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소방공무원 안전사고의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안전사고의 개념과 요인
2.1. 안전, 안전사고의 개념
2.1.1. 안전의 개념
2.1.2. 안전사고의 개념
2.2. 안전사고의 요인
2.2.1. 체력적 요인
2.2.2. 상황, 환경적 요인
2.2.3. 장비적 요인
3. 안전사고의 실태분석
3.1. 안전사고의 사례
3.1.1. 포항소방서 고립 구조자 구출 작업
3.1.2. 세월호 지원 소방헬기 광주광역시 도심 추락 사고
3.1.3. 홍제동 주택 화재
3.1.4. 킹스크로스 화재
3.2. 안전사고 실태
4. 안전사고의 개선방안
4.1. 소방 예산 확충 및 장비 개선
4.2. 근무환경 개선
4.3. 교육훈련의 세분화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소방공무원은 국민의 신체·생명·재산을 보호하는 중요한 직업이다. 하지만 우리는 소방공무원들이 어떤 지원을 받으며 국민을 지키고 있는지 잘 모르고 있다. 소방공무원들이 자신의 생명까지도 버리며 국민을 구조하는 사례들이 많지만, 우리는 그에 대한 관심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소방공무원들이 겪고 있는 안전사고 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한다. 안전사고가 일어날 수 있는 유형들을 사례와 함께 살펴보고, 예산, 근무환경, 교육훈련 등의 부분에서 개선방안을 모색할 것이다. 소방공무원의 안전사고는 소방서비스의 공백을 유발하고 국민의 불안감을 야기할 수 있는 중요한 사안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관심과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2. 안전사고의 개념과 요인
2.1. 안전, 안전사고의 개념
2.1.1. 안전의 개념
안전은 사고나 재해가 발생하지 않는 상태이다. 보다 적극적으로는 이러한 사고와 재해를 유발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도 없는 상태이다. 안정공학 측면에서는 안전이 '안정되며 위험하지 않은 상태'를 말할 뿐만 아니라 그것이 완전한 상태에 달해있고, 재차 부족한 일이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2.1.2. 안전사고의 개념
안전사고는 "고의성이 없는 어떤 불안전한 행동이나 조건이 선행되어, 일을 저해하거나 능률을 저하시키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인명이나 재산의 손실을 가져올 수 있는 사건"이다. 안전과 사고는 서로 관련되어 있는 보완개념이라 할 수 있다. 안전이란 사고나 재해가 발생하지 않는 상태이며, 보다 적극적으로는 이러한 사고와 재해를 유발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도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즉, 불안전한 행동이나 조건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고가 곧 안전사고인 것이다. 따라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관리하는 것은 안전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2.2. 안전사고의 요인
2.2.1. 체력적 요인
소방공무원이 화재 진압, 구조, 구급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체력이 요구된다. 현장에서 중장비를 장착하고 움직여야 하므로 강한 체력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특히 높은 빌딩이나 험난한 지형에서 구조 작업을 수행할 때는 소방공무원의 체력이 안전사고 발생의 핵심 요인이 될 수 있다. 소방공무원들은 무거운 장비를 착용한 채 빨리 뛰어 오르거나 이동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되는데, 이때 체력이 부족하면 쉽게 피로해지고 집중력이 떨어져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화재 현장에서 장시간 동안 고강도로 활동하는 경우, 소진된 체력으로 인해 판단력이 흐려져 위험한 행동을 할 수 있다. 소방공무원의 높은 순직률과 공상률은 이러한 체력적 요인이 크게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소방공무원들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충분한 체력 관리와 강화 프로그램 마련이 중요하다.
2.2.2. 상황, 환경적 요인
자연환경 요인은 비, 눈, 먼지, 얼음, 바람, 추위와 더위 등이 있으며, 인적 환경 요인은 가정, 동료, 직장조직, 책임자, 지휘관, 소방장비와 소방차량기계 등을 말한다. 이런 환경요인은 안전사고가 일어날 가능성을 높여줄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재 발생 상황에서 바람이 많이 불어 화재가 점점 멀리 번져갈 때 화재 진압상황은 더 어려워질 것이다. 인적 환경 요인 중에서는...
참고 자료
김진태, 소방공무원 공·사상자의 사고 사례별 위험예방에 관한 연구- 119구조대원 중심으로-, 2016,
남궁진, 소방 노후 구조장비 20%대 여전, 기호일보, 2017. 06. 07.
소방청, 소방행정자료 및 통계, 2015
윤대식, 소방공무원 안전사고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경기도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2014, p
이강원, 손호웅, Safety 안전, 지형 공간정보체계 용어사전, 2016.
이병남, 소방공무원 현장안전현황 실태조사 : 소방관구출팀을 중심으로, 2017,
위키백과 홈페이지, 킹스크로스 화재 2017
https://ko.wikipedia.org/wiki/%ED%82%B9%EC%8A%A4%ED%81%AC%EB%A1%9C%EC%8A%A4_%ED%99%94%EC%9E%AC
위키백과 홈페이지, 홍제동 주택화재 2017.
https://ko.wikipedia.org/wiki/%ED%99%8D%EC%A0%9C%EB%8F%99_%EC%A3%BC%ED%83%9D_%ED%99%94%EC%9E%AC
위키백과 홈페이지, 광주광역시 소방 헬리콥터 추락사고 2017. 10. 17.
https://ko.wikipedia.org/wiki/%EA%B4%91%EC%A3%BC%EA%B4%91%EC%97%AD%EC%8B%9C_%EC%86%8C%EB%B0%A9_%ED%97%AC%EB%A6%AC%EC%BD%A5%ED%84%B0_%EC%B6%94%EB%9D%BD_%EC%82%AC%EA%B3%A0
조성일, 순직·공상 소방공무원 사례 분석을 통한 안전사고 예방에 관한 연구, 2011
조승현, 소방공무원 안전사고 방지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자치행정학보, 2016, 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