 금속의 반응성과 산화-환원 반응
2.6. 금속의 이온화경향성
3. 실험기구 및 시약
4. 실험과정
5. 실험결과
6. 고찰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실험 목적
이 실험은 전기분해 반응을 활용하여 구리를 석출하고, 이 때 이용한 구리의 이론값과 실제 석출된 구리의 양을 비교하는 것이다. 구리의 이론값과 실제 값을 비교함으로써 전기분해 반응의 원리와 화학량론적 관계를 이해하고자 한다.
전기분해는 전류를 가하여 비자발적인 화학반응을 진행시키는 것으로, 이를 통해 도금, 금속 정제, 배터리 충전 등 다양한 화학 공정에 활용된다. 이번 실험에서는 전기분해 과정에서의 화학양론, 즉 주어진 양의 전류가 일정 시간 동안 흐를 때 화학반응이 얼마나 일어나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특히 구리 이온의 환원 반응을 통해 석출되는 구리의 양과 이론값을 비교함으로써 전기분해 반응의 정량적 관계를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전기분해의 원리와 화학량론적 관계, 금속의 반응성과 산화-환원 반응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2. 실험 원리
2.1. 전기분해
전기분해는 전류를 가하여 특정 물질을 비자발적인 방향으로 분해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전해질 용액 안에 있는 두 전극에서 산화-환원 반응이 일어난다. 양극에서는 전자를 잃어 산화되는 반응이, 환원 전극에서는 전자를 얻어 환원되는 반응이 일어나는데, 이때 발생되는 화학 변화를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진행시키는 것이다.
전기분해는 도금, 배터리 충전, 금속 정제 등 여러 화학 반응에 사용된다. 이때 주어진 양의 전류가 일정시간 동안 흐르면 화학 반응이 얼마나 일어나는지를 알아볼 수 있다. 예를 들어, 10A의 전류를 Cu2+ 용액에 30분간 흘렸을 때 도금되는 구리의 질량을 계산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전류와 시간으로부터 전하량을 구하고, 전자의 몰수와 Cu2+ 이온의 몰수 관계를 통해 생성되는 구리의 몰수와 질량을 계산하면 된다.
전기분해는 또한 물을 분해하는 데에도 이용된다. 물을 전기분해하면 양극에서는 산소 기체가, 환원 전극에서는 수소 기체가 생성된다. 이때 발생하는 수소와 산소의 몰수비는 2:1로, Avogadro 법칙에 의해 기체의 부피비도 2:1이 된다.
전해질 용액 내에 다양한 금속 이온이 섞여 있을 때, 환원 전극에서는 금속 이온들의 표준 환원 전위 크기에 따라 순서대로 환원되어 석출된다. 즉, 표준 환원 전위가 가장 큰 금속 이온이 먼저 환원되어 나온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면 전해액 내의 금속 이온들을 분리할 수 있다.
전기분해 과정에서는 패러데이 법칙이 적용된다. 이에 따르면 동일한 물질에서 전기분해로 인해 석출되는 물질의 질량은 흐른 전기량에 비례하고, 같은 전기량으로 석출되는 여러 물질의 질량은 각 물질의 화학당량에 비례한다. 즉, 물질 1g당량을 전기분해하여 석출하는 데 필요한 전기량은 일정하다.
전기분해 과정에서 금속의 반...
참고 자료
대학화학실험법, 대학화학실험법편찬회, 단국대학교출판부, p.221~p.229.
Atkins, Jones, and Laverman. 『화학의 원리 5판』, 김관 외, 자유아카데미, 2012.
김희준, 『일반화학실험』, 자유아카데미,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