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나는 세계 영화사의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의 '몽타주 이론'과 '카니발 이론'을 이용하여 2014년 4월 30일에 개봉한 영화 '역린'에 대하여 분석을 하겠다. 우선, '몽타주 이론'을 알아보기 전에 '몽타주'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몽타주(Montage)'는 프랑스의 '몽토르(Montor), 모으다, 합치다'의 뜻으로 건축용어로 사용 되었다. 지금은 의미보다는 다양한 벽돌을 쌓아 멋진 건물을 지어 올리듯, 영화의 'A'쇼트와 'B쇼트'를 이용해 새로운 뜻과 의미 'C'를 더욱 효과적으로 표현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알려진다. 또한, 각기 다른 두 개의 쇼트가 서로 연결되면서 그 본래의 의미보다 두 쇼트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지는 새로운 의미가 더 부각되어서 인식하게 된다는 것으로, 이러한 몽타주 이론은 크게 운율, 율동, 음조, 배음으로 나뉘는데 이러한 방식을 통해서 영화를 더욱 흥미롭게 감상할 수 있다.
2. 몽타주 이론
2.1. 몽타주의 개념
'몽타주(Montage)'는 프랑스어 "monter(모으다, 조립하다)"에서 유래한 용어로, 여러 개의 이미지나 장면을 편집하여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는 기법을 일컫는다. 영화에서 몽타주는 다양한 쇼트(shot)를 편집하여 전체적으로 새로운 의미나 효과를 만들어내는 기법이다. 여기서 쇼트란 카메라 촬영 중 하나의 연속된 영상 프레임을 의미한다.
몽타주에서는 개별 쇼트들이 서로 연결되면서 그 본래의 의미보다 두 쇼트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지는 새로운 의미가 더 부각되어 인식하게 된다. 이처럼 몽타주는 편집 기법을 통해 시각적 요소들의 관계를 구조화함으로써, 관객에게 감정적 반응이나 특정한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몽타주의 대표적인 이론가인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은 다양한 유형의 몽타주를 정의하였다. 그에 따르면 충돌 몽타주, 리듬 몽타주, 음조 몽타주, 지적 몽타주 등이 있다. 이러한 몽타주 기법들은 편집 과정에서 영화의 내용과 형식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주제 의식을 부각시키는 데 활용된다. 결국 몽타주는 영화 언어의 핵심적인 요소로서, 영화 예술의 본질을 구현하는 핵심적인 영화적 장치라고 할 수 있다.
2.2. 몽타주 이론의 구성 요소
2.2.1. 운율
운율은 영화 속 쇼트들이 지닌 리듬감과 호흡감을 의미하는데, 영화 <역린>에서는 주인공들의 심리적 변화와 갈등을 잘 보여주고 있다. 정조가 암살의 위협을 받고 힘든 길을 걸을 때, 안정적이고 자신들을 위해서만 사는 노론들, 정순왕후의 권력의 힘을 회상할 수 있는 비슷한 길이의 쇼트를 계속 반복하여 어떠한 대사 하나 없이도 주인공들의 심리적 변화와 갈등을 잘 전달하고 있다. 이는 마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