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폐렴의 정의
폐렴은 폐의 세기관지 이하 부위 특히 폐포에 발생한 염증을 의미한다. 폐포는 공기주머니로, 이 부위에 발생한 염증이 폐렴이라고 할 수 있다. 즉, 폐렴은 폐(허파)의 세기관지 이하 부위, 특히 폐포에 발생한 염증성 질환이다.
2. 폐렴의 원인 및 병태생리
2.1. 감염성 폐렴
감염성 폐렴이란 다양한 병원체에 의해 발생하는 폐의 염증성 질환이다. 이러한 감염성 폐렴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 다양한 병원체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세균성 폐렴은 가장 흔한 폐렴의 원인이며, 그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폐렴구균에 의한 폐렴이다. 폐렴구균성 폐렴은 지역사회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폐렴 유형으로, 폐렴구균이 호흡기를 통해 침입하여 폐포를 침범하면서 발생한다. 이외에도 포도상구균, 폐렴간균, 녹농균 등 다양한 세균이 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바이러스성 폐렴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이들 바이러스는 기관지와 폐포를 직접 침범하여 염증을 유발하거나, 이차적인 세균 감염을 유발하여 폐렴을 일으킨다. 특히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노인이나 만성질환자에게서 폐렴의 흔한 원인이 된다.""
곰팡이성 폐렴은 면역저하 환자에게서 잘 발생하며, 주폐포자충, 아스페르길루스, 캔디다 등의 곰팡이가 원인이 된다. 이들 곰팡이는 호흡기를 통해 침입하여 폐포와 간질을 침범하여 폐렴을 유발한다.""
이처럼 감염성 폐렴은 다양한 병원체에 의해 발생하며, 이에 따라 증상과 경과, 치료법 등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폐렴 환자에 대한 치료 시 원인 병원체를 정확히 진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2.2. 비감염성 폐렴
비감염성 폐렴이란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과 같은 미생물에 의한 감염이 아닌 다른 원인으로 인해 폐렴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대표적인 비감염성 폐렴의 원인으로는 화학물질 흡입, 구토물 흡인, 방사선 치료 등을 들 수 있다. 화학물질 흡입에 의한 폐렴은 유해 물질이 폐포에 직접 작용하여 염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일산화탄소, 염소, 암모니아 등이 대표적이다. 구토물 흡인에 의한 폐렴은 의식저하나 연하 반사 저하로 인해 위 내용물이 기도로 들어가 화학적 손상을 주어 발생한다. 방사선 치료 후 발생하는 폐렴은 방사선에 의해 폐 조직이 손상되어 염증이 생기는 것이 원인이다. 이외에도 약물 부작용이나 면역 저하 상태, 흡인, 악성 종양 등으로 인해 비감염성 폐렴이 발생할 수 있다."
3. 폐렴의 증상
3.1. 전형적 증상
전형적 증상"이란 발열, 화농성 가래를 동반한 기침, 흉부통증, 폐 타진 시 탁음, 진동감 증가, 수포음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발열은 감염 부위로 혈류량이 증가하고 혈관 확장 및 혈관 투과성이 증가되어 호중구가 활성화되어 침입한 균을 탐식하고 제거하기 때문에 나타나며, 화농성 가래를 동반한 기침은 염증 물질의 배출에 의한 증상이다. 흉부통증은 흉막의 염증으로 인해 발생하고, 폐 타진 시 탁음과 진동감 증가, 수포음은 폐실질의 경화와 액체성 삼출물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이다. 이러한 전형적 증상은 폐렴이 발생하면 나타나는 대표적인 증상들이다."
3.2. 비전형적 증상
폐렴의 비전형적 증상으로는 건성기침, 호흡곤란, 녹슨 쇠빛 객담, 피로, 근육통, 두통, 메스꺼움, 구토, 설사 등이 있다"" 건성기침은 화농성 가래 없이 마른 기침이 특징이며, 호흡곤란은 누워있는 자세가 불편하여 앉아있으려 하는 경향이 있다"" 녹슨 쇠빛 객담은 출혈이 동반된 것으로, 전신 증상인 피로, 근육통, 두통, 메스꺼움, 구토, 설사 등이 동반될 수 있다"" 이러한 비전형적 증상은 주로 노인이나 만성질환자에게서 나타나며, 초기 진단이 어려워 치료가 지연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4. 폐렴의 분류
4.1. 지역사회 획득 폐렴
지역사회 획득 폐렴은 지역사회에서 감염되거나 입원한 지 48시간 이전에 발생하는 폐렴을 말한다. 이는 겨울철에 많이 발생하며, 4개 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심폐질환이 없고 다른 위험인자를 동반하지 않는 건강한 자, 둘째, 다른 위험인자를 동반하거나 심폐질환이 있는 외래환자, 셋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