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응급실 실습과 임상포트폴리오
나는 응급실 실습 중 68세의 남성 환자 김00 씨를 만나 그분의 간호과정을 경험하였다. 김00 씨는 4월 10일 10시 8분경 119 구급차를 타고 보호자와 함께 응급실에 내원하였으며, 내원 당시 dizziness, general weakness, arm numbness, neck pain 등의 증상을 호소하였다.
응급실 간호사는 환자의 상태를 신속히 파악하여 KTAS 3등급으로 분류하였고, 혈압, 맥박, 호흡, 체온 등의 활력징후를 측정한 결과 200/120-86-20-36.7로 확인되었다. 환자는 과거 교통사고 병력과 고혈압이 있었으며, 내원 전 혈압약을 복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높은 혈압이 측정되었다.
간호사는 환자의 신체사정과 응급환자 분류를 신속히 실시하고, 즉각적으로 혈액검사, X-ray, EKG 등의 검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경추간판장애로 진단되었으며, 전문의의 진료 후 입원하여 치료받게 되었다.
나는 이 과정에서 환자의 낙상 예방, 투약간호, 모니터링 등의 기본적인 간호중재를 관찰하고 직접 수행할 수 있었다. 또한 환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그분의 불안과 두려움을 이해하고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고자 노력하였다.
이번 실습을 통해 응급실 환경에서의 신속한 대응과 체계적인 간호과정의 필요성을 깨달을 수 있었다. 특히 경추간판장애라는 질환에 대한 이해와 투약간호, 검사 수행 등의 실무 능력 향상이 필요하다고 느꼈다.
앞으로 경추간판장애의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법 등을 심도 있게 공부하고, 투약간호와 심전도 검사에 대한 실습을 추가로 진행하여 응급실 간호 실무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1.2. 경추간판장애 환자의 간호과정
경추간판장애는 목 디스크 또는 경추 디스크로도 불리는 질환이다. 목 뼈 사이의 추간판에 문제가 생겨 신경을 자극하여 목과 어깨, 팔에 통증과 마비감을 유발하는 질병이다. 경추간판장애 환자의 간호과정에서는 우선적으로 대상자의 증상과 병력을 정확히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반적인 건강상태 및 통증 수준을 사정해야 한다. 진단검사 결과와 의사의 처방 내용 또한 확인하여 환자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해야 한다.
경추간판장애 환자의 주된 증상은 목, 어깨, 팔의 통증과 마비감이므로 이에 대한 중재가 필요하다. 통증 수준을 사정하고 진통제 투여, 냉·온요법 등을 통해 통증 관리를 실시한다. 또한 신경학적 증상 악화를 방지하기 위해 자세 변경, 운동 요법 등을 교육하여 환자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한다.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경추간판장애의 원인과 치료 방법에 대해 환자 및 보호자에게 충분히 설명하고, 수술이나 물리치료 등의 전문적인 치료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야 한다. 또한 일상생활 관리에 대한 교육을 통해 재발 방지와 합병증 예방을 도모할 수 있다.
이처럼 경추간판장애 환자의 간호과정은 증상 관리와 함께 장기적인 치료와 재활을 위한 교육 및 상담이 중요하다. 간호사는 환자의 건강상태를 종합적으로 사정하고, 전문적인 중재와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경추간판장애 환자의 회복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해야 한다.
1.3. 응급실 간호 학습의 필요성
응급실 간호 학습의 필요성이다. 응급실은 갑작스러운 질병 및 외상으로 인해 생명이 위험한 환자들이 내원하는 곳이다. 따라서 응급실 간호사는 환자의 즉각적인 상태 파악과 신속한 중재가 필요하다. 응급실 실습을 통해 간호학생은 실제 임상 상황에서의 문제해결 능력과 의사소통 기술, 신속한 의사결정 능력 등을 기를 수 있다. 또한 응급실 간호 학습은 중증도 분류, 응급처치, 투약, 검사 등 다양한 간호중재에 대한 실무 역량 향상에 도움이 된다. 특히 경추간판장애와 같은 응급질환 환자 간호 경험은 이후 임상 현장에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이처럼 체계적인 응급실 간호 실습교육을 통해 학생은 응급간호의 전문성을 높이고, 미래 간호사로서의 역량을 갖출 수 있다.
2. 응급실 실습사례
2.1. 환자 사정 및 간호중재
내원 당시 대상자의 의식상태는 Alert이었고, 동공반사에서도 특이사항이 없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