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소방제품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 기술기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무선식 화재감지시스템 개요
1.1. 무선화재감지기와 수신기의 등장 배경
1.2. 무선식 화재감시시스템의 필요성
2. 무선식 감지기 및 수신기 관련 기술기준
2.1. 감지기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 기준
2.2. 수신기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 기준
3. 무선식 화재감지설비의 안전기준
3.1.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신호처리 방식
3.2.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전원 기준
4. 정부의 무선식 화재감지기 도입 지원
4.1.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임시허가 제도
4.2. 중소벤처기업부의 전통시장 지원
4.3. 소방청의 형식승인 기준 마련
5. 무선식 화재감지기의 향후 전망과 과제
5.1. 무선화재감지기 기술의 발전 방향
5.2. 신뢰도 있는 제품 생산의 필요성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무선식 화재감지시스템 개요
1.1. 무선화재감지기와 수신기의 등장 배경
화재감시시스템의 유선 방식에서 무선 방식으로의 전환은 소방시설 설치에 있어 새로운 변화를 가져왔다. 건물의 다양화와 복잡화에 따라 기존의 유선식 화재감지기와 수신기 방식으로는 실용성과 경제성 측면에서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무선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무선식 화재감지기와 수신기의 도입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무선 방식은 기존 유선 방식에 비해 시공이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며, 특히 노후화된 건물이나 구조적으로 복잡한 건물에 적용하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화재 발생 시 신속한 감지와 신호 전달이 가능해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이처럼 무선식 화재감시시스템은 다양한 건축물에 적용 가능한 솔루션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1.2. 무선식 화재감시시스템의 필요성
화재감지기와 수신기의 무선화는 다양한 형태의 특정소방대상물에 대한 감지기 설치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다. 기존의 유선 화재감지 방식은 배선공사에 많은 비용이 드는 단점이 있었으나, 무선 화재감지 방식의 등장으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무선 화재감지 방식은 화재발생 시 신속한 감지와 신고가 가능하여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국민들의 안전과 생명을 보호하기 위하여 무선식 화재감시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하게 되었다. 건물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화재의 위험성이 높아짐에 따라 무선식 화재감지기의 도입은 화재예방과 신속한 대응을 위해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2. 무선식 감지기 및 수신기 관련 기술기준
2.1. 감지기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 기준
감지기의 형식은 방수형 유무에 따라 방수형 및 비방수형으로, 내식성 유무에 따라 내산형, 내알카리형 및 보통형으로, 재용성 유무에 따라 재용형 및 비재용형으로, 연기의 축적에 따라 축적형 및 비축적형으로, 방폭구조 여부에 따라 방폭형 및 비방폭형으로, 화재신호의 발신방법에 따라 단신호식, 다신호식 또는 아날로그식으로, 화재신호 전달방법에 따라 무선식 및 유선식으로 구분된다.
"연동식"은 단독경보형감지기가 작동할 때 화재를 경보하며 유·무선으로 주위의 다른 감지기에 신호를 발신하고 신호를 수신한 감지기도 화재를 경보하며 다른 감지기에 신호를 발신하는 방식이다. "무선식"은 전파에 의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식이다.
감지기에는 작동표시장치를 설치하여야 하지만, 방폭구조인 감지기, 수신기에 작동한 내용이 표시되는 감지기(무선식 감지기는 제외한다), 차동식분포형감지기 및 정온식감지선형감지기는 작동표시장치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무선식 감지기는 전파에 의한 연동식감지기 또는 감지기·중계기·수신기간의 화재신호·화재정보신호가 「신고하지 아니하고 개설할 수 있는 무선국용 무선설비의 기술기준」 제7조제3항의 「...
참고 자료
소화약제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
[시행 2017. 7. 26.] [소방청고시 제2017-1호, 2017. 7. 26., 타법개정]
고팽창포소화약제 발포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제 22권, 제 5호, 2008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