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낙상 예방 활동
1.1. 실습 병동 문제점 확인
실습 병동에서 관찰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낙상주의 팻말이 부착되어있는 환자들의 침상난간이 자주 내려져 있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또한 낙상고위험군 환자들이 보조인력이나 간호사의 도움 없이 움직이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낙상 사정도구를 통해 낙상고위험군을 선별하고 있지만, 환자에게 낙상 예방에 대한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 수 없었다. 낙상주의 팻말 부착과 낙상고위험군 팔찌 적용에 대한 업무를 간호조무사가 담당하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실수로 낙상주의 표시와 팔찌를 제거하고 뒤늦게 인지하여 다시 표시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이에 대한 내용은 간호조무사와 간호사 간에 교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1.2. 낙상 문제 선정 및 의사결정
실습 병동에서는 환자의 낙상이라는 중요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2012년 본원의 낙상 발생 건수는 193건이며, 그중 82병동의 낙상 발생 건수는 29건으로 전체 낙상 건수의 14%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신경외과 환자들이 25건, 전체 대비 13%를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신경외과 환자들의 특성상 인지능력과 능동적 활동 능력이 감소되어 낙상의 위험성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환자의 임상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기존의 낙상 예방 방법으로는 82병동 낙상 발생률 감소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팀은 82병동 신경외과 환자들에게 발생되는 낙상 사고의 원인을 분석하고, 특성에 맞는 새로운 낙상 예방 활동의 교육 자료 개발 및 적용을 통해 낙상 발생 감소를 도모하고자 한다.
실습 병동의 문제점으로 낙상이 선정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낙상은 의료기관에서 흔히 발생하는 사고로 심각한 손상을 동반하거나 낙상으로 인한 합병증으로 사망까지 초래할 수 있는 매우 심각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둘째, 82병동은 신경외과 환자들로 구성되어 있어 수술, 재활치료, X-ray, MRI 검사로 인해 다른 병동에 비해 환자 이송 빈도가 잦아 낙상 위험이 크다. 셋째, 신경외과 환자들의 특성상 움직이기 불편하고 본인의 상태와 낙상 위험성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 적극적인 중재가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실습 병동의 핵심 문제로 낙상이 선정되었다.
본 팀은 낙상 예방 활동을 통해 전년도 대비 낙상사고 10% 감소, 환자와 보호자 대상 낙상 예방 교육 자료 개발, 낙상 고위험 환자 예방 활동 체크리스트 개발을 목표로 삼았다. 낙상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는 환자의 낙상 자가 사정 및 낙상에 대한 교육 실시, 휠체어 사용 중 안전 수칙 및 사용법 교육 등이 도출되었다. 이 중에서도 특히 환자에게 낙상 자가 사정 및 낙상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여 환자 스스로 자신의 상태를 인지하게 하고, 휠체어 사용 중 안전 수칙 및 사용법에 대한 교육을 통해 환자 이송 시 낙상 위험을 줄이는 것이 중요한 문제 해결 방안으로 선정되었다.
1.3. 낙상 예방 해결 방안 도출
낙상 예방을 위해 실습 병동에서 발견된 문제점은 낙상주의 표시가 부족하고 낙상고위험군 환자의 자유로운 활동, 낙상 예방 교육의 부재 등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을 도출하였다.
첫째, 병동 간호사와 보조인력 간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낙상주의 표시와 낙상고위험군 환자관리를 체계화한다. 간호조무사 등 보조인력이 낙상주의 표시와 낙상고위험군 팔찌 적용을 담당하고, 간호사는 이를 확인하는 업무를 분담하여 실수를 줄이고 상호 피드백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입원 시 낙상 예방 교육을 강화한다. 환자 및 보호자를 대상으로 낙상의 위험성과 예방법을 체계적으로 교육하여 낙상 위험 인지도를 높이고, 환자 스스로 예방활동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낙상 예방 교육자료를 개발하고, 병동 게시판과 환자 침상 등에 관련 안내문을 부착하는 등 다각도로 접근한다.
셋째, 낙상고위험군 환자의 이동 시 안전을 강화한다. 휠체어와 들것 이용 시 준수해야 할 안전수칙과 사용법을 표준화하고, 이송 요원에 대한 교육을 실시한다. 또한 낙상고위험군 환자의 침상 높이 조절, 센서 경보 등 기술적 지원책을 마련하여 낙상 발생을 예방한다.
이상의 해결방안들은 병동 인력의 낙상 관리 역량을 높이고 환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