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임신성당뇨와 조기양막파수의 간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조기양막파수의 정의
2.2. 조기양막파수의 원인
2.3. 조기양막파수의 병태생리
2.4. 조기양막파수의 증상
2.5. 조기양막파수의 진단검사
2.6. 조기양막파수의 치료
2.7. 조기양막파수의 합병증과 예후
2.8. 조기양막파수에 대한 간호중재
3. 간호과정
3.1. 간호력(사례연구)
3.2. 간호과정 적용
4. 결론
5. 느낀점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산모의 출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조기양막파수, 출산 후 출혈, 자궁경관무력증 등의 임신 합병증이 늘어나고 있다. 자연조산은 자연적인 조기 진통, 조기 양막 파수로 인한 조산을 지칭하며 전체 조산의 약 75%를 차지한다. 조기양막파수는 임신 주수와 관계없이 진통이 오기 전 양막이 파열하여 흐르는 상태이다. 임신부와 태아에게 큰 위험을 줄 수 있는 조기양막파수에 대한 정의, 원인, 간호 중재 등을 살펴보고 조기양막파수 발생 시 간호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여 해결함으로써 합병증을 최소화하여 산모와 아기가 모두 건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2. 본론
2.1. 조기양막파수의 정의
조기양막파수란 임신 주수와 관계없이 진통이 오기 전 양막이 파열하여 흐르는 상태이다. 조기 양막파수는 만삭 조기파막과 만삭 전 조기파막으로 나뉘는데, 만삭 조기 파막은 임신 37주 이후 분만이 시작되기 전에 양막이 파열되고 24시간 이내에 80~90%가 분만이 시작되는 반면, 만삭 전 조기파막은 임신 37주 미만에 진통이 생기기 전 파막이 된 것으로 진통은 파막 후 수일 ~ 수주 이후 시작된다. 특히 만삭 전 조기 파막은 만삭 조기파막보다 융모양막염과 자궁내막염의 발생빈도가 높아 감염으로 인해 임부와 태아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 또한, 양수가 터진 후 24시간 후부터 감염이 발생빈도가 높아지므로 항생제를 사용한다.
2.2. 조기양막파수의 원인
원인은 확실치 않으나 임신 말기에는 자연적으로 발생한다. 경관 무력증, 선진부의 진입 지연, 양수과다증과 다태임신으로 자궁 내 압력이 높은 경우, 산부의 연령, 다산부, 흡연, 조산, 임신 중 체중증가의 부족 등과 관련이 있다. 임신중기라면 파막 이전에 있었던 국소적 감염이 산도를 통해 상행성 감염을 일으키면 태아막이 약화되어 파막이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양수과다, 자궁경부 무력증, 양막 천자 후, 흡연, 다태임신, 태반조기박리, 이전의 만삭 전 조기파막, 자궁경관 수술, 경관의 열상 등과도 관련이 있다.
조기양막파수의 원인은 다양한 요인들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자궁 내 압력 증가, 감염, 이전 병력, 임신 합병증 등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조기양막파수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조기양막파수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임신 중 이러한 위험요인들에 대한 관리와 주의가 필요하다.
2.3. 조기양막파수의 병태생리
양막의 강도, 자궁의 압력, 화학적 변화가 조기양막파수의 병태생리이다.
개인에 따라 양막의 강도에 차이가 있으며, 만삭 즈음 자궁 입구가 부드러워지듯이 양막의 강도도 시간이 지나면서 감소한다. 과거에 조기양막파수로 조산을 경험한 사람은 다음에도 재발할 가능성이 크다.
양막이 터진 부위와 그 주변을 제외하면 양막의 강도에는 차이가 없다. 양수과다증이나 다태아 등으로 인해 양막에 강한 압력이 가해지면 파열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대부분 조기양막파수가 쉽게 일어나지 않으며, 분만 시 자궁수축이나 태아가 만출되기 직전에도 양막이 터지지 않는 경우를 보면 양막이 터지는 기전이 단순하지 않다.
자궁 입구나 산도에 염증과 관련된 어떤 물질의 작용으로 화학적 변화가 일어나 양막의 분해 및 파열이 발생할 수 있다. 자궁의 압력과 화학 작용이 동시에 작용하여 조기양막파수가 일어날 가능성도 있다.
2.4. 조기양막파수의 증상
양수가 터져 질을 통해 따뜻하고 묽은 분비물이 나오는 것이 조기양막파수의 가장 대표적인 증상이다. 때로는 양수가 한꺼번에 많이 나오기도 하지만, 아무런 증상 없이 조금씩 흘러나오는 경우도 있다. 양수는 소변과 비슷한 맑은 액체로 보이지만, 소변과 달리 힘을 주지 않아도 저절로 흘러나온다. 이러한 증상이 있다면 조기양막파수가 발생한 것으로 거의 확실하다.
2.5. 조기양막파수의 진단검사
양막 파열이 의심되는 경우 진단검사를 통해 파막 여부를 확인한다. 직접 파막 여부를 진단하는 방법에는 니트라진 검사와 Actim 검사가 있으며, 태아섬유결합소(FFN) 검사로 조산의 위험성을 예측할 수 있다.
니트라진 검사(Nitrazine Test)는 알칼리성 양수를 나이트라진 종이에 닿게 하면 노란색의 검사지가 녹...
참고 자료
제 8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II/ 수문사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DDDDD0156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KP08H0014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PPPPP1185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BBBBB1168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JJJJJ0084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20011000003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500A0097
https://kmbase.medric.or.kr/Fulltext/03903/1995-5-2/41-48.pdf
https://sev.severance.healthcare/health/encyclopedia/treat_board.do?mode=view&articleNo=67023&title=%EC%9D%B8%EC%8A%90%EB%A6%B0
https://www.amc.seoul.kr/asan/depts/nm/K/bbsDetail.do?menuId=920&pageIndex=1&searchCondition=&searchKeyword=&contentId=112155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106
http://www.snuh.org/health/tv/view.do?seq_no=72
http://www.motaean.com/sub.php?code=03_depa010502
https://www.hankyung.com/news/article/2004041929158
https://www.wedd.tv/news/articleView.html?idxno=5715
http://www.doctors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218134
https://medigatenews.com/news/1235124231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3458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45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900
http://www.obdocmin.com/sub.php?code=283
류지원, 노영호, 한상원, 하현용, 김의혁. "단일 기관에서의 질식분만과 제왕분만의 장단점에 대한 분석."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54.6 (2011): 279-285.
현문사 / 제 8판 성인간호학 하권 / 유양숙 외 9명 / 2022.02 / p65-74
여성건강간호학 Ⅱ, 수문사, 제 10판,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2020, 180~184, 445~446p
여성건강간호학 임상실습 지침서, 은학사, 이상복, 한지우, 최은영, 2021,139~148p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 수문사, 개정판, 성미혜, 정향미, 박은영, 김영희, 박진희, 2020
정지윤·문종수, 만삭전 조기양막파수의 처치, 한림대학교 외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Korean Journal of Fetal MedicineVol. 4 No. 3 September 2008, 199~207page
가천대 길병원 조기양막파수
https://www.gilhospital.com/-483
[네이버 지식백과] 양막 파수 [rupture of membrane]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7480&cid=51007&categoryId=51007&anchorTarget=TABLE_OF_CONTENT4#TABLE_OF_CONTENT4
서울아산병원_조기양막파열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45
차케어스 건강정보
https://www.chamc.co.kr/health/guide/default.asp?ct_id=326&cc_id=32606
대한진단검사 의학회 – 임상검사 수치 임상적 의의
https://labtestsonline.kr/
식품의약품 안전처
https://nedrug.mfds.go.kr/pbp/CCBBB01/getItemDetail?itemSeq=1982000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