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심부전의 연구 필요성과 목적
심장은 하루 10만 번 이상 수축하여 전신에 혈액을 공급하는 강력한 펌프이다. 그러나 심장의 구조적 또는 기능적 이상으로 인해 심장이 혈액을 제대로 공급하지 못하는 경우 심부전이 발생할 수 있다. 최근 의학기술의 발달로 심부전의 주요 원인인 고혈압, 허혈성 심장질환 등의 치료가 발전하면서 심부전 환자의 생존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심부전은 심각한 질병이며, 사망률과 재입원율이 높은 편이다. 따라서 심부전 환자의 증상을 완화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절한 간호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심부전 환자를 사정하고 간호진단을 내려 대상자에게 필요한 간호를 제공하고자 한다.
1.2. 심부전 정의와 해부학적 구조
심장은 강한 근육으로 된 펌프로서 혈액을 전신에 순환시켜 산소와 영양소를 공급하고 몸에서 생긴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을 거두어들여서 우리의 생명을 유지하는 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장기이다. 심부전은 이러한 심장의 기능이 구조적 또는 기능적 이상으로 심장이 혈액을 받아들이는 충만 기능(이완 기능)이나 짜내는 펌프 기능(수축 기능)이 감소하여 신체 조직에 필요한 혈액을 제대로 공급하지 못해 발생하는 경우이다. 심장은 심낭에 둘러싸여 있으며 약 10~20mL의 심낭액이 있고, 총 4개의 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분간 72회 정도로 박동하고, 1회 70mL 정도의 혈액을 내보내 1분당 5L 정도, 하루에 약 7,000L 이상의 혈액을 분출한다. 신체활동을 할 때 말초조직의 산소요구가 증가하면 심박출량이 평소보다 2배 정도 많아진다.
2. 본론
2.1. 심부전의 병태생리
심장은 구조적 또는 기능적 이상으로 인해 혈액을 받아들이는 충만 기능(이완 기능)이나 짜내는 펌프 기능(수축 기능)이 감소하여 신체 조직에 필요한 혈액을 제대로 공급하지 못하게 된다. 이는 용적 과부하, 압력 과부하, 심실 충만 장애, 심근의 수축력 저하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게 된다.
용적 과부하는 심부전이 발생하는 대표적인 경우로, 이완말기 용적 증가로 인해 심박출량이 증가하지 않게 되어 결국 용적 과부하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대동맥판 폐쇄부전증, 승모판 폐쇄부전증 등의 질환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단위 시간 내 IV 용액 과잉 주입, Na+ 나 수분 정체, 갑상선 기능 항진증, 비만, 임신 등의 요인도 용적 과부하를 유발할 수 있다.
압력 과부하는 후부하 증가로 인해 좌심실 수축력이 감소하여 박동량과 심박출량이 감소하게 되는 경우이다.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고혈압, 대동맥판 협착증 등이 있다.
심실 충만 장애는 출혈, 쇼크, 화상, 탈수 등으로 인해 심장 정맥환류량이 감소하여 심실 충만이 부족해지면서 심박출량을 유지할 수 없게 되는 경우이다.
심근의 수축력 저하는 허혈성 심질환, 염증성 심질환, 만성적 심장 과부하 등으로 인해 심근 수축력이 저하되어 심박출량이 감소하게 되는 경우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심장의 펌프 기능이 저하되면 결과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