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세계지리에서 여행지를 선정하고 자연환경과 인문환경으로 나누어 조사하고 느낀 점 적어보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지역 저소득층 노인들에 대한 지리, 문화, 역사 여행 프로그램
1.1. 사업명
1.2. 사업의 필요성
1.3. 서비스 지역, 서비스 대상 및 실인원수
1.4. 사업 목적 및 목표
1.5. 사업내용
1.6. 예산계획
1.7. 향후운영계획
2. 마을 만들기(도시재생) - 고스게무라
2.1. 지역 선정 배경
2.2. 고스게무라의 인문지리
2.2.1. 지리적 특성
2.2.2. 인문환경
2.2.3. 생활환경
2.2.4. 사회
2.2.5. 문화예술
2.2.6. 기업과의 상호작용
2.3. 문제점과 지역성 도출
2.3.1. 지역의 문제점
2.3.2. 지역성 도출
2.4. 사업구상
2.4.1. 고스게무라의 관광산업 발전
2.4.2. 노인들을 위한 복지 사업
2.4.3. 주민들의 공동체 사업
2.4.4. 마을의 브랜드화
2.4.5. 기업 간의 연계 사업
2.4.6. 홍보 전략
2.5. 기대효과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지역 저소득층 노인들에 대한 지리, 문화, 역사 여행 프로그램
1.1. 사업명
저소득층 노인들에게 지리, 문화, 역사 여행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여가를 향유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삶의 활력과 만족도를 높이고, 삶의 지혜와 긍정적인 태도를 함양하며, 정서적 안정과 작업능력 향상, 다양한 여가 향유 및 지역사회 참여 의식을 강화한다. 프로그램은 역사-문화 탐방, 인문학 교육 및 지리학 교실, 공예(민속) 활동, 캠핑 및 자연생활 체험, 우리 고향의 자연과 문화유산 탐방, 문화재와 무형문화재 연구 등으로 구성된다. 서비스 지역은 00시 00구이며, 65세 이상 노인 약 900명을 대상으로 한다.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복지사 1명, 전문강사 1명, 봉사자 4명이 투입되며, 연간 예산 약 3,275만 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된다. 향후 프로그램 평가 및 분석을 통해 보다 나은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1.2. 사업의 필요성
대상자 욕구 및 문제점에 따르면, 여가란 노동으로부터의 신체적 해방과 자신에게 부과된 의무감으로부터 해방되어 자유롭게 휴식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여가는 피로와 압박감으로부터 휴식을 취함으로 내일의 생활에 재창조를 위한 에너지를 충전하는 창조적인 여가(recreation)이며, 다른 하나는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오락(leisure)이다. 지역 환경적 특성을 보면, 00구의 노인인구는 9만 여명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추세로 이 지역 또한 지속적인 고령화를 겪고 있다. 이처럼 고령화와 인구감소가 지속되는 가운데 지역 복지 자원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00구 저소득층 노인들의 정서적 안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여가 및 문화 지원 프로그램이 필요한 상황이다.
1.3. 서비스 지역, 서비스 대상 및 실인원수
00구가 서비스 지역이며, 00구 65세 이상 노인이 서비스 대상이다. 대상구분에 따른 서비스대상자 산출근거는 다음과 같다. 일반대상인 00구 전체 주민 중 00,000명, 위기대상인 00구 65세 이상 빈곤 노인 0,000명, 표적대상인 위기대상 중 우울, 불안, 소외감 등 정신적 문제를 겪고 있는 대상자 000명이다. 실제로 본 프로그램에서 수용 가능한 인원은 표적대상자 중 20명이다.
1.4. 사업 목적 및 목표
이 사업의 목적은 지역 저소득층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과 여가 활동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주 1회 진행되는 역사-문화 탐방 프로그램을 통해 노인들의 삶의 활력과 만족도를 높인다. 또한 주 1회 실시되는 인문학 교육과 지리학 교실을 통해 노인들의 삶의 지혜와 긍정적인 태도를 함양한다.
주 1회 진행되는 공예(민속) 프로그램으로 노인들의 정서적 안정과 작업능력을 향상시킨다. 월 1회 실시되는 캠핑과 원시생활 체험을 통해 노인들에게 다양한 여가활동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월 1회 우리고향의 자연과 문화유산 탐방 및 문화재와 무형문화재 연구를 통해 노인들의 지역사회 참여 의식을 강화한다.
1.5. 사업내용
고스게무라의 관광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빈집을 리모델링하여 호텔로 만들고, 고스게무라의 특산물인 와사비와 곤약, 메밀, 산천어를 이용한 요리 축제를 개최하며, 귀농을 희망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농촌문화 체험 사업을 시행한다. 또한, 고스게무라에서 일주일 살기 체험을 운영하여 시골 생활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
노인들을 위한 복지 사업으로는 노인 스마트폰 공부 교실을 개최하고, 주민들의 고향세 ATM 서비스를 개선하여 노인들의 디지털 접근성을 높인다.
주민들의 공동체 사업으로는 관광 사업으로 인한 자연 훼손을 방지하고자 지속가능 관광을 통해 관광업체, 학교 등과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자연환경을 직접 관리하는 방안을 마련한다.
마을의 브랜드화를 위해서는 와사비를 특산물로 내세워 이를 활용한 다양한 상품을 개발하고, 마을 주민들이 공동체를 결성하여 와사비 체험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고스게무라만의 특색을 돋보이게 할 것이다.
기업 간 연계 사업으로는 기업의 소도시 이전을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고, 고스게무라 내 맥주 양조장과 연계하여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맥주를 개발한다.
홍보 전략으로는 고스게무라만의 특성을 담은 책자와 SNS 페이지를 만들고, 마을 벽화를 제작하여 고스게무라의 독특한 매력을 알린다. 또한 SNS 전용 '고스게무라 일주일 살기'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마을의 모습을 자연스럽게 홍보한다.
1.6. 예산계획
총 예산은 32,750,000원이다. 이 중 공동모금회 'oooooo' 사업비가 29,750,000원으로 91%를 차지하며, 자부담은 3,000,000원으로 9%를 차지한다.
인건비의 경우 담당인력에 대한 야근수당이 2,400,000원이며, 이 중 공동모금회 지원금이 1,200,000원, 자부담이 1,200,000원이다.
사업비로는 역사-문화 탐방 프로그램 6,350,000원, 인문학 교육 및 지리학 교실 4,400,000원, 공예(민속) 프로그램 5,400,000원, 캠핑 및 원시생활 체험 6,000,000원, 우리고향의 자연·문화유산 탐방 4,000,000원, 문화재·명인·무형문화재 연구 2,400,000원 등이 편성되었다.
관리운영비로는 야간난방비 900,000원, 전기료 900,000원이 편성되었다.
이처럼 사업 수행에 필요한 제반 비용을 체계적으로 수립하여 편성하였다.
1.7. 향후운영계획
기존 '지역 저소득층 노인들에 대한 지리, 문화, 역사 여행 프로그램'의 성공적인 사회참여를 위한 프로젝트의 효과와 효율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사회문제 및 관내 지역사회 욕구에 부합하는 보다 나은 프로그램을 구상하여 실천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지역 사회의 특성과 수요에 맞는 지속가능한 여행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을 것이며, 지역 내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적 참여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평가를 통해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개선해 나가면서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계획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지역 내 노인들의 사회통합과 지역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다.
2. 마을 만들기(도시재생) - 고스게무라
2.1. 지역 선정 배경
총 인구수 662명의 작은 마을 고스게무라에서는 공동체적인 요소를 느낄 수 있다. 폐가를 개조한 '니포니아' 호텔의 홈페이지 문구인 "700명의 마을이 하나의 호텔", 노인과 초등학생의 만남을 목적으로 한 행사 「스게노코마츠리」 등에서 공동체 의식을 통해 고령화, 인구감소, 빈집문제 등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적은 인구수로 공동체 사업을 실행하기에 좋다고 판단했다. 또한 고스게무라는 도쿄도에서 차로 2시간 거리인 마을이라 코로나 시대에 주목받고 있는 근교 여행인 '마이크로 투어리즘'의 형태의 관광지로서의 매력도 충분하다고 여겼다. 이 위기를 인식하고 극복하려는 내부적 힘이 있어 도시재생 대상 지역으로 선정했다.
2.2. 고스게무라의 인문지리
2.2.1. 지리적 특성
고스게무라[小菅村, こすげむら]는 일본 혼슈 주부지방 야마나시현에 있는 촌(村)으로 지치부타마카이 국립공원 내에 있는 산촌이다. 동서 간 거리 14km, 남북 간 거리 7km로, 총 52.65...
참고 자료
사회복지 개발과 평가 황성철 공동체
프로포절 작성의 실제 김승의 공동체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우수프로포절 사례집 2011
사회복지 욕구조사와 프로그램 평가 강병로 나눔의집
사회문제론 박정호 여진주 신정
보건복지가족부
앨리스의 여행과 일상, 『오사카의 빈집이 로컬라이프를 실현할 공간으로 변신했다. 세카이 호텔』, 「블로그」, 2017.12.21. https://www.lovely-days.co.kr/2307
서울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 『인구 9천 명인 소멸지역의 빈집, 호텔이 되다 '시이노모리'』, 「네이버 블로그」, 2021.06.22. https://m.blog.naver.com/sehub/222406114935
우수민 기자, 『공간재생 스타트업 손닿으면…폐가도 맛집·호텔로』, 「매일경제」, 2021.08.04.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4833866
키 큰 사람, 『야마나시현 고스게』, 「다정카」, 네이버 블로그, 2020.09.27. https://cafe.naver.com/herbruuner02/1297
https://genryudai.jp/class/%E5%B0%8F%E8%8F%85%E6%9D%91%E3%81%AE%E6%9A%AE%E3%82%89%E3%81%97%E3%82%92%E8%A9%A6%E7%9D%80%E3%80%80%E5%A4%8F%E3%82%8F%E3%81%95%E3%81%B3%E7%B7%A8%EF%BD%9E%E8%87%AA%E7%84%B6%E3%81%A8%E5%85%B1%E3%81%AB/- (현재 삭제 게시물)
UltraOrange, 『일하면서 제주도한달살기 제주맥주 이벤트』, 「POWER blog」, 2020,07,23, https://m.blog.naver.com/lightsout/222039763559
핑구 닷컴, 『제주도 한달 살기 숙소 리브애니웨이에서 비용까지 알아보기』, 「네이버 블로그」, 2021.07.28. https://m.blog.naver.com/ssoonssu/222447995413
정지형 기자, 『(사회책임)자연·거주민·관광객이 공생하는 생태관광을 확산해야』, 「뉴스 토마토」, 2017.01.02.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720643#_enliple
小菅村ホームページ, (http://www.vill.kosuge.yamanashi.jp/)
こ、こすげぇー, (https://ko-kosuge.jp/)
石和青果市場ホームページ, (https://kanami.life/)
「일본, ‘고령화 사회의 그늘’…7채 중 1채는 ‘빈집’」, 『글로벌 경제』, 2019-04-29,
(https://www.etoday.co.kr/news/view/1750290)
小菅村のお店, (http://kosugemura-shop.com/)
水と太陽のレシピ,(https://www.yamanashi-kankou.jp/mizutotaiyo/area03/recipe/)
小菅村 - Wikipedia, (https://ja.wikipedia.org/wiki/%E5%B0%8F%E8%8F%85%E6%9D%91)
NIPPONIAホームページ, (https://nipponia-kosuge.jp/people/)
[네이버 지식백과] 고스게 촌 [Kosuge, 小菅村(소관촌)] (두산백과)
空き家率、過去最高の13.6% 都市部で高い地域も, 日本経済新聞, 2019.4.26. 21:30 (2018년 10월 시점) (https://www.nikkei.com/article/DGXMZO44287370W9A420C1EA2000/)
「‘인구 급감’ 日, 재정난에 허리띠 졸라맨다」, 『중소기업뉴스』, 2018.01.22. 09:01,
(http://www.kbiznews.co.kr)
「일본 ‘관계인구’ 정책에서 실마리 찾을까」, 『한겨레』, 2021.08.28. 15:43,
(https://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1009496.html)
「日 산간 마을의 도전…낡은 민가를 호텔로」, 『KBS 뉴스』, 2021.01.07. 12:52,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089503)
https://hjtic.snu.ac.kr/board/news_summary/view/8461
http://www.vill.kosuge.yamanashi.jp/
https://noulog.com/management/machiokoshi-jirei
What’s a tiny house
http://tinyhouse-kosuge.com/whats/
http://www.vill.kosuge.yamanashi.jp/administration/news/2021/11/post-75.php
김다정 기자, 『일본 고향세 자판기 등장…기부·답례품 선택 ‘한번에’』, 「농민신문」, 2021.07.28. https://www.nongmin.com/news/NEWS/ECO/WLD/342256/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