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병원미생물과감염관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감염 및 감염 관리
1.1. 감염의 정의 및 성립 요인
1.1.1. 감염의 정의
1.1.2. 감염의 성립 요인
1.1.3. 숙주의 감염방어력
1.2. 감염 후의 경과
1.2.1. 잠복기
1.2.2. 전구기
1.2.3. 질병기
1.2.4. 회복기
1.3. 감염원과 감염경로
1.3.1. 감염원
1.3.2. 감염경로
1.4. 주요 병원감염의 관리
1.4.1. 요로감염 관리
1.4.2. 병원성 폐렴 관리
1.4.3. 병원성 아스페르길루스증 관리
1.4.4. 인플루엔자 관리
1.5. 수술부위 감염관리
1.6. 병원 직원의 감염관리
1.7. 주요 항생제 내성균의 감염관리
2. 나병균(Mycobacterium leprae)
2.1. 나병균의 분류
2.2. 나병균의 형태
2.3. 나병균의 세포 구조와 기능
2.4. 미코박테리아의 증식특성
2.5. 나병균 관련 주요 감염병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감염 및 감염 관리
1.1. 감염의 정의 및 성립 요인
1.1.1. 감염의 정의
감염이란 병원체가 다양한 경로로 숙주인 인체에 침입하여 증식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병원체가 숙주의 표면, 세포, 체액, 조직 및 기관에 정착하여 증식하게 되면 감염이 성립되며, 그 결과 숙주의 정상적인 조직 형태나 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상태를 발병이라고 한다. 이렇게 감염의 결과로 발생한 질병을 감염병이라고 부른다. 감염병은 대체로 특징적인 질병의 증상과 징후를 나타내며, 병원감염은 입원 당시에는 증상이 없다가 입원 또는 퇴원 후에 발생하는 감염증이다. 이처럼 감염이란 병원체의 침입으로 인한 숙주의 변화를 의미한다."
1.1.2. 감염의 성립 요인
감염의 성립 요인은 미생물의 독력(virulence)과 숙주의 감염방어력의 상호관계에 의해 결정된다.
먼저 미생물의 독력은 미생물이 숙주를 침입하고 증식하는 능력을 의미하는데, 이는 미생물의 조직침입성과 독소생산성에 의해 결정된다. 미생물의 조직침입성은 협막, 편모, 세포외효소 등의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독소생산성은 외독소와 내독소 등의 요인으로 작용한다.
반면 숙주의 감염방어력은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는 비특이적 방어와 특정 미생물에 대한 특이적 방어로 구성된다. 비특이적 방어에는 물리·화학적 장벽, 탐식작용, 상재균무리에 의한 억제 등이 포함된다. 특이적 방어에는 항체와 세포매개면역 등의 면역반응이 작용한다.
미생물의 독력과 숙주의 감염방어력의 균형이 깨지면 감염병이 발병하게 된다. 미생물의 독력이 숙주의 감염방어력보다 강할 경우 감염이 성립되어 병이 발병하지만, 숙주의 감염방어력이 우세할 경우 감염이 성립되어도 병이 발병하지 않는다. 또한 숙주의 감염방어력이 저하되면 일반적으로 무해한 기회감염균이 병원균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감염의 성립 요인은 미생물의 독력과 숙주의 감염방어력의 관계에 의해 결정되며, 이 두 요인의 균형이 깨질 때 감염병이 발병하게 되는 것이다.
1.1.3. 숙주의 감염방어력
숙주의 감염방어력은 미생물이 생체에 침입해 증식하는 것을 막는 방어기능이다. 숙주의 감염방어력은 크게 비특이적 방어와 특이적 방어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비특이적 방어는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는 국소적인 물리화학적 방어로, 피부와 점막의 물리적 장벽, 백혈구의 탐식작용, 체액 내 보체의 작용, 정상상재균무리에 의한 병원균의 증식 억제 등이 해당된다. 이러한 비특이적 방어는 특정 병원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미생물에 대해 작용한다.
특이적 방어는 특정 병원체에 대한 면역반응으로, 체액성 면역과 세포매개성 면역이 포함된다. 체액성 면역은 B 림프구가 생성하는 항체에 의해 이루어지며, 세포매개성 면역은 T 림프구가 주도한다. 숙주는 이를 통해 감염 병원체를 직접 제거하거나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숙주와 병원체의 상호관계에 따라 감염 여부와 발병 정도가 결정된다. 병원체의 독력이 숙주의 감염방어력보다 강하면 감염병이 발병하지만, 반대로 숙주의 감염방어력이 병원체의 독력보다 강하면 감염이 성립되어도 발병하지 않는다. 또한 숙주의 감염방어력이 저하되면 평소에는 무증상이었던 미생물도 기회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즉, 숙주의 감염방어력은 병원체에 대한 감염 및 발병 여부를 결정하는 핵심적인 요인이라 할 수 있다.
1.2. 감염 후의 경과
1.2.1. 잠복기
잠복기는 감염이 된 후 증상과 증후가 발생하기까지의 시간을 말한다. 잠복기의 길이는 주로 숙주의 면역상태와 병원체의 독력에 따라 차이가 난다.
나병균에 감염된 경우, 나병균의 잠복기는 9개월에서 20년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렇게 나병균의 잠복기가 매우 길게 나타나는 것은 나병균이 다른 세균들에 비해 세대시간이 매우 길고 증식이 느리기 때문이다. 나병균은 미코박테리아에 속하는 세균으로, 일반 세균보다 느린 성장 속도를 보인다. 이러한 나병균의 특성으로 인해 감염 이후 증상이 나타나기까지의 시간이 매우 길게 나타나게 된다.
또한 나병균은 세포 내 절대 기생 세균이기 때문에 숙주의 면역 상태에 따라 잠복기의 길이가 달라진다. 감염 초기에는 숙주의 면역체계가 나병균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지만, 면역력이 저하되면 나병균이 증식하여 증상이 발현될 수 있다. 따라서 나병균 감염자의 경우 면역 상태 변화에 따라 잠복기가 상당히 길어질 수 있다.
이처럼 나병균의 느린 증식 속도와 세포 내 기생 특성으로 인해 나병균 감염 시 잠복기가 매우 길게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1.2.2. 전구기
전구기는 감염이 된 후 증상과 증후가 발생하기 시작하지만 확진을 내릴 만큼 뚜렷하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이 단계에서는 질병의 중상과 증후가 시작되며, 주로 전염성이 높은 경우가 많다"" 이 단계에서는 감염된 후부터 질병의 특징적인 증상이 나타나기 이전까지의 기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시기에는 질병이 발병하고 있는 중이지만, 아직 뚜렷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은 상태라고 볼 수 있다""
1.2.3. 질병기
질병기는 면역반응이 시작되는 단계로, 질병이 가장 고조되며 특징적인 증상과 증후가 나타나는 단계이다. 이때 염증이 미생물의 감염에 더불어 발생하는 주요 생체반응인 "4대 소견" 즉, 동통(pain), 발열(fever), 발적(erythema), 종창(swelling) 등이 나타난다. 이 단계에서는 미생물의 독력과 숙주의 감염방어력 간의 균형이 깨지면서 질병이 악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따라서 이 단계에서 적절...
참고 자료
간호미생물학 / 박서현 외 공저 / 수문사
[네이버 지식백과] 발병 [onset of disease, 發病, 魃病]
(간호학대사전, 1996. 3. 1., 대한간호학회)
김혜숙, "감염관리 교육이 간호학생의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韓國學校保健敎育學會誌. 제10권 제1호 (2009년 6월),정기간행물실(524호),p48
[네이버 지식백과] 무증상감염 [symptomless infection, 無症狀感染, むしょうじょうかんせん] (생명과학대사전, 초판 2008., 개정판 2014., 강영희)
박종천 외 9인, 『병원 미생물학과 감염관리』, 은학사, 2019년, p179~182, 191,195
[네이버 지식백과] 감염원 [source of infection]
(식품과학기술대사전, 2008. 4. 10., 한국식품과학회)
최인석 의원, https://blog.naver.com/cis0213/221520813697
[네이버 지식백과] 수평감염 [horizontal transmission, 水平感染] (두산백과)
<사진1 1>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6645890&memberNo=5531498&vType=VERTICAL
<사진1 2>
국민대 등 대학생 11명 홍역 확진…"감염경로 확인 중", 조선비즈, 기사입력 2014.05.12. 오후 4:04, https://news.naver.com/main/read.nhn?oid=366&aid=0000193041
접속일자 2019. 10. 30
<사진2>
질병관리본부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health.cdc.go.kr/health/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2970
<사진3 1>
한의사 HJ씨의 열일, https://blog.naver.com/daedoopower/220966354161
<사진3 2>
라파의 건강과 자연요법 이야기, https://blog.naver.com/olive_68/50113490792
<그림4>
참 이빈후과 의원, https://blog.naver.com/susungcham/220718194240
한센병 [leprosy]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Shinnick, T.M. 2006. Mycobacterium leprae. In Dworkin, M., Falkow, S., Rosenberg, E., Schleifer, K.H., and Stackebrandt, E. (eds.). The Prokaryotes, pp. 934–944. Springer, New York, USA.
Geluk, A., Duthie, M.S., and Spencer, J.S. 2011. Postgenomic Mycobacterium leprae antigens for cellular and serological diagnosis of M. leprae exposure, infection and leprosy disease. Lepr. Rev. 82, 402–421.
[Mycobacterium leprae] (미생물학백과)
강미애. "한국의 한센병 간호역사." 국내박사학위논문 부산가톨릭대학교, 2017. 부산
PETER YOO.(2020. 9. 3).제25장 미코박테륨20200903.(video file).
Retrieved from : https://youtu.be/8yuRshs_tw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