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나와 내 삶의 의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나의 삶에서 가장 의미 있는 음악
1.2. 내가 가장 싫어하는 음악
1.3. 음악에 대한 개인적 견해
2. 본론
2.1. 나의 삶에서 가장 의미를 가지는 음악
2.1.1. 국악과 판소리
2.1.2. 국악의 매력
2.1.3. 판소리 명창 김소희
2.2. 내가 가장 싫어하는 음악
2.2.1. 하드록의 특징
2.2.2. 쇼크록과 마릴린 맨슨
2.2.3. 하드록의 부정적 영향
3. 결론
3.1. 음악에 대한 다양한 견해
3.2. 음악의 가치와 예술성 존중의 필요성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나의 삶에서 가장 의미 있는 음악
나의 삶에서 가장 의미 있는 음악은 국악과 판소리이다. 어렸을 때부터 국악기를 배우고 연주하면서 국악의 매력에 빠져들었다. 특히 판소리의 다채로운 장단과 개성 넘치는 가창법은 나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그중에서도 국악 명창 김소희의 판소리는 내가 가장 존경하고 좋아하는 음악이다.
김소희는 1917년 고창 출신의 판소리 명창으로, 1964년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며 판소리의 대가로 인정받았다. 그녀의 박력 있고 감성적인 소리는 판소리의 진정한 면모를 보여준다. 판소리는 단순히 노래를 부르는 것이 아니라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종합예술이다. 김소희는 판소리의 가사에 깊이 공감하며 그 감정을 생생하게 표현하여 듣는 이들의 마음을 사로잡는다.
나에게 국악과 판소리는 단순한 음악이 아닌 우리 역사와 문화의 정수이자 정신세계를 엿볼 수 있는 창구이다. 이를 통해 나는 우리 고유의 전통과 정서를 음미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새로운 감수성과 창의성을 배울 수 있었다. 국악과 판소리에 담긴 의미 있는 메시지와 문화적 가치는 내게 큰 울림을 주었고, 이는 나의 삶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1.2. 내가 가장 싫어하는 음악
누군가 좋은 음악이라며 추천을 해주어도 참고 들을 수 없는 음악 장르를 하나 꼽자면 '하드록(Hard rock)'이다. 솔직히 고백하자면, 하드록을 아예 듣지 못했던 것은 아니다. 한때는 하드록에 관심이 생겨 찾아 듣기도 했었다. 사실 어떤 음악을 싫어한다는 것은, 그 음악에 대해서 어느 정도 알고, 또 들어본 경험이 있어야 가능하다.
하드록의 특징은 일반 록보다 변이된 사운드로서 전기 기타의 거친 소리나 광폭된 사운드와 부서지는 듯한 드럼 소리, 울부짖는 보컬 등이라 할 수 있다. 1970년대에 들어서 하드록은 독자성을 획득하게 되면서 여러 하위 장르로 변화했다. 하드록의 하위 장르인 쇼크록의 창시자인 미국인 가수 앨리스 쿠퍼(Alice Cooper)의 음악은 새롭고 흥미로웠다. 헤비메탈, 익스트림 록 장르와 마찬가지로 이 장르들의 음악을 하는 사람들은 현란한 분장과 기괴한 의상으로 사람들의 시선을 사로잡는다. 나 역시 처음 보는 쇼크록의 충격적인 무대를 통해 하드록에 관심이 생겼다. 그의 음악을 무조건적으로 비판할 수는 없다. 오히려 중독성이 강하거나, 예술성이 뛰어난 곡들도 많을 것이다.
'쇼크록의 제왕'이라는 이미지를 굳힌 '마릴린 맨슨(Marilyn Manson)'은 충격적인 컨셉과 각종 기행으로 온간 논란을 일으켰다. 마릴린 맨슨의 음악과 무대는 파격적이라는 말로는 부족하다. 그는 공연 도중에 십자가와 성조기를 불태우기도 하고, 마약에 중독된 적도 있었다. 학창시절 그의 뮤직비디오 영상을 우연히 본적이 있었는데, 영상은 매우 기괴한 사운드배경과 끔찍한 흑백영상으로 나의 경악을 자아냈다. 그 영상으로 받은 충격은 컸지만, 한편으로는 호기심이 더 깊어졌다. 도대체 하드록과 쇼크록이 말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이기에 이렇게 괴이한 형태로 음악을 표현하는 것인지 궁금해 진 것이다.
그래서 마릴린 맨슨의 노래를 들어보았고, 가사의 해석 또한 읽어 보았다. 하드록이 대체적으로 무겁고 어두운 가사를 담고 있듯이, 그의 음악도 마찬가지였다. 그의 음악 전부에 혐오감을 표시하는 것은 아니다.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나, 기존의 종교 교리와 틀에 대한 거부의 표현인 음악은 그 나름대로 존중...
참고 자료
김종철. 판소리사 연구. 역사비평사. 1996
손태룡. 한국음악논전. 영남대학교출판부. 2002
정일서. 365일 팝음악사. 돋을새김. 2005
네이버 백과사전
연세영 , 연세영의 대중음악돋보기, 꾼, 1998
전북도민일보, 김광석을 추억하는 뮤지컬 ‘바람이 불어오는 곳’, 2014.5.15.
네이버 블로그, 함께 듣고 싶은 한글 노래 - 김광석의 노래
http://1191214.blog.me/130191005959
이동연 외 2명, 대중음악의 이해 , 한울아카데미, 2012
주석진, 「인간관계론」, 공동체, 2020
천성문 외, 「인간관계와 정신건강」, 학지사, 2019
송대영, 「인간관계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1
김혜숙 외, 「인간관계론」, 양서원, 2016
채성준, 「인간관계론, 동문사」, 2019
박재황 외, 「인간관계와 자기성장」, 공동체, 2017.
김영민, 「의미 있는 타인의 직업기대가 특성화고등학생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2012
이수빈,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 과정에서 의미 있는 타인과의 관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8
우영희, 「감정인식과 감정표현이 인간관계와 행복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상담대학원 석사 논문,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