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EICU 상부위장관출혈 사례 문헌고찰 및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2. 연구기간 및 방법
2. 문헌고찰
2.1. 상부 위장관 출혈의 정의
2.2. 상부 위장관 출혈의 원인 및 발생빈도
2.3. 상부 위장관 출혈의 병태생리
2.4. 상부 위장관 출혈의 증상 및 징후
2.5. 상부 위장관 출혈의 진단검사
2.6. 상부 위장관 출혈의 치료 및 간호
3. 간호사례
3.1. 간호사정
3.2. 진단적 검사 및 기타 자료
3.3. 치료 및 질병경과
3.4. SBAR 보고서
3.5. 간호과정적용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상부 위장관 출혈의 심각성과 치료에 대한 필요성이 시급하다.
상부 위장관 출혈은 우리나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중요한 증상 중 하나이며, 최근 식습관의 변화로 인해 위와 장의 질환이 많아져 상부 위장관 출혈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위장관 출혈은 출혈이 심할수록 위험도가 높아지며 사망률에 큰 영향을 미치기에 빠른 진단과 적시의 치료가 중요하다. 이로 인한 사망률도 8-10%라고 보고되고 있고 고령이거나 다른 전신 질환이 있는 경우 사망률은 더욱 높다. 따라서 이에 대한 심각성과 치료에 대한 필요성이 시급해지고 있는 현황이기에, 상부 위장관 출혈에 대한 연구를 이번 사례를 통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9년 4월 8일부터 4월 12일까지 총 5일간 진행되었으며, 삼성창원병원 EICU에서 실습을 하면서 상부 위장관 출혈로 입원한 대상자를 대상으로 질병과 대상자의 증상을 비교하며 관찰하였다. 검사결과, 약물, 간호기록지 등의 자료는 EMR을 통하여 수집하고 그 외의 자료는 면담을 통해 수집하여 사정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며 연구를 진행하였다.
1.2. 연구기간 및 방법
본 연구는 2019년 4월 8일부터 4월 12일까지 총 5일간 진행되었다. 삼성창원병원 EICU에서 실습을 하면서 상부 위장관 출혈로 입원한 대상자를 대상으로 질병과 대상자의 증상을 비교하며 관찰하였고, 검사결과, 약물, 간호기록지 등의 자료는 EMR을 통하여 수집하였으며 그 외의 자료는 면담을 통해 수집하여 사정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며 연구를 진행하였다.
상부 위장관 출혈은 우리나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중요한 증상 중 하나이며 요즘 식습관의 변화로 인해 위와 장의 질환이 많아져 상부 위 질환 출혈이 많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위장관 출혈은 출혈이 심할수록 위험도가 높아지며 사망률에 큰 영향을 미치기에 빠른 진단과 적시의 치료가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로 인한 사망률도 8-10%라고 보고되고 있고 고령이거나 다른 전신 질환이 있는 경우 사망률은 더욱 높다. 따라서 이에 대한 심각성과 치료에 대한 필요성이 시급해지고 있는 현황이기에, 상부 위장관 출혈에 대한 연구를 이번 사례를 통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2. 문헌고찰
2.1. 상부 위장관 출혈의 정의
상부 위장관 출혈이란 장출혈 중 식도에서 십이지장까지의 구간에서 발생하는 출혈이다. 상부 위장관 출혈은 장출혈 환자 중 약 85%를 차지하며, 하부 위장관 출혈은 약 10~15%를 차지한다. 상부 위장관 출혈은 흑변(melena)의 양상을 보이고, 하부 위장관 출혈은 혈변(hemochezia)의 양상을 보인다. 상부 위장관 출혈의 증상은 출혈 정도에 따라 다양하며, 다량의 출혈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과 신속한 치료가 중요하다.
2.2. 상부 위장관 출혈의 원인 및 발생빈도
상부 위장관 출혈의 주요 원인은 식도정맥류, 식도염, Mallory Weiss syndrome, 출혈성 위염, 소화성 궤양, 스트레스 궤양, 위암 등이다. 상부 위장관 출혈의 약 3/4은 식도정맥류, 출혈성 위염 또는 소화궤양으로 인해 발생한다. 최근 조사 결과에 따르면 소화성 궤양은 점차 줄어들고 있으나 식도정맥류 출혈은 증가하는 추세이다. 음주 후...
참고 자료
김금순 외(2017), 성인간호학 Ⅱ, 수문사
차영남 외(2013),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main.asp
대한소화기학회 http://m.gastrokorea.org/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http://www.amc.seoul.kr/asan/main.do
위장관 출혈, 대한내과학회지 제 73 권 부록 2호 2007
김신향·최기홍(2017), Beck 불안 척도의 선별검사로서의 효용성,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황옥남 외(2017),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191p
심현영·이명남(2019), 수술 환자의 불안에 적용한 비약물적 중재의 효과: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기본간호학회지 제 26권 제 4호, 257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