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대동맥판막 협착증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우리나라가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노인 인구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류마티스열이 대동맥판막 협착증의 주요 원인이었으나, 최근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감염성 질환이 감소하였다. 이에 따라 현재는 노화로 인한 퇴행성 변화가 주된 원인으로 대두되었다. 노인 인구가 늘어나는 시점에서 대동맥판막 협착증 환자가 늘어나게 된 것이다. 또한 의학 기술의 발전으로 TAVI라는 수술법이 개발되어 흉골 절개를 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수술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간호학도로서 이러한 발전에 발맞추어 대동맥판막 협착증 환자에게 효과적인 간호를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1.2. 연구의 목적
대동맥판막 협착증의 치료 및 간호에 관한 연구의 목적은 대동맥판막 협착증의 원인, 증상, 진단검사 등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동맥판막 협착증 환자에 대한 효과적인 간호중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대동맥판막 협착증의 원인은 퇴행성 변성, 류마티스성 판막 변성, 선천적 판막 기형이며, 증상으로는 흉통, 실신, 숨참, 가슴 두근거림 등이 나타난다. 진단검사로는 심장 초음파, 관상동맥 조영술 등을 실시하여 질환의 중증도를 평가한다. 대동맥판막 협착증의 치료는 내과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구분되며, 내과적 치료로는 이뇨제 등의 약물 투여, 수술적 치료로는 대동맥판막 성형술 및 대동맥판막 치환술이 있다. 또한 간호사는 환자의 증상 관리, 수술 전후 관리, 약물 부작용 관찰 등의 간호중재를 제공하여 환자의 치료 과정을 돕는다. 이를 통해 대동맥판막 협착증 환자의 삶의 질 향상과 치료 효과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 문헌고찰
2.1. 대동맥판막 협착증의 정의
대동맥판막은 좌심실과 대동맥 사이에 위치하며, 대동맥의 혈액이 좌심실로 역류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대동맥판막은 정상 구조에서 3개의 얇은 소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위에서 내려다 보았을 때 'ㅅ'자 모양을 하고 있다. 대동맥판막 협착증이란, 대동맥판막이 어떤 이유에서든지 좁아지게 되어 심장에서 온몸으로 혈액이 이동하는 과정에 장애가 생기며, 이를 보상하기 위해 심장은 더욱 더 강하게 수축하게 되는 상태를 말한다. 결과적으로 시간이 흐를수록 심장 근육이 비후되고, 이로 인해 심장 기능에 이상이 오게 됨에 따라 호흡 곤란, 흉통 및 실신 등의 증상이 발생하게 된다.
2.2. 대동맥판막 협착증의 원인
퇴행성 변성(degenerative change)은 가장 흔히 일어나는 변화로, 대동맥판막뿐만 아니라 인체 내 다른 여타 조직들에서도 나타난다. 나이가 들어가면서 조직학적인 노령화가 진행되어 판막이 탄성을 잃고 섬유화가 진행되며 칼슘이 침착되어 딱딱해지기 때문이다.
류마티스성 판막 변성(Rheumatic degeneration)은 A군 연쇄상구균 감염에 의한 지연성 후유증으로 발생한다. 류마티스열은 심장, 관절, 피하조직, 중추신경계를 침범하는 염증성 질환으로, 심장 이외의 다른 장기는 치료하지 않더라도 별다른 후유증 없이 소실되지만 심장 염증은 후유증을 남겨 판막이 두꺼워지거나 섬유화 등의 과정을 거쳐 판막질환을 남기게 된다.
선천성 판막 기형의 경우, 대동맥판막이 정상적으로 3개의 판막엽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발생과정에 문제가 생겨 태어날 때 두 개의 판막엽을 가지고 태어나는 경우가 있다. 이를 이엽성 대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