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형외과 수술30가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정형외과 수술30가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본론
2.1. 정형외과 수술 개요
2.1.1. 어깨 수술
2.1.2. 골절 수술
2.1.3. 무릎 수술
2.1.4. 척추 수술
2.1.5. 발 수술
2.2. 정형외과 수술의 종류 및 특징
2.2.1. Debridement and wound closure
2.2.2. Total Shoulder arthroplasty
2.2.3. ORIF, CR, EF
2.2.4. ACL repair, Menicus tear repair & Menisectomy
2.2.5. HTO, TKA
2.2.6. Caudal nerve block, VP, KP
2.2.7. Laminectomy, Discectomy, PLIF
2.2.8. ACDF
2.2.9. Hallux valgus, Amputation
2.2.10. 발목 외측 인대 봉합술
2.2.11. Tenorraphy & Neuroraphy
2.2.12. A1 pulley release
2.2.13. 대퇴경부 내측/외측 골절 수술, THR
2.2.14. Bipolar hemiarthroplasty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정형외과 수술의 필요성 및 목적

정형외과는 골격계와 관절계의 손상 및 질환을 치료하는 의학 분야이다. 정형외과 수술은 이러한 손상과 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다양한 정형외과 수술의 종류와 특징, 그리고 수술 전후 간호 과정을 체계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정형외과 실습에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정형외과 질환 환자에게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간호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2. 본론
2.1. 정형외과 수술 개요
2.1.1. 어깨 수술

회전근개는 어깨 관절을 움직이는 운동원으로 기능과 동정인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힘줄이다. 회전근개는 supraspinatus(극상근), infraspinatus(극하근), Teres minor(소원근), subscapularis(견갑하근)으로 구성되어 있다. 어깨 관절의 안정성이 떨어지면 움직임 제한이 발생한다. 어깨를 들어올릴 때 회전근개와 삼각근이 작용하여 rolling과 sliding의 움직임을 만들어주며, 상완골두와 견봉 사이의 공간인 견봉하 공간이 좁아지면서 극상근의 마찰과 충돌이 반복적으로 발생한다. 이를 'Shoulder impigment'라 하며, 회전근개나 점액낭의 염증이 생긴다. 이를 치료하기 위해 회전근개 봉합술(Rotate cuff repair)을 시행한다. 이 수술은 관절내시경 카메라와 shaver로 염증 조직을 제거하고, 손상된 힘줄을 봉합하여 고정하는 것이다. 회전근개의 퇴축이 심한 경우에는 회전근개 봉합술이 어려워 전 인공관절 치환술(Total Shoulder arthroplasty)을 시행한다. 이 수술은 실제 인체 원형과 반대 형태의 인공관절을 사용하는데, 회전근개가 완전히 망가진 환자에게 큰 도움이 된다.


2.1.2. 골절 수술

ORIF(관열적(개방) 정복 고정술)은 골절된 부위의 피부 및 연부 조직을 절개하고 뼈를 노출시켜 정렬을 맞추는 수술이다. 골절 주위 신경이나 혈관의 동반 손상이 의심되는 경우에 주로 시행한다.

CR(비관혈적(폐쇄) 정복 고정술)은 뼈를 노출시키지 않고 골절된 부위를 정렬하고 K-wire로 고정하는 수술이다.

EF(외부고정술)은 외부고정틀을 부착하고 골절 상・하부에 핀을 삽입하여 고정하는 방법이다. 골절에 합병증이 발생하여 다른 방법으로 치료하기 어려운 경우에 주로 적용되며, 경골, 비골 골절에 많이 사용된다.

골견인은 골절이나 탈구를 정복하거나 수술까지의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시행한다. 피부 및 뼈를 절개하지 않고도 골절 부위의 정복과 고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골절 수술에는 ORIF, CR, EF, 골견인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며, 각 술식은 골절의 위치, 정도, 합병증 등에 따라 선택된다. 이러한 수술적 치료는 골절 치유와 기능 회복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이다.


2.1.3. 무릎 수술

무릎 수술은 무릎관절 부위의 다양한 질환이나 외상을 치료하기 위해 시행되는데, 크게 무릎인대 수술, 반월상 연골 수술, 무릎 관절 성형술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무릎인대 수술은 무릎관절을 안정화시켜주는 중요한 구조물인 전방십자인대(ACL), 후방십자인대(PCL), 내측부인대(MCL), 외측부인대(LCL) 등의 손상을 치료하는 것이다. 특히 전방십자인대 파열은 몸을 지지하지 못하고 무릎이 겹치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므로, 이 경우 자가건을 이용한 ACL 재건술을 시행한다.

반월상 연골 수술은 무릎관절 내부에 위치한 반월연골의 파열 및 퇴행성 변화를 치료하는 것으로, 연골 가장자리 부위의 손상은 봉합술로, 내측 부위의 손상은 부분절제술(meniscectomy)로 치료한다.

무릎 관절 성형술에는 고위 경골 절골술(HTO)과 전 인공관절 치환술(TKA)이 있다. HTO는 무릎관절 퇴행성 변화가 한쪽 관절 반만 있는 경우 체중 중심을 이동시켜 통증을 줄이는 수술이며, TKA는 무릎관절이 심각하게 파괴되어 기능 회복이 어려운 경우 전체 관절을 인공관절로 대체하는 수술이다.

이처럼 무릎 수술은 무릎관절의 다양한 질환과 외상에 대해 관절의 안정성 및 기능 회복을 목적으로 시행되며, 환자의 상태와 질환 정도에 따라 적절한 수술 방법을 선택하여 시행한다.


2.1.4. 척추 수술

Caudal nerve block(미추신경차단술)은 돌출된 디스크가 지속적으로 주위 신경뿌리를 자극하면 염증 및 부종을 유발하여 통증을 일으킨다. 이에 대한 치료로 영상장치를 이용하여 신경뿌리가 나오는 구명에 정확히 바늘을 위치시킨 후 약물을 주입하여 통증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치료 후 일시적으로 어지럽고 팔다리에 힘이 없을 수 있으므로 충분히 안정을 취해야 하며, 치료 후 2~3일간 치료부위가 치료 전보다 더 뻐근하게 아플 수 있으므로 무리한 자세와 활동을 피하는 것이 좋다.

VP(Vetebraplasty=경피적 척추성형술)은 척추압박골절 척추 뼈에 주삿바늘을 접근시켜 골 시멘트를 주입해 뼈의 안정성을 보강해주는 시술이다. 압박골절은 골다공증 환자에서 많이 발생하며, 악성 종양이 척추 뼈를 파괴하는 경우에서도 발생하는데, 침상 안정과 진통제 투여, 보조기 착용 등의 보존적 치료에도 통증 완화가 별로 없거나 합병증의 가능성이 높은 노인 환자들, 악성 종양에 의한 골 파괴로 심한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들에게 시행된다. 시술은 엎드린 자세에서 X선 투시기를 이용하여 부러진 척추 뼈를 확인하고 국소 마취 후 작은 피부 절개를 한 다음 X선 투시장비를 보면서 주삿바늘을 부러진 척추 뼈에 넣고 의료용 골 시멘트를 주입한다.

KP(kyphoplasty=경피적풍선척추성형술)은 50%이상의 심한 압박골절과 함께 척추가 앞으로 굽는 것(전만증)을 막기 위해 주저앉은 척추뼈의 높이를 복원하여 교정하기 위한 시술이다. 부러진척추 뼈에 주사바늘을 넣어 풍선을 삽입후 확장해서 부러진 척추뼈내에 빈 공간을 만들어 골 시멘트로 채운다. 수술 후 7일후 샤워, 4주후 통목욕, 2개월간 TLSO(체간고정 보조기)를 착용한다.

Laminectomy(후궁절제술)은 추간판디스크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섬유질 막이 약해지거나 척추에 붙어있는 인대가 약해져서 충격을 받으면 디스크 내부의 수핵이 빠져나와 신경을 압박하게 되는데, 척추의 후궁을 제거하여 협착된 신경을 넓혀주는 수술이다. 보통 디스크는 후궁을 열지 않고서는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discectomy와 함께 시행된다.

Discectomy(추간판절제술)은 수술 전 C-arm(이동식 x-ray 장비)로 수술 위치를 정확히 확인한 후, 허리 중앙 부위에서 세로로 약 5~8cm 정도의 피부 절개를 시행하고 척추뼈 후궁과 척추 주변 근육 사이를 박리하여 공간을 확보한다. 이후 수술용 드릴로 파열된 디스크와 신경을 덮고 있는 척추뼈 후궁 부위를 제거하고 파열된 디스크와 돌출된 추간판을 제거한다.

PLIF(Posteriar Lumbar Interbody Fusion=후방요추간융합술)은 신경을 둘러싸고 있는 척추뼈와 인대들을 제거한 후 특수장비로 신경을 보호한 상태에서 척추뼈사이의 디스크를 제거하고 골반뼈에서 ...


참고 자료

나는정형외과간호사다ㅣ켄타로시미즈ㅣ군자출판사ㅣ2018
Dr. Kamneva A.N,『상처 치료』,surgeon-live.com,2018.10.22.- http://ko.surgeon-live.com/content_lechenie-otkrytykh-ran.htm
서울아산병원,『죽은조직제거술(Debridement)』,서울아산병원검사/시술/수술정보,2018.10.22.-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473
약학정보원,『씨제이플라스마솔루션에이주(500mL)』,네이버 지식백과,2018.10.22.,- ,https://m.terms.naver.com/entry.nhn?cid=51000&docId=2136457&categoryId=51000
약학정보원,『휴니즈생리식염주사액(20mL)』,네이버 지식백과,2018.10.22.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46198&cid=51000&categoryId=51000
대한진단검사의학회,『CBC검사결과』,대한진단검사의학회/종합검진-혈액검사,2018.10.22. http://www.kslm.org/sub01/sub05_4.html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