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Lmo"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리튬 코발트 옥사이드(LCO) 양극재
1.1. LCO의 화학식과 특징
1.2. LCO의 구조
1.3. LCO의 장단점
2. 리튬 망간 옥사이드(LMO) 양극재
2.1. LMO의 화학식과 구조
2.2. LMO의 특징
3. 니켈 망간 코발트 옥사이드(NMC) 양극재
3.1. NMC의 화학식과 구조
3.2. NMC의 특징
4. 유전자 재조합 식품
4.1. 유전자 재조합이란
4.2. GMO와 LMO의 차이점
4.3. 유전자 재조합 식품의 안전성
4.3.1. 인체 위해성
4.3.2. 환경 위해성
4.3.3. 안전 관리
5. 국내 LMO 현황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리튬 코발트 옥사이드(LCO) 양극재
1.1. LCO의 화학식과 특징
리튬 코발트 옥사이드(LCO)의 화학식은 LiCoO2이고, lithium cobaltate나 lithium cobaltite라고도 불린다. LCO양극재는 어두운 파란색이나 푸르스름한 회색을 띄는 결정질 고체이며, 분자량은 97.87g/mol이다. LCO는 리튬 이온 배터리의 양극재에 많이 사용되는 소재이다. LCO는 CoO2와 Li층이 연속적으로 교차되는 층상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양극재 내에 있는 Li이온의 비율에 따라 다른 구조를 갖고 있다. 충전 시 Li1-xCoO2의 구조는 O3 -> O3+P3 -> O1 순으로 상전이가 진행된다. 이러한 LCO는 제조가 쉬워 상용화가 완료되었지만, Co가 희소하여 고가이고 독성과 안전성 문제가 있다. LCO의 이론용량은 모든 Li이온이 탈리될 경우 274mAh/g이지만, 실제 전지의 용량은 145mAh/g 정도이다. 따라서 실제 약 반 정도의 Li이온만이 가역적으로 삽입, 탈리되며, Li이온이 반 이상 탈리되면 전극의 용량 감소가 심각하게 발생한다. 이러한 열화 현상은 Li이온이 적은 상의 LCO의 결정 구조적 불안정성과 이로 인한 결정구조 내에서의 산소 탈리현상, 고전압에서의 전해액의 분해 및 전해액에서의 CO용출 등의 문제로 인해 발생한다.
1.2. LCO의 구조
CoO2와 Li층이 연속적으로 교차되는 층상구조이다. 양극재 내에 있는 Li이온의 비율에 따라 다른 구조를 갖고 있다. 충전시의 Li1-xCoO2의 구조는 O3 -> O3+P3 -> O1 순으로 상전이가 진행된다. O3는 ABCABC, P3는 ABBCCAAB의 순서의 구조를 의미한다.
1.3. LCO의 장단점
LCO는 제조가 쉬워 상용화가 완료되었으며 일반적으로 소형전지에 이용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Co가 희소하여 고가이고, 독성과 안전성 문제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LCO의 이론용량은 모든 Li이온이 탈리될 경우 274mAh/g이지만, 실제 전지의 용량은 145mAh/g정도에 불과하다. 따라서 실제로는 약 반정도의 Li이온만이 가역적으로 삽입, 탈리된다. Li이온이 반 이상 탈리되면 전극의 용량 감소가 심각하게 발생하는데, 이러한 열화 현상은 Li이온이 적은 상의 LCO의 결정 구조적 불안정성과 이로 인한 결정구조 내에서의 산소 탈리현상, 고전압에서의 전해액의 분해 및 전해액에서의 CO용출 등의 문제로 인해 발생한다.
2. 리튬 망간 옥사이드(LMO) 양극재
2.1. LMO의 화학식과 구조
LMO는 리튬 망간 옥사이드(Lithium Manganese Oxide)의 약자이다. LMO 양극재의 화학식은 LiMn2O4이다. LMO는 스피넬 구조를 가지고 있다. 스피넬 구조의 일반식은 AB2O4이며 cubic 격자에 속하고 산소 원자가 cubic closest packing 구조로 채워져 있다. B 원자가 팔면체형으로 6개의 산소 원자에 둘러싸여 있고, A 원자가 4개의 산소 원자로 둘러싸여 있다.
L...
참고 자료
화학대사전, 2001. 5. 20., 세화 편집부 스피넬형 구조 [-型構造, spinel structure, Spinellstruktur]
한동욱, 리튬이온이차전지용 층상구조 양극소재 기술. https://doi.org/10.5757/vacmac.6.2.5
Wikipedia, Lithium cobalt oxide.
Wikipedia, Lithium nickel manganese cobalt oxides.
Wen Liu, Pilgun Oh, Xien Liu, Min-Joon Lee, Woongrae Cho, Sujong Chae, Youngsik Kim, and Jaephil Cho Angew. (2015) Chem. Int. Ed., 54, 4440–4457.
한국바이오안정상징정보센터 www.biosafety.or.kr
네이버캐스트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contents_id=270
KBCH
네이버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95960&mobile&categoryId=5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