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건설산업의 품질관리의 특수성과 건설산업이직면한 현재의 문제점과 미래건설산업의 발전방향"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건설산업의 품질관리의 특수성과 건설산업이직면한 현재의 문제점과 미래건설산업의 발전방향
1.1. 품질경영의 도입과 건설산업 적용의 필요성
1.2. 건설산업의 품질경영 현황
1.3. TQM 경영기법
1.3.1. 품질과 TQM의 개념
1.3.2. TQM의 구성요소
1.3.3. TQM 추진 단계
1.3.4. TQM의 발전
1.4. 6시그마 경영기법
1.4.1. 6시그마 기법의 개념 및 필요성
1.4.2. 6 Sigma 성공요소
1.4.3. 6시그마 경영의 확산
1.4.4. Six Sigma 경영기법의 개념
1.5. S 건설업체의 Six Sigma 추진현황
1.5.1. S건설업체의 6시그마 경영체계
1.5.2. S건설업체의 Six Sigma 추진 과정
1.5.3. S 건설업체의 Six Sigma 적용 프로젝트 분석
1.5.4. Six Sigma 적용 성과의 종합
1.6. Six Sigma의 정착 방안
1.6.1. 6시그마 기법의 필요성
1.6.2. 기존 품질운동과의 차이
1.6.3. Six Sigma의 올바른 정착 방안
2. 결론
2.1. 연구의 요약 및 결론
2.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건설산업의 품질관리의 특수성과 건설산업이직면한 현재의 문제점과 미래건설산업의 발전방향
1.1. 품질경영의 도입과 건설산업 적용의 필요성
품질은 이제 기업이 경쟁적 우위를 차지하기 위하여 선택하는 하나의 사치스런 요소가 아니라, 기업의 생존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다. 최근의 급격한 산업 발전과 더불어 공해, 환경문제 등 제반 사회 저해 요인의 증가는 제품 개발, 생산 또는 출하 단계에서 사전에 이를 방지 할 수 있는 과학적인 품질관리를 필요로 하게 되었고, 품질의 개념도 '소비자의 기대 부응도'에서 '사회의 기대 부응도'라고 하는 사회적 품질의 개념으로 확대되기에 이르렀다.
또한 소비자 또는 사회의 현시적 요구뿐 아니라 잠재된 요구 사항까지 미리 파악하여 이를 만족시켜 줄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품질 관리가 필요해졌다. 이러한 품질관리는 전통적인 통계적 기법위주의 품질관리 또는 부분적인 종합적 품질관리 기능만으로 달성하기 힘들게 되었고, 조직의 관리 기능 전체를 고객 중심의 경영철학 및 품질 방침 하에서 최고 경영자의 열의와 리더십을 바탕으로 총체적으로 추진하는 품질경영의 필요성을 요구하기에 이르렀다.
성수 대교 붕괴와 대구 지하철 공사장 가스 폭발 사고에 이어 대형 상업용 건물인 삼풍 백화점의 붕괴에 이르기까지 연이은 대형 건설 관련 사고는 '싸게 싸게, 빨리 빨리'의 관행에 젖은 우리 건설업계가 품질경영의 필요성을 피부로 느끼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하지만 품질경영이 일반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시작되어 발전해 왔고 제조업을 중심으로 많은 개념들과 사례들이 소개되어 왔기 때문에, 건설업 자체의 특성상 품질경영을 도입하기 위한 제반 사항의 인식이라든지 적용사례 등을 찾아보기 어려워 건설업에 대한 효과적인 품질경영의 도입은 상대적으로 저조하였다. 그러나 건설업 분야에 품질경영의 적용이 일반적인 품질경영의 틀 안에서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인식하면, 품질경영의 기본적인 철학과 운영 원리 및 성공을 위한 접근 방법은 모든 적용분야에 걸쳐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므로 품질경영의 강조점이나 사용 기법의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품질경영의 기본적인 철학과 운영 원리 등은 업종과 영역에 관계없이 본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므로 품질경영의 기본적인 사고와 방법을 잘 이해하면 건설업에 맞는 성공 요인을 찾아 품질경영을 추진할 수 있을 것이다.
국내 기업들은 치열한 국제 경쟁에서 시장의 선도적 지위를 확보하기 위하여 가격 및 품질우위 전략을 꾸준히 추구하고 있다. 이에 건설업계에서도 건설시장 개방을 앞두고 해외 기업들과 경쟁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되자, 기업의 경영전략 방향 및 핵심 경쟁요소들을 연구하고 있다. 기업을 둘러싼 시장 환경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오늘날과 같은 상황에서는 무엇보다도 기업의 경쟁력 강화가 크게 요청되고 있다. 이러한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 최근 많은 기업들로부터 큰 관심을 받고 있는 기법이 Six Sigma 경영기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품질경영을 건설산업에 도입하기 위한 건설산업의 특성과 역할 등에 따른 품질경영 방법 등을 살펴보고 최근의 TQM과 6 시그마의 비교 분석을 통해 건설업의 적용 사례를 보고 건설산업 경영체제에 활용하기 위해서 품질경영을 효과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1.2. 건설산업의 품질경영 현황
건설산업의 품질경영은 일반적인 품질경영의 틀 안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본적인 추진 절차 자체는 일반 제조업이나 서비스업과는 큰 차이가 없다. 다만 업종별로 고유한 특징이나 특수성이 있으므로 강조점이나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품질관리 기법들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품질경영의 사고와 방법을 잘 이해하면 건설산업에 맞는 품질경영을 효과적으로 추진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건설산업의 경우 '업종의 특성상 품질경영이 맞지 않다'든지 '품질관리는 시공 관리의 일부분이다'라는 잘못된 인식이 너무 강한 것이 커다란 문제이다. 품질경영이 제조업을 중심으로 소개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품질경영의 기본적인 철학과 운영 원리 및 성공을 위한 접근 방법은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므로 '불량'이나 '결함'이라는 말만 나오면 건설산업에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는 접근 방법은 건설산업의 품질경영 도입 시에 고려해야 할 주요한 문제이다.
품질경영이 일반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시작되어 발전해 왔고, 건설산업 자체의 특성상 품질경영 도입에 어려운 점이 많았기 때문에 건설산업의 품질경영 도입은 상대적으로 저조했다. 그러나 성수 대교 붕괴와 대구 지하철 공사장 가스 폭발 사고에 이어 대형 상업용 건물인 삼풍 백화점의 붕괴에 이르기까지 연이은 대형 건설 관련 사고는 '싸게 싸게, 빨리 빨리'의 관행에 젖은 우리 건설업계가 품질경영의 필요성을 피부로 느끼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웃 일본의 경우도 가전 및 자동차 등의 제조업은 품질경영의 도입과 정착에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인 결과 큰 성과를 보았으나, 건설산업은 품질경영 도입에 상대적으로 소극적이었다.
1.3. TQM 경영기법
1.3.1. 품질과 TQM의 개념
품질의 개념은 '소비자의 기대 부응도'에서 '사회의 기대 부응도'로 확대되었다. 이는 소비자 또는 사회의 현시적 요구뿐만 아니라 잠재된 요구 사항까지 미리 파악하여 이를 만족시켜줄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품질 관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품질 관리는 전통적인 통계적 기법 위주의 품질 관리 또는 부분적인 종합적 품질 관리 기능만으로 달성하기 어려워졌다.
조직의 관리 기능 전체를 고객 중심의 경영철학 및 품질 방침 하에서 최고 경영자의 열의와 리더십을 바탕으로 총체적으로 추진하는 품질경영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즉, 품질경영은 전사적 활동으로 품질계획, 품질관리, 품질보증, 품질 개선을 포함하는 보다 넓은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효율적인 품질경영 활동이 되기 위해서는 해당 기업의 품질경영 수준에 맞는 품질경영시스템이 설계되고 관리되어야 하며, 품질경영에 어떤 활동들이 중요하며 어떤 활동들을 하여야 하는 지를 결정해야 한다.
1.3.2. TQM의 구성요소
TQM의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최고경영자의 관심 및 리더십은 TQM 실행의 핵심이다. 경영자가 품질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갖고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종업원의 교육훈련을 통해 품질 개선을 위한 전문성과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 품질관리를 위한 다부서 간 협력체계 구축과 외부 전문가의 자문지원도 필요하다. 종업원에 대한 포상과 인정으로 동기부여를 하며, 부서 간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품질 실적을 객관적으로 측정, 평가, ...
참고 자료
김세원 외,“건설업체의 6시그마 적용 성과 분석에 관한 사례 연구-S건설업체를 중심으로”,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2005.8
6시그마 경영 ( 아오키 야스히코 외-21세기북스 )
6시그마 도입전략 ( 아오키 야스히코 외-21세기북스 )
6시그마경영 이해와 적용 ( 고두균, 김상익, 서한손, 안병진-한국 생산성본부 )
잭 웰치와 GE 방식 ( 로버트 슬레이터 지음 - 강석진, 이태복 옮김 )
6시그마 품질달성을 위한 시스템 구축과정 교육교재 - 한국 능률협회컨설팅
통계적 공정관리 ( 박성현 외 2명 - 민영사 )
권혁무, “우리나라 Six Sigma의 현황과 올바른 정착 방안”,2003 대한산 업공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박형근,“건설공사 품질경영시스템의 정착방안”,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석 연구원, 건설관리동향
곽봉준, “서비스업에서의 6시그마 적용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 위논문,2001
김정택,“국내 기업의 식스시그마 추진사례연구”,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 문,2001
류호동, “건설산업의 신 품질관리기법으로서의 6시그마 경영도입에 대한 고찰”,2002
임태종, “6시그마의 실행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서강대학교 석사논 문,2003
장정길, “장치 산업에서의 TPM기반의 식스시그마 추진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2001
진경호,“ 6시그마 개념을 도입한 건설공사의 성과향상에 관한 탐색적 연 구”,2003
하운식,“ 6시그마 경영이 회사의 마케팅 영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양 대학교 석사학위논문,2002
한국산업의 경영품질지수, 한국능률협회,2002
네모시그마 그룹,http://www.ksim.co.kr
안영진,“경영품질론-6시그마와 TQM”, 박영사
김문한 외 ,“건설 경영공학”-기문당
김민중, [단독]한국 건설의 추락…글로벌 경쟁력 6위서 12위로, 중앙일보, 2019.04.03.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430148#home
제약·바이오종사자 80% "코로나 이후 성장한다" 전망, 연합뉴스, 2020.07.31.
https://www.yna.co.kr/view/AKR20200731089800002
2022년 7월 최근 경제동향, KDI 경제정보센터
https://eiec.kdi.re.kr/policy/materialView.do?num=228186&topic=
건설 빅데이터 시장 및 기술동향, 건설기술정보시스템, 2021.06.30
https://www.codil.or.kr/viewDtlTchDevNews.do?pMetaCode=inf20210714011
장호성, DL·GS·대우, 건설업계 ‘빅데이터’ 주도, 한국금융뉴스, 2021.10.12
https://m.fntimes.com/html/view.php?ud=202110101517152796dd55077bc2_18
최석인, 이승우, 손태홍, 허윤경, 2030 건설산업의 미래와 수요,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20
http://www.cerik.re.kr/report/research/detail/2385
김응열, (건설사 변해야 산다)②'탈현장화'…모듈러 사업 본격화, 뉴스토마토, 2021.12.14.
https://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1093314
이정우, 건설 안전 및 생산성 강화 통합 스마트 안전시스템 연구, 명지대학교, 2022
선다혜.2023.7.13.내 집은 괜찮나...? GS, 현대, 대우 브랜드 아파트 ‘부실 공포’ 확산,인사이트코리아
이영창, 23.7.10. ‘순살 아파트’ 의 매우 한국적인 결말, 한국일보
홍유담,2023.11.13. 국토부, 스마트건설 시공기준 연내 도입.. 건설자동화, OSC 대상,연합뉴스
안용한, 국내 모듈러 공법 기술현황 및 발전방향, KAIA 웹진 vol.14, KAIA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안용한, 2014.9.18.모듈러 건축의 친환경성과 미래, 건축사신문
양일우, 홍준혁, 223.6.16. ESG 친환경 모듈러 공법의 활용 확대 에상, 삼성증권 ESG 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