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대퇴골 전자간 골절 병인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1.3. 용어의 정의
2. 본론
2.1.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병인론
2.1.1. 골다공증
2.1.2. 외상
2.1.3. 기타 위험요인
2.2.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임상증상
2.2.1. 변형
2.2.2. 부종
2.2.3. 통증
2.3.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진단 및 치료
2.3.1. 진단
2.3.2. 보존적 치료
2.3.3. 수술적 치료
2.4.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간호중재
2.4.1. 골다공증 관리
2.4.2. 합병증 예방
2.4.3. 재활 및 기능 회복
3. 결론
3.1. 연구 결과 요약
3.2. 간호학적 의의
3.3.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방향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골다공증은 뼈의 무기질이 감소되어 뼈가 약해지는 대사성 질환이며, 이로 인해 다양한 부위의 골절이 발생할 수 있다. 그중에서도 대퇴골 전자간 골절은 노인 환자에게 흔하게 발생하며, 높은 사망률과 합병증으로 인해 치료와 관리가 중요하다.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병인론과 임상증상, 진단 및 치료, 간호중재에 대한 이해는 효과적인 관리와 예방을 위해 필수적이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다양한 측면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1.2. 연구의 목적
대퇴골 전자간 골절은 노인 환자에게 발생하는 주요 골절 중 하나이다.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발생 원인은 크게 골다공증, 외상, 그리고 기타 위험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골다공증은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가장 주요한 원인이다. 노화가 진행되면서 점차 뼈 조직의 밀도가 감소하게 되고, 이로 인해 약해진 골조직이 쉽게 골절되는 경향이 있다. 특히 50대 이상의 여성에게서 골다공증 발병률이 높게 나타나며, 이는 폐경기 이후 에스트로겐 분비 감소에 기인한다.
둘째, 외상 역시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주원인이다. 노인의 경우 신체 기능 저하로 인해 균형 감각과 보행 능력이 저하되어 쉽게 넘어지거나 미끄러지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대퇴골 전자간 골절이 유발된다. 특히 화장실이나 욕실에서의 낙상 사고가 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타 요인으로는 비타민 D 결핍, 신경계 질환, 근력 약화, 시력 저하 등이 있다. 이러한 요인들은 노인의 신체 기능과 균형 감각을 저하시켜 낙상 위험을 높이고, 결과적으로 대퇴골 전자간 골절 발생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알코올 섭취와 흡연 등의 생활습관도 골밀도 감소와 관련이 있어 골절 위험을 높인다.
요약하면, 대퇴골 전자간 골절은 노인에게 주로 발생하는 골절로서, 골다공증, 외상, 그리고 기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병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노인 환자의 골다공증 관리, 낙상 예방, 그리고 전반적인 건강관리가 대퇴골 전자간 골절 예방에 중요하다.
1.3. 용어의 정의
대퇴골 전자간 골절은 대퇴골의 근위부, 즉 전자부와 경부 사이에 발생하는 골절을 의미한다. 이는 흔한 고관절 골절의 유형으로, 주로 고령의 골다공증 환자에게서 발생한다. 낙상이나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대퇴골 근위부의 연속성이 파괴되면서 발생하게 되며, 부종, 변형, 통증 등의 증상을 동반한다. 진단을 위해서는 방사선 검사와 영상 검사가 필요하며, 수술적 또는 보존적 치료를 통해 골절을 치료한다. 간호중재에는 골다공증 관리, 합병증 예방, 재활 및 기능 회복이 포함된다.
2. 본론
2.1.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병인론
2.1.1. 골다공증
골다공증은 뼈에서 무기질이 빠져나가 골밀도가 감소하고 병리적 골절이 생기는 대사성 질환이다. 일생동안 정상뼈는 새로운 뼈가 만들어지고 오래된 뼈가 흡수되는 골재형성 과정을 거치는데, 30세 이후부터 골파괴가 골형성보다 활발해져 골밀도가 감소한다. 골다공증은 여성에게서 더 흔히 발생하며, 노인 여성의 50%가 골다공증을 갖고 있다. 원발성 골다공증은 원인을 알 수 없으며, 2차성 골다공증은 부갑상샘 기능항진증, 스테로이드 사용, 척추손상 등과 관련이 있다. 골다공증은 증상 없이 오랜 기간 진행되는 경우가 많으며, 초기 증상으로는 허약, 불안정한 걸음걸이, 경직, 식욕부진, 척추 통증 등이 있다. 척추의 기형으로 인해 움직임이 감소하고 복부가 돌출되어 키가 5~7cm 줄어들 수 있다. 가장 흔한 골절은 척추의 압박 골절이며, 이로 인한 합병증으로 변비, 복부 팽만, 역류성 식도염, 호흡기 장애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골절에 대한 두려움으로 신체 활동이 제한될 수 있다. 치료를 위해 estrogen, 칼슘 보충제, 비타민D, bisphosphonates, estrogen 수용체 조절제, calcitonin 등의 약물 치료와 함께 적절한 식이요법, 운동, 낙상 예방 등의 간호 중재가 필요하다.
2.1.2. 외상
외상은 골절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외부의 과도한 힘으로 인하여 뼈의 연속성이 파괴되는 것을 말한다.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경우에도 주된 원인 중 하나가 외상이다. 노인들은 신체의 유연성과 균형감각이 떨어져 가벼운 낙상에도 뼈가 쉽게 부러질 수 있다. 따라서 미끄러운 길에서 넘어지거나 화장실에서 미끄러져 고관절 골절을 당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에는 50세 이상 성인 남녀의 고관절 골절이 증가했는데, 이는 급격한 도시화와 생활습관 변화로 인해 운동량이 감소하고 비타민 D 생성이 부족해져서 뼈의 강도가 약해졌기 때문이다. 60대 이후에는 척추 골절의 위험이 증가하고 80대 이후에는 대퇴골 골절이 증가하게 된다. 대퇴골 골절은 1년 내 사망률이 15~20%에 달...
참고 자료
Gibbons, J. P., Quinn, M., O'Daly, B., McElwain, J., & Leonard, M. (2019). Peri-operative outcomes for ORIF of acetabular fracture in the elderly: Comparison with displaced intracapsular hip fractures in a national pelvic and acetabular referral centre over 5 years. The Surgeon, 17(3), 160-164.
Watts, N. B., Hattersley, G., Fitzpatrick, L. A., Wang, Y., Williams, G. C., Miller, P. D., & Cosman, F. (2019). Abaloparatide effect on forearm bone mineral density and wrist fracture risk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osteoporosis. Osteoporosis International, 30(6), 1187-1194.
김진완, 문규필, 황연수, 송준연, & 채정훈. (2017). 고령의 대퇴 전자간 골절에서 근위 대퇴 골수정 삽입술 후 보행 회복에 미치는 인자.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52(5), 428-434.
서울아산병원[웹사이트] 대퇴 골절.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64&tabIndex=0
서울대학교병원[웹사이트] 표재성 혈전정맥염. http://www.snuh.org/health/encyclo/view/8/5/11/1.do
윤은자.(2021). 성인간호학2(9판). 수문사. p.984~1019, 1068~1078.
약학정보원[웹사이트]. http://www.health.kr/
한희준.(2019년, 1월7일). 고관절 골절 노인, 근감소증 있어도 ‘통합적 골절 재활치료(FIRM)’ 효과.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001&oid=346&aid=0000024155
김금순, 윤은자 외,(2017),성인간호학2, 제8판(수정판), 서울:수문사
양선희, 원종순 외,(2016),기본간호학1,기본간호학2, 제2판, 서울:현문사
박은영, 송미령 외,(2017),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중보판), 서울:현문사
고성희 외 (2002) 포켓 간호진단 가이드. 서울: 현문사
김금자 외 (2012)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서울: 현문사
신경림 외 (2010). 성인간호학 2. 서울: 현문사
송미순 외 (2002) 진단적 검사와 간호. 서울: 현문사
김화순 외 (2011) 기본간호학 실습. 서울: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