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동기부여이론의 개요
1.1. 동기부여 이론의 필요성
동기부여 이론의 필요성은 조직의 성과와 직결되기 때문이다. 조직구성원의 동기 수준에 따라 조직의 업무 생산성과 효율성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조직에 필요한 행동과 성과를 자발적으로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욕구와 심리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동기부여 이론은 인간 행동의 근원을 규명하고 어떤 요인이 동기를 유발하는지 밝혀냄으로써 구성원 관리와 조직성과 제고에 활용될 수 있다. 동기부여 이론의 발전은 구성원의 몰입과 헌신을 유도하여 조직의 경쟁력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으므로 그 필요성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1.2. 동기부여 이론의 발전 과정
동기부여 이론의 발전 과정이다.
초기의 동기부여 이론은 행동주의 심리학자 스키너(Skinner)에 의해 제시된 행동수정론이다. 스키너는 인간행동이 보상과 처벌의 기대에 의해 형성된다고 주장하였다. 이후 허즈버그(Herzberg)는 동기부여-위생이론을 통해 직무 관련 요인을 동기부여요인과 위생요인으로 구분하였다. 동기부여요인은 직무에 내재된 요인으로 자아실현과 관련된 욕구를 충족시키는 반면, 위생요인은 직무와 직접적 관련성이 낮은 외적 요인으로 불만족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이어서 알더퍼(Alderfer)는 매슬로의 욕구단계 이론을 존재, 관계, 성장의 3가지 욕구로 단순화한 ERG이론을 제시하였다. 알더퍼는 상위 욕구가 하위 욕구에 중첩되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오치(Ouchi)가 제안한 Z이론은 일본 기업의 특성을 반영한 것으로, 조직에 대한 구성원의 충성심과 함께 관리자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이처럼 동기부여 이론은 행동주의, 욕구충족, 상황론적 관점 등을 반영하며 발전해왔다.
2. 주요 동기부여 이론
2.1. 욕구단계이론
매슬로우(A. Maslow)의 욕구단계이론은 인간의 다섯 가지 기본적인 욕구를 단계적으로 설명한다. 첫째,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생존욕구는 호흡, 식, 주, 성 등의 생리적 욕구이다. 이러한 생리적 욕구가 충족되면 둘째, 안전욕구가 발생하는데, 신체적 안전은 물론 고용보장, 생계보장 수단 등의 욕구를 포함한다. 셋째, 소속 및 애정욕구는 대인관계를 통한 애정과 우정, 집단에의 소속 욕구이다. 넷째, 존경욕구는 타인으로부터의 인정과 존중, 자아존중, 지배에 대한 욕구이다. 마지막으로 다섯째, 자아실현욕구는 자아발전과 잠재능력 실현, 미지의 세계에 도전하려는 욕구이다. 매슬로우 이론에 따르면 하위 단계의 욕구가 충족되어야 상위단계의 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