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 관리학 실습 법적 윤리적 보고서 중 치료중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 관리학 실습 법적 윤리적 보고서
1.1. 윤리 사례와 갈등
1.2. 서로 다른 입장과 영향
1.3. 대처방안과 중요성
1.4. 성찰과 느낀점
2. 법적 쟁점 및 윤리적 고찰
2.1. 불가항력적 의료사고에 대한 보상
2.2. 과실 없는 의료사고 보상의 필요성과 한계
2.3. 의료종사자 보호와 환자 안전 간 조화
3. 의료관련감염 예방 활동
3.1. 간호학생의 일반적 특성과 감염질환 노출 경험
3.2. 의료관련감염예방 지식과 수행도
3.3. 감염예방을 위한 안전환경
3.4.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4. 결론 및 제언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 관리학 실습 법적 윤리적 보고서
1.1. 윤리 사례와 갈등
해당 사례에서 우리는 연명치료의 의미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다. 환자분에게 연명치료를 계속 하는 것이 환자분을 위한 일일까? 연명치료를 해도 소생이 불가능한 경우라면 연명치료를 중단하고 환자와 보호자 모두가 죽음을 맞이할 준비를 마련하는 것이 환자분을 위한 일일까? 사례에서는 보호자의 경우 환자분을 살리기 위해서 연명 치료 중단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 태도를 보였다. 보호자의 입장에서는 갑작스러운 환자 상태의 변동에 대해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하였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 환자분의 상태가 좋아진다는 보장이 없지만 회생 가능성을 조금이라도 높이고 싶은 보호자의 입장을 생각해볼 수 있다. 하지만 의료진의 경우 회생이 불가능한 환자의 상태를 판단한 후 연락을 취하여 DNR 동의를 얻은 후 보호자가 환자의 죽음에 대해 준비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하려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는 여기서 환자를 위한 선택이 무엇인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보호자가 2시간 뒤에 도착 할 수 있다는 말에도 불구하고 병동에 도착하는 데에 5시간이 걸렸다. 보호자가 해당 환자의 DNR에 동의하였다면 연명치료가 아닌 죽음에 대해 준비하는 임종간호를 제공하여 가족들이 환자분과 더 많은 시간을 가지며 죽음을 준비하고 맞이할 수 있지 않았을까? 이러한 다양한 입장들처럼 우리는 연명치료에 대한 윤리적 딜레마에 대해 많은 것을 생각하고 고민해봐야 한다고 생각한다.
1.2. 서로 다른 입장과 영향
환자분에게 연명치료를 계속 하는 것이 환자분을 위한 일일까? 연명치료를 해도 소생이 불가능한 경우라면 연명치료를 중단하고 환자와 보호자 모두가 죽음을 맞이할 준비를 마련하는 것이 환자분을 위한 일일 수 있다. 사례에서는 보호자의 경우 환자분을 살리기 위해서 연명 치료 중단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 태도를 보였다. 보호자의 입장에서는 갑작스러운 환자 상태의 변동에 대해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하였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 환자분의 상태가 좋아진다는 보장이 없지만 회생 가능성을 조금이라도 높이고 싶은 보호자의 입장을 생각해볼 수 있다. 하지만 의료진의 경우 회생이 불가능한 환자의 상태를 판단한 후 연락을 취하여 DNR 동의를 얻은 후 보호자가 환자의 죽음에 대해 준비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하려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3. 대처방안과 중요성
회복 가능성이 없고 상태의 호전과 악화가 반복되는 환자의 경우 환자에게 언제든지 의식이 없어지고 임종을 맞이하게 될 때가 있음을 미리 알려주고 이에 대해 연명의료 계획을 세우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담당의사의 역할이 중요하고, 의사 외에 간호사의 도움을 적극적으로 받아야 할 것이며 의료진들은 해당 환자의 죽음에 대한 준비를 위해 최선을 다하여야 할 것이다. 현행법에서는 환자의 의사를 확인할 수 없고 환자가 의사표현을 할 수 없는 의학적 상태인 경우, 배우자 및 모든 직계 존속·비속의 환자 가족 전원의 합의가 필요하다. 하지만 특히 고령의 환자의 경우 직계 혈족이 많아 의료진이 모든 직계 혈족과 연락해 연명의료 중단에 관한 동의를 받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워 법안이 개정되었다. 하지만 이 외에도 이러한 사례처럼 보호자가 환자에 대해 관심이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 빠른 대처가 어렵다. 가족 중에서 환자의 연명치료 중단의 결정에 관여하지 않고자 하는 사람이 있다면 추후에 이의를...
참고 자료
박은준. 『알기 쉽고 현장감 있는 간호관리학』. 현문사. 2020
대한중환자의학회. [의료윤리 사례 중 의견]. https://www.ksccm.org/html/?pmode=ethical
병원간호사회 홈페이지. https://khna.or.kr/home/about/principles.php
네이버 뉴스 “간호사 실수로 숨진 12개월 코로나 환자…정맥주사 약물 정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3191164?sid=102
연합뉴스. “'약물 잘못 투여해 영아 사망' 간호사들 징역 4∼5년 구형”.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3908873?sid=102
기본 간호학 1, 2 수문사. 송영신. (2021)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마취과학 교실. 임민성. 증례보고. Epinephrine의 우발적 과용량 투여 후 발생한 가역적인 심근병증
출처 : 의약뉴스(http://www.newsmp.com)
출처: 동아일보 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230509/119201231/2
전광석. 의료분쟁조정법상 의료사고보상사업의 헌법적 쟁점.
연구보고서. 의료배상책임 쟁점과 해외 사례
박현수. 의료분쟁조정법상 불가항력 의료사고 보상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대한주산회지 제24 제2호, 2013
이호용. 불가항력적 의료사고에 대한 국가보상의 공법적 검토. 의료법학 2010;11:5984.
탁영란 외 공역(2021), 알기쉬운 간호연구방법론, 메디컬사이언스
최종림, 고일선, & 임영이. (2016). 간호학생의 의료관련감염예방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기본간호학회지, 23(2), 136-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