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알츠하이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알츠하이머병 정의 및 증상
2.1. 알츠하이머병의 정의
2.2. 알츠하이머병의 주요 증상
3. 알츠하이머병의 원인
3.1. 연령의 증가
3.2. 외인성 독소
3.3. 유전적 요인
3.4. 아밀로이드 단백질
4. 알츠하이머병의 병태생리
4.1. 신경원섬유 덩어리와 아밀로이드반
4.2. 신경전달물질의 변화
5. 알츠하이머병의 진단
5.1. 인지기능 검사
5.2. 영상의학적 검사
5.3. 감별 진단
6. 알츠하이머병의 치료 및 간호
6.1. 약물 요법
6.2. 사회환경적 요법
6.3. 가족 및 지역사회 중심 치료
7. 결론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알츠하이머병은 치매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퇴행성 뇌 질환이다. 65세에서 85세 범위 내에서는 나이가 5세 증가할 때마다 알츠하이머병의 발병률이 2배씩 높아진다. 일단 발병하면 계속 진행되고 근본적인 치료법이 없으며, 연령대별 정상군에 비해 평균 기대수명이 단축된다. 알츠하이머병은 아밀로이드와 같은 신경 독성물질의 축적으로 인한 양측 측두엽의 기능 저하로 시작되고, 점차 비정상적으로 뭉쳐있는 특징적인 단백질 덩어리 즉, 노인판과 신경섬유농축제 등이 전반적인 뇌의 피질부로 확산되면서 병이 진행된다. 알츠하이머병의 정확한 발병기전과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았다.
2. 알츠하이머병 정의 및 증상
2.1. 알츠하이머병의 정의
알츠하이머병은 치매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퇴행성 뇌 질환이다. 65세에서 85세 범위 내에서는 나이가 5세 증가할 때마다 알츠하이머병의 발병률이 2배씩 높아진다. 알츠하이머병은 일단 발병하면 계속 진행되고 근본적인 치료법이 없으며 연령대별 정상군에 비해 평균 기대수명이 단축된다. 알츠하이머병은 아밀로이드와 같은 신경 독성물질의 축적으로 인한 양측 측두엽의 기능 저하로 시작되고, 점차 비정상적으로 뭉쳐있는 특징적인 단백질 덩어리 즉, 노인판과 신경섬유농축제 등이 전반적인 뇌의 피질부로 확산되면서 병이 진행된다.
2.2. 알츠하이머병의 주요 증상
기억력 감퇴는 알츠하이머병의 초기부터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이다. 최근의 대화 내용을 반복적으로 묻게 되고, 약속을 잊는 일이 잦아지며, 최근에 있었던 일이나 사건을 기억하지 못하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좀 더 진행하면 사람 만난 일을 잊거나 식사를 하고 난 지 얼마 되지 않아 밥을 찾기도 하며 금방 들었던 말도 곧 잊어버리게 된다. 초기에는 자신의 신상에 관한 정보나 오래된 과거에 대한 기억은 비교적 잘 유지되는데, 병이 진행하면 점차 이마저도 잊게 된다.
언어능력 저하도 초기에는 말을 하려 할 때 적절한 단어가 떠오르지 않아 '그것, 저것' 등의 대명사로 표현하거나, 말을 주저하고 말문이 막히는 '단어 찾기 곤란' 증상이 나타난다. 이때는 말을 비교적 유창하게 할 수 있어 주변에서 언어장애가 있다는 것을 잘 느끼지 못한다. 그러나 병이 점차 진행하면서 점차 말로 표현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말수도 줄게 되며, 상대방의 말을 잘 이해하지 못하게 된다.
지남력 저하도 나타난다. 초기에는 시간 지남력이 저하되어 날짜나 요일을 모르는 증상이 나타나고 심해지면 연도나 계절을 파악하지 못하고 낮과 밤을 혼동하기도 한다. 시간 지남력보다 좀 늦게 장소에 대한 지남력 저하나 나타나는데 처음에는 익숙하지 않은 장소에서 혼동을 보이다가 진행되면 늘 다니던 익숙한 곳에서 길을 잃어 헤매는 일도 생긴다. 그러다가 결국에는 자신이 있는 곳이 어디인지 전혀 알지 못하게 된다. 사람에 대한 지남력 장애는 가장 늦게 나타나는데 먼 친지부터 시작해서 진행하면 늘 함께 지내는 자녀나 배우자를 알아보지 못하게 되기도 한다.
판단력 및 일상생활 수행 능력의 저하도 나타난다. 병이 진행하면서 추상적으로 사고하고, 문제를 해결하며, 적절한 결정이나 판단을 내리는 능력이 저하된다. 따라서 일을 계획하거나 결정하며 제대로 수행하는 것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결국에는 식사하기, 대소변 가리기, 몸치장하기, 위생관리 등 가장 기본적인 일상 활동도 스스로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이외에도 알츠하이머병 환자에게서는 성격 변화, 초조행동, 우울증, 망상, 환각, 공격성 증가, 수면장애, 무감동 및 무관심 등 이른바 '정신행동증상'이 흔하게 동반된다. 본래의 성격과 다르게 의욕이 없고 사람들과 어울리지 않고 집에만 있거나, 반대로 사소한 일에도 짜증, 화, 공격적인 ...
참고 자료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알츠하이머병”,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6690&cid=51007&categoryId=51007, 2023.08.15.
유양숙 외, 「성인간호학(하) 제8판」, 현문사, 2022, p500~507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 상,하 (9판), 수문사, 2019
이동숙 외, 기본간호학 상, 하 (9판), 메디컬사이언스, 2019
한국노인간호학회, 노인간호학, 현문사, 2020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2018년, 원종순
비판적 간호과정, 김혜령, 신한대학교, NANDA2018
포널스's 포켓시리즈 간호진단 – 포널스 출판사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 – JMK
EduCase, 핵심임상간호 매뉴얼, 성인간호학
KIMS 의약정보센터 (www.kims.co.kr)
국가건강정보포털 (www.health.mw.go.kr)
변재종, 노인 맞춤운동, 우송대학교,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춘계학술대회, 2008년
서울 아산병원, 치매환자의 일상생활 관리, https://www.youtube.com/watch?v=v5yapmVIA0Y
이정숙 외, 노인건강간호학, 정담미디어, 2012 (349p)
최순희 외. 간호과정. 2013
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98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알츠하이머]
https://namu.wiki/w/망상장애 나무위키 [알츠하이머]
보건복지부 보도자료4월 13일(목) 조간 (4.12.12시 이후 보도)
대한정신건강희학과의사회
http://www.kmle.co.kr/ 의학검색엔진
http://www.druginfo.co.kr/ 드러그인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