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산소요법의 개요
1.1. 산소요법의 정의와 목적
산소요법은 저산소증을 개선하기 위해 환자의 체내로 산소를 공급하는 치료 방법이다. 저산소혈증 환자에게 산소를 투여하여 폐포 내 산소분압을 높이고, 숨 쉬는 노력을 줄이며 심근의 부담을 감소시켜 저산소증의 증상을 개선하는 것이 산소요법의 목적이다."
1.2. 산소요법의 적응증
산소요법의 적응증은 다음과 같다.
산소요법은 단기적으로 급성 저산소혈증(SaO2 <90%) 을 개선하기 위해 시행된다. 이러한 저산소혈증은 폐렴, 기관지염, 급성호흡곤란증후군, 기흉, 외상, 마취 후 등의 상황에서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장기적으로는 만성폐쇄성폐질환, 폐섬유증, 대동맥 심장병, 중추신경계 질환 등 만성적인 저산소증 환자의 치료에 사용된다"".
이외에도 청색증, 호흡곤란, 무호흡 등의 증상이 있는 신생아나 영아에게 산소요법이 적용된다. 이러한 경우 저산소혈증이나 저산소증을 예방하고 개선하기 위해 산소를 공급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말기 암 환자나 완화 치료 환자의 경우에도 호흡곤란, 불안감 해소를 위해 간헐적 또는 지속적으로 산소요법이 적용된다"".
1.3. 산소요법의 부작용 및 주의사항
산소요법을 시행할 때는 부작용과 주의사항을 잘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산소는 가연성 기체이므로 화재의 위험이 있어 담배나 전기 기구의 사용을 금해야 한다. 또한 산소농도가 너무 높거나 장기간 투여할 경우 산소독성으로 인해 폐포의 손상, 망막증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미숙아나 신생아에게 고농도의 산소를 장기간 공급할 경우 산소독성이나 기관지폐이형성증과 같은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산소요법 시 정확한 농도와 투여량을 유지해야 하며, 규칙적으로 환자의 상태를 관찰하여 부작용 발생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또한 산소 공급 장치의 관리와 환경 관리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가습된 산소를 지속적으로 공급받는 경우 기도 점막이 건조해질 수 있으므로 주기적인 구강 및 비강 관리가 필요하다.
2. 산소요법의 종류
2.1. 저유량 산소 공급법
2.1.1. 비강캐뉼라
비강캐뉼라는 저유량 산소 공급법의 하나로, 분당 산소량은 1-6ℓ/min 정도이다. 비강캐뉼라는 산소 공급 속도 1ℓ/min마다 4% 씩 증가하며, 흡입산소농도(FiO2)는 환자의 호흡수와 호흡량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FiO2 범위는 0.21-0.44 정도이다.
비강캐뉼라는 점막자극이 적어 비교적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4ℓ/min 이하에서는 별도의 가습이 필요하지 않다. 하지만 3ℓ/min 이상의 공급 시에는 산소 공급량이 불안정해지므로 주의가 필요하고, 6ℓ/min 이상으로 공급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신생아에게 적용할 때는 특히 주의가 필요한데, 신생아는 성인에 비해 낮은 유량으로도 높은 FiO2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신생아의 경우 0.5-1ℓ/min의 유량으로 산소를 공급하며, 2ℓ/min 이상은 피해야 한다.
비강캐뉼라 사용 시 비강의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캐뉼라의 크기와 배치, 유지 관리가 중요하다. 비강에 자극이 생기면 환자가 불편해할 수 있으므로, 거즈를 대어 끝을 약간 잘라주는 등의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2.1.2. 비강카테터
비강카테터는 비강을 통해 산소를 공급하는 방법의 하나이다. 분당 산소량은 6 - 8 ℓ/min이며, 카테터는 보통 No. 6-8 사이즈를 사용한다. 환자의 호흡수와 호흡량에 따라 FIO2는 약 .30-.50 정도로 유지된다.
비강카테터를 사용하면 비강 점막 자극이 발생할 수 있으며, 위장팽만이 일어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비강카테터를 삽입할 때는 코끝에서 귀바퀴까지의 길이를 표시하고 수용성 젤리를 바른 후 부드럽게 삽입해야 한다.
또한 비강카테터로 산소를 공급받는 환자는 정기적인 관찰이 필요하다. 비강과 구강을 자주 세척하고 관찰하여 건조함이나 감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2.1.3. 단순 안면 마스크
단순 안면 마스크는 O2가 단순하게 공급되고, 호기는 열려있는 구멍으로 나가게 되는 산소 공급 방식이다. 분당 산소량이 5ℓ/min 이상 일 때 CO2를 재호흡하지 않는다. 환자의 호흡양상에 따라 FiO2는 0.40-0.60 사이로 변동된다. 단순 안면 마스크는 비교적 높은 flow의 산소를 공급해도 점막이 습도가 유지되는 장점이 있지만, CO2 재호흡으로 체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질 수 있고, 식사가 불가능하며 환자가 답답함을 느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