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탁구 수업지도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탁구의 역사
1.1. 탁구의 최초 역사
1.2. 한국의 탁구 역사
2. 탁구 용구 및 경기장 규격
2.1. 탁구 경기장 규격
2.2. 탁구대 규격
2.3. 탁구 공과 라켓
3. 탁구 경기 방법
3.1. 서브의 종료
3.2. 복식 경기 서브 방법
4. 수업 지도안
4.1. 10차시 수업 지도안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탁구의 역사
1.1. 탁구의 최초 역사
탁구의 기원이나 발상지는 정확하지 않다. 중세기 이탈리아의 '루식 필라리스'라는 놀이에서 변한 것이라고 하기도 하고, 15~16세기경 프랑스 궁전의 '라파움'이라는 놀이가 변화하여 탁구가 되었다고도 한다. 또한 1880년대에 영국에서 고안되었다는 설과 뉴잉글랜드에서 시작되었다는 주장도 있다. 헝가리의 '케렌'이 저술한 책에는 2천년 전 일본의 공가들이 깃털로 놀이를 했다는 기록도 있으며, 우리나라 학자들은 신라의 화랑들이 즐겼던 축국이 그 원형이라는 견해를 제시한 바 있다. 하지만 대체로 남아프리카, 인도 등 영국 식민지에 살던 영국인들이 더위를 피해 실내에서 놀 수 있는 유희로서 방바닥에 네트를 친 실내경기로 만들었다는 것이 통설이 되고 있다. 초기에는 그 명칭도 일정하지 않아서 고지마, 위프와프, 프림프람 등 여러 가지로 불리어졌다.
1.2. 한국의 탁구 역사
우리나라에 탁구가 도입된 것은 상세히는 알 수 없으나 1924년 경성일일 신문사가 제1회 탁구 경기대회를 개최하면서 급격한 보급이 시작되었다. 이후 1926년 동 신문사가 주최한 제2회 대회에는 300여 명의 남녀 선수가 참가하는 성황을 보였다. 우리의 손으로 첫 대회를 연 것은 YMCA가 1928년 2월에 YMCA체육관에서 제1회 조선 탁구대회를 처음으로 개최한 것이다. 이후 해방이 되자 1945년 11월 조선 탁구 협회가 발족되고 전국 선수권 대회가 개최되어 국제 진출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2. 탁구 용구 및 경기장 규격
2.1. 탁구 경기장 규격
경기장의 길이는 14m이고 폭은 7m이며 높이는 마루 위 5m이다. 조명은 세계 선수권 및 올림픽 대회에서 탁구대 위 1000룩스, 탁구대 외부는 500룩스를 유지해야 한다. 탁구대 코트는 직사각형이며 가로×세로가 152.5×274cm이고 두께는 2.5cm, 높이는 바닥에서 76cm에 수평면상에 놓여진다. 탁구대 표면의 가장자리에는 너비 2cm의 흰 선을 그는데, 274cm를 따라 그어진 선을 사이드라...
참고 자료
대구광역시 교육청, 2010, 스포츠 과학, 대구광역시 교육청
정철수 외 4인, 2011, 고등학교 체육 교사용 지도서, 금성출판사
박정준 , 2012, 중등체육, 두산
KBS2 우리 동네 예체능 영상1 http://www.youtube.com/watch?v=0bXzA80M4dw
KBS2 우리 동네 예체능 영상2 http://www.youtube.com/watch?v=zOVtiJmKKuw
대한 탁구 협회 http://www.koreatta.or.kr/intro.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