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이영학"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이영학 사건 분석
2.1. 범죄 개요
2.2. 이영학의 심리 분석
2.2.1.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 이론
2.2.2. 소아성애증 진단과 동기 분석
2.2.3. 사이코패스 성향
2.3. 이영학의 딸에 대한 분석
3. 잔여주의와 제도주의 관점에서의 접근
3.1. 잔여주의 관점의 접근
3.2. 제도주의 관점의 접근
4. 결론
4.1. 연구 요약
4.2. 범죄 예방을 위한 제언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최근 범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범죄자의 심리 분석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TV 예능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범죄자의 사례가 소개되면서 사람들은 범죄자들의 성격장애에 대해 주목하기 시작했다. 그중에서도 이영학 사건은 특히 많은 관심을 받았는데, 이는 그가 보여준 이중적인 모습 때문이다. 그는 평소 딸을 위해 애정 어린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결국 자신의 딸 친구를 성추행하고 살해하는 끔찍한 범죄를 저질렀다.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그의 범죄 행위와 관련된 성격장애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연극성 성격장애, 자기애성 성격장애, 반사회성 성격장애, 경계성 성격장애 등 4가지 성격장애의 특징을 분석하고, 이와 관련된 인물 사례를 제시하여 이해를 돕고자 한다. 이를 통해 범죄 예방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2. 이영학 사건 분석
2.1. 범죄 개요
이 사건이 다른 살인 사건보다 더 주목을 받은 이유는 가해자 이영학이 과거 TV프로그램에 출연하여 딸과의 감동적인 부성애를 보였기 때문이다. 이영학과 그의 딸은 세계에서 5명밖에 없다는 '거대한 백악종' 환자였다. 이영학은 딸의 수술비를 마련하기 위해 자전거로 전단지를 돌리고 구걸 동영상을 게시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였으며, 많은 사람들로부터 큰 감동을 받았다.
그러나 이런 이영학이 딸의 친구를 유인해 성추행하고 살해한 범행을 저질렀다는 점에서 그의 이중적인 면모가 부각되었고, 이에 따라 사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범행 과정을 보면, 2017년 9월 30일 오후 12시 20분경 피해자 A양을 자신의 집으로 유인하여 수면제를 먹여 잠들게 한 뒤 성추행했다. 이후 다음날 A양이 깨어나 저항하자 목을 졸라 살해했고, 이어서 딸과 함께 시신을 강원도 영월군 야산에 유기했다.
이영학은 A양을 범행 대상으로 정한 이유에 대해 "엄마가 죽었으니 엄마 역할이 필요하다", "A양이 착하고 예뻐서 데리고 왔다"고 말하는 등 이해하기 어려운 설명을 했다. 그러나 경찰은 프로파일러(범죄심리분석관)의 분석 결과, 이영학이 부인 사망 이후 성적 스트레스를 해소하려고 했으며 성인 여성보다 유인이 쉬운 딸의 친구를 범행 대상으로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이 사건은 계획적인 범행이었다고 판단되었다.
2.2. 이영학의 심리 분석
2.2.1.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 이론
프로이트는 자신의 생애의 경험을 통해서 자기 분석을 끊임없이 하며 정신분석학 이론을 발전시켰다. 프로이트는 40대에 수많은 심신증 장애와 더불어 죽음에 대한 지나친 공포, 그 밖에 공포증에 시달렸다. 이 시기에 그는 자신의 꿈, 기억 그리고 본인의 인격발달의 변천에 대해 탐색하는 데 몰두하였다. 이렇게 자신을 분석하면서 프로이트는 1896년에 죽은 자신의 아버지 야콥 프로이트에 대해 적대감을 느꼈으며, 또 어린 시절 매력적이고 따뜻하며 포근했던 어머니 아밀리아 프로이트에게 느낀 성적 감정을 상기하였다. 이를 통해 프로이트는 아동기 성욕에 대해 확신을 가졌고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발견했다. 이렇듯 프로이트의 가족 배경은 정신분석이론의 토대가 되었다. 가부장적이고 권위적인 아버지에 대한 증오와 반발, 어머니의 나체 목격과 성적 흥분, 연년생의 동생의 출현과 죽음은 프로이트가 인간의 심리에 대해 관심을 갖게 하는 계기가 되었고 그는 무의식의 중요성을 연구해 인간의 성격발달의 핵심으로 삼았다. 결국 프로이트는 이런 성적 도착은 현재의 어떤 심리적 ...
참고 자료
류경동, 2001,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이론과 문학 연구 -이론의 재검토와 작품 분석의 실제-, 우리어문학회, P3~4
박형빈, 2017, 사이코패스(psychopath)에 대한 신경생물학적 이해와 치료 및 도덕 향상으로서의 초등도덕교육,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P2~3
안성조, 2008, 사이코패스의 범죄충동과 통제이론, 경찰법연구 제6권 제1호, P4
안성조, 2008, 사이코패스의 범죄충동과 통제이론, 경찰법연구 제6권 제1호, P9
'어금니 아빠' 이영학 무기징역 확정, YTN, 2018.11.29, https://www.ytn.co.kr/_ln/0103_201811291604047463
이영학 사건, "A부터 Z까지 '성'과 연관", 머니투데이, 2017.10.12, http://news.mt.co.kr/mtview.php?no=2017101210351442541
한인영(이화여대 사회복지전문대학원교수).김진숙(조선대 사회복지학과교수).김지혜(이화여대 사회복지전문대학원박사과정), 2009.12, 성폭력 범죄자 초기분류를 통한 유형별 치료 프로그램 개발, 법무부, P29
14살 여중생 집착 어금니 아빠 이영학, 우발적 범행 논란, 아시아 경제, 2018.11.29,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8112915121349669
Curt R. Bartol. Anne M. Bartol , 장석헌.이창한 번역, 2010, 범죄심리학, 청목출판사,P417
Curt R. Bartol. Anne M. Bartol , 장석헌.이창한 번역, 2010, 범죄심리학, 청목출판사, P428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 2014, 꿈의 해석 Dream Psychology
유범상, 유해숙 공저, 『사회복지정의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9
국회입법조사처,『복지급여 부정수급 현황 및 근절을 위한 개선과제』, 2016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 이영학부분
나무위키, https://namu.wiki, 이영학부분
월간조선, [사건 추적] '어금니 아빠·딸' 살인사건 전모, 2017년 11월호
고석외 9인, 『알고 싶은 복지현장 10명의 달인에게 묻다』, 바이북스, 2018
염혜련, 2022,『경계성 성격 성향을 가진 대학생의 자기 참조 처리 편향과 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심리학과 석사학위논문」.
윤민혁, 2018,『반사회성 성격장애 경향군의 사회인지 결함』,「경북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석사학위논문」.
노진희, 2010,『연극성 성격장애에 대한 <전우치전>과 <춘향가>의 문학치료적 효용』,「건국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박재신, 2009,『자기애성 성격장애자의 문제행동 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자기심리학적 미술치료사례』,「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미술치료학과 미술치료전공 석사학위논문」.
일간스포츠(https://isplus.com).
SBS(https://programs.sbs.co.kr).
더팩트(https://www.tf.co.kr).
연합뉴스(https://n.news.naver.com/mnews).
업다운뉴스(http://www.updownnews.co.kr/news).
ㅍㅍㅅㅅ(https://ppss.kr).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서울신문(https://www.seoul.co.kr/news).
머니투데이(https://news.m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