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동 경부림프절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경부 림프절염의 정의
1.2. 림프절의 기능
2. 원인 및 병태생리
2.1. 림프절 염증의 원인
2.2. 경부 림프절계의 특징
3. 임상 증상 및 진단
3.1. 임상 증상
3.2. 진단 방법
4. 치료 및 간호
4.1. 치료 방법
4.2. 간호 중재
5. 사례 연구
5.1. 대상자 정보
5.2. 간호 사정
5.3. 간호 과정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경부 림프절염의 정의
경부 림프절염은 상기도 질환으로, 체내 여러 부위에 있는 림프절 중에서 목 부위의 림프절이 감염이나 기타 악성 종양 등에 의해 커지는 질환이다. 세균, 바이러스, 미생물의 감염이나 인체에서 발생하는 자가면역반응에 의해 발생한다.
1.2. 림프절의 기능
림프절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림프절 내부에는 림프구와 같은 백혈구가 존재하여 림프절로 유입된 외부 항원이나 이물질에 대한 식세포작용과 면역반응을 일으킨다. 또한 림프가 순환계로 돌아갈 때 미생물이나 이물질이 여기서 여과되어 림프절을 통해 제거된다.""
2. 원인 및 병태생리
2.1. 림프절 염증의 원인
림프절 염증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편도선에 염증이 생기거나 감기에 걸려 염증이 생겼을 때 경부 림프절이 커지게 되는데, 이는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정상으로 돌아가게 된다. 아동의 경우 홍역, 풍진, 볼거리 등 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인해 경부 림프절 종대가 동반되기도 한다. 또한 결핵, 조직구 괴사성 림프절염(기쿠치병) 등으로 인해서도 경부 림프절 염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외에도 혈액암, 림프종, 유육종증,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SLE),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면역기능 장애가 있는 경우, 악성 림프종이나 갑상선암, 위암, 폐암 등의 악성종양으로부터 전이된 경우에도 경부 림프절 염증이 발생할 수 있다.""
2.2. 경부 림프절계의 특징
경부 림프절계는 두경부, 인후부, 구강 등 목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장기로부터 순환하는 림프계의 집결지이다. 따라서 커지는 림프절이 어디에 있는지, 몇 개의 림프절에 문제가 생겼는지에 따라 원발성 병소의 원인을 추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턱 밑의 림프절이 붓고 아픈 경우는 대부분 치아나 구강내 병변이 원발성 병소일 확률이 높고, 우측 쇄골상부 림프절이 커진 경우는 두경부가 아닌 위장관에서 시작된 병소일 확률이 높다. 이처럼 림프절의 위치와 개수를 통해 원인 병소를 추정할 수 있다.
3. 임상 증상 및 진단
3.1. 임상 증상
경부 림프절염의 임상 증상은 다음과 같다""
목이 뻐근하고 통증이 있는 덩어리가 만져지는 경우, 열이 오르고 식은땀이 나면서 피로감, 체중감소 등 전신증상이 동반되는 경우, 또는 아무런 증상이 없이 그저 딱딱한 덩어리가 만져지는 경우까지 다양한 증상이 나타난다""
반응성 림프절염은 대부분 목감기 증상과 함께 오거나 감기 이후에 발생하는데, 간혹 감기증상은 없이 림프절만 붓기도 한다"" 반응성 림프절염은 양측성으로 오는 경우가 많고 어린이나 청소년에서 흔하다""
3.2. 진단 방법
경부 림프절염의 진단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임상 증상만으로는 조직구 괴사성 림프절염, 결핵성 림프절염과 감별하기 어렵다. 하지만 목이 아프거나 치아가 아프다거나 간혹 입안에 생기는 입병이 림프절 비대와 동반되면, 반응성 림프절염의 가능성이 높다. 또한 양측성, 여러 개의 림프절이 동시에 부어 있으면 반응성 림프절염의 가능성이 높다.
다음으로, 림프절이 갑자기 커지거나 만져지면 병원을 방문하여 진찰을 받은 후 의사가 권고하는 경우 원인 감별을 위하여 체계적인 검사를 받는 것이 필요하다. 진찰소견이나 검사소견에서 특별히 원인질환의 규명되지 않거나 악성종양과 연관되어 있을 가능성이 낮은 경우는...
참고 자료
김영혜 외, 아동간호학 총론·각론, 현문사(2015)
양선희 외, 기본간호학I·II, 현문사(2014)
방경숙 외, 아동간호학, 정담미디어(2014)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박은영 외(2017), 현문사
김효신 외(2020), 아동건강간호학Ⅱ, 수문사.
황옥남 외(2019),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안효섭,신희영(2019), 홍창의 소아과학 제 12판, 서울(주)미래엔.
김정애 외(2018), 간호사를 위한 진단검사, 수문사.
박승준 외(2020), 보건인을 위한 핵심 약리학, 도서출판 의학교육.
박금주 외(2020), 비파적 사고와 간호과정, 계측문화사.
이병주(2006), 경부 림프절염, J Clinical Otolaryngol, 17권 P.23~30.
왕수건(2007), 경부 종괴의 진단과 치료, Department of Otolaryngology, 50권 P.613~625.
약학정보원 : www.health.kr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 https://health.kdca.go.kr/ (2023.09.24)
김효신 외(2020), 아동건강간호학Ⅱ, 수문사.
황옥남 외(2019),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안효섭,신희영(2019), 홍창의 소아과학 제 12판, 서울(주)미래엔.
김정애 외(2018), 간호사를 위한 진단검사, 수문사.
박승준 외(2020), 보건인을 위한 핵심 약리학, 도서출판 의학교육.
박금주 외(2020), 비파적 사고와 간호과정, 계측문화사.
소아 장간막 림프절염의 임상적 고찰(2004). 박철한 외 6인.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 https://health.kdca.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