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해결중심모델의 주요기술 및 한계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해결중심모델의 구조적 질문과 치료 효과
2.1. 해결중심 단기치료의 구조적 질문
2.2. 해결중심 치료모델의 장점
2.3. 해결중심 치료모델의 한계점
3. 해결중심 치료모델의 평가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해결중심이론은 클라이언트 지향적인 접근방법으로, 클라이언트가 문제를 가장 잘 아는 전문가로 인정함과 동시에 문제해결의 주체로서 전문적 관계와 동반자로 인정한다. 사회복지실천의 효과를 평가하는 데 있어 장기 혹은 단기간의 개입(혹은 치료) 가운데 어느 것이 더 효과적인가에 대한 끊임없는 논란이 있어 왔다. 앞서 제시한 정신분석적 치료가 장기간의 치료를 요한다면 해결중심이론은 단기치료의 대표적인 개입방법을 제시해 주고 있다. 따라서 해결중심 단기치료의 구조적질문과 해결중심치료 모델의 장점과 한계점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2. 해결중심모델의 구조적 질문과 치료 효과
2.1. 해결중심 단기치료의 구조적 질문
구조적 질문이란 해결에 초점을 둔 질문이다. 목표와 해결에 초점을 둔 미래지향적인 질문이며,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긍정적인 변화에 대한 기대감을 갖게 한다. 또한 지금까지 자신이 해 왔던 방법 외에 다른 해결방법을 생각해 보도록 격려하는 질문이다.
해결중심 단기치료의 구조적 질문에는 첫째, 첫 면담 이전의 변화에 관한 질문이 있다. 클라이언트가 처음 전화를 걸거나 약속시간을 정한 후부터 처음 면담에 왔을 때까지 변화된 것이 있는지를 묻는 것이다. 이는 클라이언트가 문제가 심각할 때 혹은 더 이상 참거나 견디지 못할 때 도움을 요청하며, 이후 첫 면담까지의 시간 동안에 변화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났다...
참고 자료
사회복지실천기술의 이해 (2005) 엄명용 . 조충래 . 김용석 펴낸곳: 학지사
가족치료연구모임 역(2001). 단기가족치료. 서울: 하나의학사.
김유숙(2005). 가족치료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