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폐렴은 모든 연령에서 발생하는 폐의 감염증이다. 특히 소아와 노인에서 심각한 상태를 초래하며, 심부전, 당뇨, 만성폐질환 환자에게 생명의 위험을 야기할 수 있다. 폐렴은 겨울에 많이 발생하며 남성에게 더 흔히 나타난다. 폐렴은 크게 지역사회 획득 폐렴과 병원획득 폐렴으로 나뉘며, 지역사회 획득 폐렴환자의 20%는 입원치료를 요하게 된다. 폐렴의 원인균은 지역사회와 병원에서 감염을 일으키는 균이 포함되며, 정상방어기전의 손상이나 유발 위험요인에 노출되면 발생한다. 지역사회 폐렴과 병원 감염 폐렴의 원인균과 위험요인은 차이가 있다.
2. 문헌고찰
2.1. 폐렴의 정의 및 원인
폐렴은 폐의 발생한 감염증을 말하며, 모든 연령에서 발생하지만 특히 소아와 65세 이상 노인에서 심각한 상태를 초래한다. 폐렴은 겨울에 많이 발생하고 남자에서 여자보다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폐렴은 크게 지역사회에서 발생하는 지역사회 획득 폐렴과 요양원이나 병원에 입원한 상태에서 발생하는 병원획득 폐렴으로 나뉜다. 지역사회 획득 폐렴환자의 20%는 입원치료를 요하기도 한다.
폐렴의 원인균은 지역사회와 병원에서 감염을 일으키는 균이 포함된다. 정상적인 방어기전이 손상되거나, 유발 위험요인에 노출되고 폐렴균을 흡인하거나, 혈액을 통해 균이 침입할 때 발생한다. 지역사회 감염 폐렴의 원인균에는 폐렴구균, 인플루엔자균, 클라미디아 폐렴균, 레지오넬라균 등이 있으며, 위험요인으로는 고령, 면역억제 상태, 폐질환, 만성질환, 흡연, 알코올중독, 공기오염, 장기간 부동상태 등이 있다. 병원 감염 폐렴의 원인균에는 그람음성균, MRSA, 칸디다 등이 있으며, 위험요인으로는 면역저하, 인공호흡기 치료, 항생제 사용 등이 있다. 지역사회 획득 폐렴이 병원 감염 폐렴보다 더 흔하며, 항생제 요법에 효과적으로 반응한다.
2.2. 폐렴의 병태생리
폐렴은 폐의 발생한 감염증으로, 염증은 간질강과 폐포, 세기관지에서 발생한다. 병원체가 기도점막을 침입하고 폐포에서 번식하면서 발병과정이 시작되는데, 세균이 번식한 부위에 수분과 삼출물이 고인다. 백혈구가 폐포 내로 이동하여 폐포벽이 두꺼워지며 적혈구와 섬유소가 폐포 내로 들어온다. 액체가 폐포를 채우면 세균은 포식작용을 피할 수 있으며, 이 액체는 세균을 쉽게 다른 폐포로 이동하게 만들어 감염을 확산시킨다.
병원체가 혈관으로 들어가면 패혈증이 되고, 감염이 흉막강으로 확장되면 농흉이 발생한다. 염증성 섬유소 형성과 부종으로 폐탄력성과 폐활량이 감소하며, 표면활성제의 생산 감소로 인해 폐탄력성이 더욱 감소하여 무기폐에 이르게 된다. 허파의 환기부족으로 저산소혈증이 유발되며, 저산소혈증과 대사욕의 증가로 빈맥과 빠른 호흡, 울혈성심부전, 쇼크, 부정맥 등이 발생한다.
세균이 침입한 후 허파의 침습 정도는 숙주의 방어력에 달려 있다. 면역력이 저화되면 세균이 급속히 번식하고, 세균이 증식하면 농양을 만들며 농양이 기관지벽을 관통하면 조직을 괴사시킨다.
2.3. 폐렴의 진단검사
폐렴의 진단검사이다. 흉부 X-선 검사에서 병변부위가 뿌옇게 나타난다. 이는 세균 감염으로 인한 백혈구 증가를 의미한다. 객담 그람염색과 배양검사를 통해 병원체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기관 흡인 검사로 특정 병원체를 확인할 수 있으며, 그람염색에서 단일 병원체는 폐렴을, 혼합된 균주는 구강 내 혐기성 감염을 의미한다. 기관지폐포세척술과 기관지경검사로 기관, 기관지의 변형과 특정 병원체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전혈구검사에서 백혈구 증가는 폐렴 감염을 나타낸다. 동맥혈가스분석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