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흑색종 case"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악성 흑색종의 정의와 특징
2.1. 악성 흑색종의 개념 및 특징
2.2. 악성 흑색종의 원인 및 위험요인
2.3. 악성 흑색종의 임상증상
2.4. 악성 흑색종의 유형
3. 악성 흑색종의 진단 및 검사
3.1. 진단 방법
3.2. 검사 종류 및 절차
4. 악성 흑색종의 치료
4.1. 내과적 치료
4.2. 외과적 치료
5. 악성 흑색종 환자의 간호
5.1. 입원 환자 사정
5.2. 간호 진단 및 중재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악성 흑색종은 피부 표피의 멜라닌 색소 생성세포에서 발생하는 가장 치명적인 피부암이다. 전 세계적으로 악성 흑색종의 발생률과 사망률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백인 인구밀도가 높은 지역에서 연간 7~15%씩 증가하고 있다. 이는 1990년대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한 수치이다. 악성 흑색종은 전이 가능성이 높으며 생존률은 조기 발견 및 치료에 달려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악성 흑색종의 정의, 원인 및 위험요인, 임상증상, 유형, 진단 및 검사, 치료법, 환자 간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2. 악성 흑색종의 정의와 특징
2.1. 악성 흑색종의 개념 및 특징
멜라닌 색소를 생성하는 멜라닌 세포의 악성화로 인해 발생하는 종양이 악성 흑색종이다. 악성 흑색종은 피부에 발생하는 암 중 가장 악성도가 높은 질환이다. 피부에 발생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지만 안구, 점막, 중추신경계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멜라닌 세포가 존재하는 모든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다.
악성 흑색종의 발생률과 사망률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백인 인구가 많은 국가에서 해마다 7-15% 정도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1990년대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한 수치이다. 악성 흑색종은 전이가 잘 되는 특징이 있어 생존률은 조기 진단과 치료에 크게 좌우된다. [1,2,3]
2.2. 악성 흑색종의 원인 및 위험요인
백인에서 악성 흑색종의 발생은 유전적 요인과 자외선 노출이 가장 중요한 원인이다. 가족력이 있는 경우와 금발에 푸른 눈을 가진 사람들은 자외선 노출에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백인의 경우 원래 가지고 있던 색소성 모반에서 흑색종이 발생하는 경우가 20~50%에 달한다. 특히 선천성 색소성 모반이나 비정형 색소성 모반에서 흑색종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정확한 빈도는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다. 한국인의 경우 원래 가지고 있던 모반에서 흑색종이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며, 한국인에게 더 많이 발생하는 유형인 손바닥, 발바닥, 손톱 밑 발생 유형은 자외선 노출과 무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 세계적으로 흑색종의 발생률과 사망률은 증가 추세에 있으며, 백인이 많이 거주하는 국가에서 연간 7-15%씩 증가해 왔다. 이는 1990년대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한 수치이다. 나이가 증가할수록 발생률이 높아져서 19세 이하에서는 매우 드물지만 20대부터 점차 증가하여 40대 이상에서 급격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2.3. 악성 흑색종의 임상증상
흑색종의 가장 두드러진 임상증상은 수개월에 걸쳐 진행되는 피부병변의 변화이다. 병변이 너무 빨리 자라서 열흘만에 크기가 두 배가 되면 염증이 생긴 것이다. 병변이 너무 느리게 변해서 대상자나 가족 모두 변화를 감지하지 못할 정도면 대개 양성이다.
흑색종에서 보이는 대표적인 변화로는 첫째, 비대칭(Asymmetry)이다. 둘째, 경계가 불규칙(Border irregularity)하다. 셋째, 색깔의 비균질성(Color variegation, 한 병변 내에 갈색, 흑색, 푸른색 등의 다양한 색상이 관찰됨)이 특징이다. 넷째, 직경이 6mm 이상(Diameter greater than 6mm)이 된다.
그 외에도 병변의 크기가 2배로 커지는 데 3개월에서 8개월이 걸린다는 것과 출혈, 소양증, 궤양, 색깔의 변...
참고 자료
황옥남, 유약숙 외 2명 「성인간호학(하)」제7판 현문사 2018.
박은영, 송미령 외 3명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엘스비어
대한 피부암학회, 대한피부과학회 공저「한국인의 피부암」
대한피부과학회 교과서 편찬위원회. 「대한의학서적 피부과학」제6판
Cutaneous Melanoma. Bailey EC, Sober AJ, Tsao H, Mihm MC, Johnson TM. in Fitzpatrick‘s Dermatology In General Medicine 8th ed.
Stebbins WG, Garibyan L, Sober AJ. Sentinal lymph node biopsy and melanoma: 2010 update Part1. J Am Acad Dermatol 2010;62:723-6.
이석종, 이수정, 피부흑색종. J Korean Med Assoc. 2018 Nov;61(11):662-669.
이재훈, Lee JH, 외상성 연부조직 손상의 치료: 유리 피판술. J of the Korean Fracture Society. 2010 Apr:257-262.
약학정보원
성인간호학 제 5판 상권 현문사 -전시자 외.
성인간호학 Volume 2 정담미디어 -이영휘 외
드러그 인포 http://www.druginfo.co.kr/
킴스온라인 http://www.kimsonline.co.kr/
간호사를 위한 임상약리학 E*PUBLIC- Sally S. Roach, Susan M. Ford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최순희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