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동간호학 배변훈련 시나리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아동간호학 배변훈련 시나리오
1.1. 문헌고찰
1.1.1. 정의
1.1.2. 원인
1.1.3. 증상
1.1.4. 진단
1.1.5. 치료
1.2. 사례
1.2.1. 시나리오 상황
1.2.2. 간호력
1.2.3. 보호자 주호소
1.2.4. 추가 정보
2. 간호과정
2.1. 대상자 문제목록(우선순위 설정)
2.2. 간호과정 적용
3. 결론 및 제언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아동간호학 배변훈련 시나리오
1.1. 문헌고찰
1.1.1. 정의
변비는 대장의 연동 운동이 저하되어 원활한 배변 운동을 하지 못하는 질환을 의미한다. 배변이 1주일에 2회 미만이거나, 배변 시에 굳은 변이 나오거나, 출혈이 동반되는 경우를 변비로 진단한다. 어린이는 보통 성장하면서 장의 운동이 변화하며, 3~4세 정도가 되어야 성인처럼 1~2일에 1~2회 정도의 배변을 할 수 있다. 1세 미만의 영아는 연령에 따른 생리적 특성과 수유, 이유식, 모유 섭취에 따라 하루에 0~9회 정도의 다양한 배변 습관을 보인다. 하루에 1회 이상 대변을 봐야 하지만, 2~3일에 1회 보더라도 대변이 굳지 않고 편하게 대변을 본다면, 변비로 진단하지 않는다.
소아 만성 변비는 주로 이유식 이후 또는 배변 습관을 익히는 시기부터 시작되며, 심리적 또는 신체적으로 배변에 장애를 느끼는 기능성 배변 장애가 많다. 선천성 거대 결장, 선천성 갑상선기능저하증 등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변비는 5~10% 정도에 불과하며, 변비의 대부분은 불규칙한 배변 습관에 기인한다. 정상인의 대변 무게는 하루에 35~225g이며, 식사 부족, 수분 섭취 부족, 배변 습관 불규칙 등으로 인해 변비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외에 나이, 운동 부족, 환경 변화 등도 변비의 원인이 되며, 특히 여성의 경우 다이어트, 임신, 월경, 스트레스가 주요 원인이다. 많은 환자는 변비 유발 원인이 없는데도 변비를 경험하는데, 이러한 경우를 특발성 변비라고 하며, 그 원인은 대장의 전반적인 운동성 저하로 인한 대장 무력증이나 자극성 하제의 과다 복용이다. 변이 대장을 잘 통과하지만 항문 밖으로 배출되지 못하여 발생하기도 한다. 대장암, 대장용종, 게실증, 궤양성 대장염 등 대장 통로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도 변비가 발생할 수 있다.
변비의 주요 증상으로는 배변 시 과도한 힘이 들어감, 변이 과도하게 단단함, 배변 후에도 변이 남은 듯한 느낌, 복부 팽만감, 복통 등이 있다. 하복부의 불쾌감과 항문 출혈이 반복되면 이차적으로 치질, 치열 등이 발생하면서 배변 시 항문 통증, 출혈이 나타날 수 있다. 만성 변비는 식욕 부진, 소화 불량을 유발하며, 이는 다시 변비를 악화시키는 악순환으로 이어진다. 또한 만성 변비는 우울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변비의 진단을 위해서는 상담을 통한 병력 청취와 함께 혈액 검사, 소변 검사, 갑상선 검사 등을 통해 기질적 질환 여부를 확인한다. 필요 시 대장내시경 검사, CT 대장경 검사, 대장 바륨 조영술 등을 실시하여 종양이나 염증성 장 질환 여부를 확인한다. 이러한 검사에서 이상이 발견되지 않는 경우 직장 항문 기능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변비의 치료를 위해서는 먼저 과일, 야채, 잡곡 등의 섬유소가 풍부한 식이 요법이 권장된다. 이를 통해 수분을 충분히 흡수시켜 변을 부드럽게 만들고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대장암의 발생도 억제할 수 있다. 더불어 식사 규칙성과 규칙적인 배변 습관, 운동 등의 생활 요법이 중요하다. 약물 요법으로는 팽창성 하제, 삼투압성 하제, 자극성 하제, 위장관 운동 항진제 등이 사용되며, 관장과 바이오 피드백 치료도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약물 남용은 장 신경 손상 등을 초래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변비가 심한 경우 수술적 치료도 고려될 수 있다. []
1.1.2. 원인
소아 만성 변비는 주로 이유식 이후 또는 배변 습관을 익히는 시기부터 시작된다. 심리적 또는 신체적으로 배변에 장애를 느끼는 기능성 배변 장애가 많은 원인이다. 선천성 거대 결장, 선천성 갑상선기능저하증 등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변비는 5~10% 정도에 불과하다.
변비의 가장 큰 원인은 불규칙한 배변 습관이다. 변이 직장 안에 머물러 있으면 직장벽이 변을 감지하고 변의를 느끼는 배변 반사가 이루어진다. 변의를 무시하면 직장벽의 지각이 둔화되어 변의를 느끼지 못하게 된다.
정상인의 대변 무게는 하루에 35~225g이다. 식사를 충분히 하지 못하거나 물을 충분히 마시지 않거나 배변 습관이 불규칙하면 변비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외에 나이, 운동 부족, 환경이 변비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특히 여성에게 발생하는 변비의 주요 원인은 다이어트, 임신, 월경, 스트레스이다.
많은 환자는 변비 유발 원인이 없는데도 변비를 경험하는데, 이러한 경우를 특발성 변비라고 한다. 그 원인은 대장의 전반적인 운...
참고 자료
열나는 아이, 방치하면 안 되는 이유 '소아 요로감염' [건강프라임-시선뉴스]
https://www.youtube.com/watch?v=Jwq6CjiU7uU
열나고 옆구리가 아파요, 신우신염
https://www.youtube.com/watch?v=qY3IpIqmsDI
아동간호학 하권, 현문사, Chapter 21, 156-160p, 163-166p
성인간호학 제 7판 하권, 현문사, Chapter 18, 요로계 장애 대상자 간호, 118-126p ,174-176p
서울대학교병원 의학백과사전 급성 신우신염
http://www.snuh.org/health/encyclo/view/17/2/1.do
대한비뇨의학회 비뇨기과 건강정보 급성 신우신염
http://www.urology.or.kr/health/sub03.html
서울아산병원 의료정보 질환백과 급성 신우신염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737
강남세브란스병원 진료 및 검사 FAQ 급성 신우신염
https://gs.iseverance.com/dept_clinic/department/nephrology/faq/view.asp?con_no=6419&page=1&SearchField=&SearchWord=
고려대학교안암병원 신장내과 – 의학정보 – 질병정보 – 급성 신우신염
http://anam.kumc.or.kr/dept/disease/deptDiseaseInfoView.do?BNO=164&cPage=&DP_CODE=AANE&MENU_ID=004004
삼성서울병원 신장/비뇨기계 질환 – 급성 신우신염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bv/disease/info/view.do?CONT_ID=1320&CONT_SRC_ID=09a4727a8000f1cb&CONT_SRC=CMS&CONT_CLS_CD=001020001
아주대학교병원 질병정보 – 급성 신우신염
http://hosp.ajoumc.or.kr/HealthInfo/DiseaseView.aspx?ai=486&cp=1&sid=
대한민국 의약품 정보의 표준 약학정보원 – 케토신주사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OOOOO1574
대한민국 의약품 정보의 표준 약학정보원 – 파세타주(또는 데노간)
https://www.health.kr/notice/QnA_view.asp?show_idx=4401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 의약품제품정보 상세보기 – 파테사주
https://nedrug.mfds.go.kr/pbp/CCBBB01/getItemDetail?itemSeq=201105749
대한민국 의약품 정보의 표준 약학정보원 – 맥시부펜시럽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PPPPP0411
KMLE 의학검색엔진 – 암피박탐주
http://www.kmle.co.kr/viewDrug.php?m=%B6%F3%BD%C4&inx=2991&c=9cf66f3471546ed2c3621fe8e2339e91
KMLE 의학검색엔진 – 세포탁심
http://www.kmle.co.kr/viewDrug.php?m=%B6%F3%BD%C4&inx=305&c=f0b1d5879866f2c2eba77f39993d1184
서울아산병원 – 건강정보 – 의료정보 – 의약품정보 – 메로펜 주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XV-MERO500&searchKeyword=
대한민국 의약품 정보의 표준 약학정보원 – 세토펜현탁액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610B0025
Marilyn J. Hockenberry, David Wilson, Cheryl C.Rodgers, 2018, 『아동간호학(각론)』, 현문사, 244-258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네이버 지식백과), “천식”, 2020,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6973&cid=51007&categoryId=51007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네이버 지식백과), “소아 천식”, 2020,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7160&cid=51007&categoryId=51007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네이버 지식백과), “소변 검사”, 2020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19551&cid=51004&categoryId=51004
서울아산병원 의약품 정보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o
서울대학교병원 진단검사의학과
http://snuhlab.org/checkup/check_list.aspx?ins_class_code=&searchfield=TOTAL&searchword=MPV
대한진단검사의학회, “건강진단에서 시행하는 혈액검사들에 대한 안내”, 2020,
http://www.kslm.org/sub01/sub05_4.html
식품안전나라(네이버 포스트), “식품첨가물 ’아황산염‘에 대해 알아봅시다!“, 2017,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8900496&memberNo=25604598&vType=VERTICAL
앙쥬(네이버 포스트), “연령별 육아정보 24~36개월”, 2017,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0457480&memberNo=541939
해차니(네이버 블로그), “[혈액검사해석] 혈액응고검사, 수치, 시간, 과정, 인자, 혈액검사 PT/aPTT, 프로트롬빈, 피브리노겐”, 2018, https://blog.naver.com/lhc930102/221351275796
서울아산의약품 정보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o
베라윤(네이버블로그) https://blog.naver.com/ysvera/2214489967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