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연명치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연명치료 개념 및 중단절차
1.1. 연명치료의 정의
1.2. 연명치료 중단의 요건 및 절차
1.3. 연명치료 대상자
1.4. 연명치료 중단 시 중단되는 의료행위
2. 연명치료 찬반논쟁
2.1. 찬성 측 논거
2.2. 반대 측 논거
3. 연명치료에 대한 개인적 의견
3.1. 연명치료 중단의 필요성
3.2. 연명치료 결정 시 고려사항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연명치료 개념 및 중단절차
1.1. 연명치료의 정의
연명치료란 치료 자체가 무의미한 환자에게 행해지는 심폐소생술, 인공호흡기 착용, 혈액 투석, 항암제 투여 등의 의료행위를 말한다. 이러한 치료행위들은 환자의 생존기간만을 연장할 뿐 실질적인 치료 효과는 없다.
환자의 회복가능성이 전무하고 소기의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경우, 이러한 연명치료를 중단하는 것이 환자의 존엄성을 보장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연명치료는 말기 환자의 고통을 덜어주고 자연스러운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하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1.2. 연명치료 중단의 요건 및 절차
환자에 대한 연명치료 중단을 허용하기 위해서는 환자가 회복 불가능한 사망의 단계에 이르렀는지 여부를 바탕으로 환자의 연명치료를 중단할 것인지 및 환자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의사표시의 진의 여부를 환자를 담당한 의사와 다른 병원의 의사 및 법률가, 그리고 종교인 등으로 구성된 위원회의 판단을 거치도록 하는 것이 그 남용을 방지하거나 줄일 수 있다. 또한 환자가 연명치료 중단의 의사표시를 하기 전에 정신과 전문의나 임상심리사의 상담절차를 거치도록 하거나 환자가 연명치료중단의 의사를 결정하는데 신중을 기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환자의 연명치료중단을 하기 전 2주일이나 15일 정도 등의 숙려기간을 주고, 1주일이나 5일 정도의 간격으로 2-3회 환자의 의사를 거듭 확인하는 제도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치산자인 환자가 회복 불가능한 사망의 단계에 이른 경우에 그에 대해 연명치료를 계속하는 것이 무익하고 오히려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해칠 염려가 있어...
참고 자료
무의미한 치료의 중단. 대한의사협회지. 허대석
안락사와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교회의 입장. 구경국
말기환자의 연명치료중단의 생명윤리적 고찰, 박연옥
존엄사에 관한 고찰, 이인영
생명윤리와 법, 권복규.김현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