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약복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사례
3. 간호사정
4. 간호진단
5. 간호계획
6. 간호수행
7. 간호평가
7.1. 사례관리 성공 및 부진요인
8. 결론
8.1. 느낀점
9.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치매는 정상적으로 생활해오던 사람이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뇌기능이 손상되면서 이전에 비해 인지 기능이 지속적이고 전반적으로 저하되어 일상생활에 상당한 지장이 나타나고 있는 상태이다. 여기서 인지 기능이란 기억력, 언어 능력, 시공간 파악 능력, 판단력 및 추상적 사고력 등 다양한 지적 능력을 가리키는 것으로 각 인지기능은 특정 뇌 부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2. 사례
88세 김오월 할머니는 현재 독거 여성으로 남편은 5년 전에 당뇨 합병증으로 인해 사망한 상태이다. 아들 한 명과 딸 한 명이 있지만 큰 딸은 미국에 살고 있고 다른 자녀도 타 지역에서 살고 있어서 할머니는 자식들과의 왕래가 거의 없는 상태이다.
김오월 할머니는 오래된 주택에서 혼자 살고 있으며 기초생활 수급자로 한 달에 62만원 남짓한 돈을 수급 받고 있다. 할머니는 10년 전 당뇨 진단을 받았으며 독거로 인한 불규칙한 식습관과 노환으로 인해 거동이 불편하여 누워서 하루 종일 티비만 보고 있다.
김오월 할머니 집에 방문하는 요양보호사의 말에 따르면, 요즘 할머니가 혼잣말을 자주하고 멍하니 있으며 오늘이 며칠인지 인지하지 못한다. 동구보건소 방문간호사는 치매안심센터와 연계하여 김오월 할머니댁에 방문하여 치매선별검사를 실시하였고, 선별검사결과 인지저하가 나왔고 기억력 및 지남력 장애 증상이 발생하고 있었다.
3. 간호사정
대상자 김오월 할머니의 건강 상태 및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간호사정을 수행하였다.
대상자는 84세 여성으로 독거 생활을 하고 있다. 과거력으로 당뇨병과 치매 진단을 받았으며, 2014년도에 두 차례 관절부위 골절이 있었다. 현재 좌측 팔관절 구축과 양하지 관절 구축이 심하며, 전반적인 신체기능이 저하되어 있다. 지난 8월에는 좌측 무릎 대퇴골절이 발생하여 부목고정을 하였고, 욕창도 동반되었다.
활력징후는 혈압 120/80mmHg, 체온 36.5℃, 맥박 115회/분, 호흡 18회/분으로 측정되었다. 체중은 40kg이며, 키는 153cm로 BMI는 17.09로 저체중 상태이다.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을 평가한 결과 대부분의 영역에서 완전 도움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 관련 검사 결과, MMSE 점수가 23점으로 치매 및 인지기능 저하가 의심되었다. 또한 단축형 노인우울척도 검사 결과 9점으로 경증 우울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낙상위험도 평가에서...
참고 자료
윤숙희 외(2010), 노인간호학, 수문사
[네이버 지식백과] 치매 [dementia]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7317&cid=51007&categoryId=51007#TABLE_OF_CONTENT1
지역사회보건간호학 편찬위원회(2022), 최신 지역사회보건간호학Ⅰ, 수문사,
오마하 간호진단 p.232-237, 간호진단의 우선순위결정/계획/목표/평가 p240-250
박은영(2019),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