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트라졸리움

  • 1
  • 2
  • 3
  • 4
  • 5
  • 6
  • 7
  • 8
>
최초 생성일 2025.05.16
6,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테트라졸리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테트라졸리움의 이해
2.1. MTT assay와 WST-8 assay
2.2. 테트라졸리움 계열 물질
2.3. WST-8의 원리와 장점

3. 실험 설계
3.1. 실험 목적
3.2. 실험 재료
3.3. 실험 방법

4. 실험 결과
4.1. 흡광도 측정 결과
4.2. 세포 생존률 그래프
4.3. 전체 실험 결과 그래프
4.4. 결과 해석

5. 고찰
5.1. MTT assay와 WST-8 assay 비교
5.2. 실험 과정의 문제점 분석
5.3. 실험 결과의 신뢰성 검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테트라졸리움은 dehydrogenase 등의 효소에 의해 쉽게 환원되어 유색의 formazan을 형성한다. 이러한 원리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MTT tetrazolium은 노란색 수용성 기질로, 미토콘드리아에 있는 reductase에 의해 환원되어 청자색을 띠는 비수용성의 MTT formazan이라고 불리는 crystal을 형성한다. 따라서 세포사멸에 의해 미토콘드리아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면 MTT를 처리해도 formazan을 형성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특징을 활용하여 세포 성장 및 독성을 측정하는 MTT assay가 존재한다. MTT assay는 약리학, 독성학 등의 다양한 실험실에서 특정 물질이, 특정한 생물학적, 생화학적 기능을 50% 억제하는데 필요한 양을 나타내는 IC50을 측정하기 위한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번 실험의 목적은 MTT tetrazolium을 이용하여 세포 사멸에 따른 미토콘드리아의 활성도 차이를 관찰하는 것이다.


2. 테트라졸리움의 이해
2.1. MTT assay와 WST-8 assay

테트라졸리움 화합물은 dehydrogenase와 같은 효소에 의해 쉽게 환원되어 유색의 formazan을 형성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널리 사용되는 것이 MTT assay와 WST-8 assay이다.

MTT assay는 노란색의 수용성 기질인 MTT 테트라졸리움이 미토콘드리아의 reductase에 의해 청자색의 비수용성 MTT formazan 결정을 형성하는 반응을 기반으로 한다. 따라서 세포사멸로 인해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이 저하되면 MTT를 처리해도 formazan이 생성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특성을 활용하여 MTT assay는 세포 성장과 독성을 측정하는 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반면 WST-8 assay는 WST-8이라는 수용성 테트라졸리움 화합물을 사용하는 방식이다. WST-8은 미토콘드리아 탈수소효소에 의해 환원되어 수용성의 오렌지 색 포르마잔을 형성한다. WST-8 assay는 MTT assay와 동일한 원리로 세포 독성을 측정할 수 있지만,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WST-8 assay는 MTT와 달리 수용성 포르마잔을 생성하므로 유기용매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세포 손실 위험이 낮다. 둘째, 반응 중 계속해서 변화가 일어나 여러 시간대에 관찰할 수 있다. 셋째, MTT에 비해 민감도가 더 뛰어나다. 넷째, 안정성이 높고 세포 독성이 낮다.

이처럼 WST-8 assay는 MTT assay의 단점을 보완한 수용성 테트라졸리움 염 기반의 세포 독성 측정 기법이다. 이를 통해 보다 정확하고 편리하게 특정 화합물의 세포에 대한 독성을 평가할 수 있다.


2.2. 테트라졸리움 계열 물질

테트라졸리움 계열 물질은 탈수소효소 등의 효소에 의해 쉽게 환원되어 유색의 포르마잔을 형성한다. 이러한 원리를 활용하여 MTT tetrazolium과 WST-8과 같은 테트라졸리움 계열 물질들이 세포 생존율 및 세포 독성을 측정하는 실험에 널리 사용된다.

MTT tetrazolium은 노란색 수용성 물질로, 미토콘드리아의 reductase에 의해 청자색을 띠는 비수용성의 MTT formazan 결정을 형성한다. 따라서 세포사멸로 인해 미토콘드리아가 기능을 상실하면 MTT를 처리해도 formazan이 형성되지 않게 된다. 이는 MTT assay를 통해 세포 성장과 독성을 측정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한편 WST-8은 테트라졸리움 계열의 다른 물질로, MTT와 마찬가지로 생존 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서 환원되어 오렌지 계열의 수용성 포르마잔을 형성한다. WST-8의 경우 생성된 포르마잔이 수용성이기 때문에 추가적인 유기용매 처리 없이 바로 흡광도를 측정할 수 있어 편리하며, MTT에 비해 민감도가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세포가 살아있는 동안 계속해서 포르마잔이 생성되므로 다양한 시간대에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WST-8 assay는 기존 MTT assay의 단점을 보완한 세포 생존율 및 독성 측정 방법으로, 약물이나 화합물의 세포에 대한 효과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유용한 실험 기법이라 할 수 있다.


2.3. WST-8의 원리와 장점

WST-8은 테트라졸리움 계열의 구성물질로, 살아있는 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 탈수소효소에 의해 환원되어 오렌지 계열의 포르마잔을 형성한다. 이때 생성된 포르마잔은 수용성이고 쉽게 용해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즉, 미토콘드리아의 활성 측정을 통해 실험에 사용한 화합물이 세포에 얼마나 독성을 나타내는지 확인할 수 있다. WST-8은 MTT와 동일한 세포 독성 측정 원리를 가지지만, MTT의 경우 불용성 용액이기 때문에 흡광도를 측정하기 위해 DMSO와 같은 유기 용매를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반면에 WST-8은 수용성 포르마잔을 생성하기 때문에 유기용매 처리 과정 없이 바로 흡광도를 측정할 수 있어 간단하며,...


참고 자료

최보희. "Tetrazolium의 환원과 formazan의 발색에 미치는 porphyrin류 및 polyphenol류 화합물의 영향규명." 국내석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서울
김승업, “세포배양 = Cell culture : 하나부터 열까지 알아보기”, 국내서 단행본, 자유아카데미, 2008 (p.180~ 183)
장선일 김강주, ”세포학 및 면역학 실험노트= Practical of cell biology and immunology”, 국내서 단행본, 익산: 원광대학교 출판국, 1996 (p.311~320)
남궁수민. "효소면역분석법을 이용한 도파민과 세로토닌의 검출." 국내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서울
위키백과, 골지체 https://ko.wikipedia.org/wiki/%EA%B3%A8%EC%A7%80%EC%B2%B4
네이버 지식백과, 두산백과, “ 대물 마이크로미터”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0942&docId=1260701&categoryId=32354
네이버 지식백과, “ 접안 마이크로미터”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60703&cid=40942&categoryId=32354
교육부 , <세포 소기관> <교육부 블로그> https://if-blog.tistory.com/5510 (2023.07.05.)
위키백과, 식물세포, https://ko.wikipedia.org/wiki/%EC%8B%9D%EB%AC%BC_%EC%84%B8%ED%8F%AC
네이버 지식백과, 식물학백과, “리보솜”,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47124&cid=62861&categoryId=62861
네이버 지식백과, “리보솜”
네이버 지식백과, Basic 고교생을 위한 생물 용어사전, “리소좀”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7339&docId=941735&categoryId=47339
네이버 지식백과, 동물학백과, “리소솜”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69709&cid=63057&categoryId=63057
네이버 지식백과, 식물학백과, “리소솜”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080266&cid=62861&categoryId=62861
네이버 지식백과, 식물학백과, “소포체”,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47138&cid=62861&categoryId=62861
네이버 지식백과, 화학용어사전, “세포막”,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06702&cid=42420&categoryId=42420
네이버 지식백과, 두산백과, “세포벽”,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13339&cid=40942&categoryId=32323
네이버 지식백과, 생명과학대사전, “미토콘리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426620&cid=60261&categoryId=60261
나무위키, “세포벽”, https://namu.wiki/w/%EC%84%B8%ED%8F%AC%EB%B2%BD
네이버 지식백과, 식물학백과 “색소체”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46797&cid=62861&categoryId=62861
네이버 지식백과, 식물학백과, “퍼옥시좀”,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82136&cid=62861&categoryId=62861
네이버 지식백과, 식물학백과, “표피세포”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81884&cid=62861&categoryId=62861
네이버 지식백과, 식물학백과, “공변세포”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47199&cid=62861&categoryId=62861
네이버 지식백과, 동물학백과, “골지체”,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69930&cid=63057&categoryId=63057
네이버 지식백과, 동물학백과, “미토콘드리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69912&cid=63057&categoryId=63057
네이버 지식백과, 식물학백과, “편모”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080386&cid=62861&categoryId=62861
네이버 지식백과, 두산백과, “구강상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34337&cid=40942&categoryId=32752
디케이코리아, 기본염색, http://dkkorea.kr/pages/sub03/histopathology01.php (2023.07.05.)
네이버 지식백과, 두산백과, “세포질”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13358&cid=40942&categoryId=32323
네이버 지식백과, 식물학백과, “액포”,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46773&cid=62861&categoryId=62861
네이버 지식백과, 두산백과, “엽록체”,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27049&cid=40942&categoryId=32323
네이버 지식백과, 두산백과, “메틸렌블루”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92841&cid=40942&categoryId=32403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