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 도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최초 생성일 2025.05.10
4,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동양 도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동양 도시
1.1. 모헨조다로와 하라파
1.2. 라지그리하 도성
1.3. 파탈리푸트라 도성
1.4. 탁실라 도성
1.5. 고대 도성의 평면계획
1.6. 교하고성
1.7. 포탈라궁
1.8. 주왕성
1.9. 업성
1.10. 건강
1.11. 장안성
1.12. 낙양성
1.13. 원대도
1.14. 북경성
1.15. 국내성
1.16. 평양성
1.17. 경주도성
1.18. 동경성
1.19. 평성경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동양 도시
1.1. 모헨조다로와 하라파

모헨조다로와 하라파는 지금은 파키스탄 영토에 속하는 인더스강 유역에 형성된 인더스문명(BC.3000-BC.1500)의 대표적인 도시유적이다. 죽음의 계곡을 뜻하는 모헨조다로와 시바신에서 이름을 따온 하라파 유적은 약 480㎞정도의 거리를 두고 인더스 강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두 도시로 대표되는 북인도 전역에 걸쳐 광범위하게 형성된 세계 4대문명에 속하는 것으로 정확히 언제 형성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발굴결과 오직 청동기들만 나타나므로 철기 이전 시대임을 알 수 있다. 인도에서 철기는 아리아인의 인도침입으로부터 시작되었다는 사실로 미루어 본다면 인더스문명은 아리아인 이전에 형성된 문명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고대 이집트나 아시리아 그리고 바빌로니아의 문명과 거의 동시대에 발전된 문명으로 볼 수 있다. 모헨조다로의 전체크기는 동서 약 1.067m, 남북 약 1,200m로 남북방향이 조금 긴 장방형이다. 간선도로는 폭이 10m로 동서방향으로 2개와 남북방향으로 3개가 있으며 이에 의해 12개의 구획으로 나뉘어 있다. 한 구획의 크기는 250×400m로 남북방향으로 긴 장방형이며 구획 안에는 폭 2-3m의 골목길이 만들어져 있고 골목길은 굴곡이 있어 불규칙하며 모든 가로에는 배수로 시설이 완비되어 있다. 이 12개의 구획 중에서 가장 서쪽의 중앙구획에는 성곽이 높이 축조되어 있어서 그 안에서는 정치적 종교적으로 중요한 건물과 시설들이 배치되어 있으며 당시 지배계급이 살았다고 생각된다. 나머지 낮은 시가지에는 일반시만들이 거쳐했던 주거지 유적들이 배치되었다. 하라파 도시유적은 성곽부분과 그 남쪽 및 북쪽이 발굴조사되었다. 성곽의 평면은 남북 약 400m, 동서 약 200m의 평행사변형으로 성벽은 모헨조다로와 같이 흙벽돌로 쌓고 소성벽돌로 마감하였다. 성벽에는 불규칙하지만 어느정도 거리마다 치를 두었으며 성문은 북쪽에 있다.


1.2. 라지그리하 도성

BC.6세기에 접어들면 인도 사회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고 동부지역을 중심으로 강력한 힘을 가진 국가들이 출현하여 서로 세력을 다투면서 거대한 왕국으로 흡수되기 시작했다. 이때 동부의 16나라들은 마가다국에 의해 통일국가로 통합되었다. 강력한 세력을 가진 마가다 왕국의 기틀을 마련한 왕은 빔비사라와 그의 아들 아자타샤트루이다. 빔비사라왕은 다섯 개의 언덕으로 둘러싸인 기리브라자(후에 라자그리하로 불림)에 수도를 정한 후 강력한 힘을 바탕으로 주변의 소국들을 정복해 나갔다. 라지그리하 도성은 마가다왕국의 수도에 만들어진 도성유적인데 비하르지방의 파트나시 동남쪽 96㎞에 위치하고 있다. 신구 2개의 도성유적이 있으며 구왕사성은 자연지세에 맞춰 자유형으로 쌓은 석성이다. 성돌은 1m정도 되는 거석으로 몰탈없이 그랭이해 쌓았는데 높이는 3.6m이다. 구왕사성 외곽으로는 자루모양으로 길게 자연지세에 맞춰 외성을 쌓았는데 폭은 1-3.5㎞, 길이 11㎞이며 총연장은 40㎞이다. 성벽의 두께는 약 5.3m이고 14-18m간격으로 치를 두었다. 신왕사성은 구왕사성 북문 밖에 위치하는데 성벽표면은 돌로하고 내부는 흙과 잡석을 다져서 축조하였다. 두께는 4.5-5.4m이며 성벽에는 반원형의 치를 설치했다.


1.3. 파탈리푸트라 도성

마우리아 왕국의 수도 파탈리푸트라는 강력한 힘을 가진 국가들이 출현하여 서로 세력을 다투면서 거대한 왕국으로 발전한 시기에 만들어졌다. 아자타샤트루 왕은 리차비족을 견제하기 위해 수도를 라자그리하에서 파탈리푸트라로 옮겼다. 파탈리푸트라 도성은 길이 14.4km, 폭 2.7km의 긴 장방형 형태로 되어 있으며 주위에 목구조로 성벽을 만들고 성벽에는 활을 쏠 수 있는 구멍을 설치했다. 성벽 외부에는 폭 182m, 깊이 25m 정도의 해자가 둘러져 있으며 성벽 위에는 570개의 망루가 있었고 64개의 성문이 있었다. 성벽의 폭은 4.4m이며 내외면 바닥에는 거대한 각재들을 성벽 길이 방향으로 바탕목으로 연결해 놓았다. 그 위에 높이 4.5m, 60cm각의 목재로 기둥을 세우고 사이에 목책을 세워 판벽을 만들었다. 이러한 판벽은 내외 이중으로 설치하였으며 그 사이에는 진흙을 다져 충전하여 성벽을 만들었다. 마우리아 왕조 이후 슝가왕조가 등장했는데 브리하드라타가 마지막 왕으로 푸샤미트라에게 살해되면서 막을 내렸다. 이후 중앙지역, 서북지역, 동부지역으로 나뉘어 슝가왕조, 칸바왕조, 사타바하나왕조가 건립되었다. 특히 서북지역은 중앙아시아로부터 이주한 집단들이 저마다 영토를 차지했는데 그 중 가장 유명한 왕이 메난드로스 왕이다. 이들의 영향으로 인도 서북지역에 간다라양식으로 대표되는 유럽의 헬레니즘 문화가 발전했다.


1.4. 탁실라 도성

아리아인의 인도 침입 이전에 발전했던 인더스문명의 대표적인 도시 유적인 탁실라 도성은 기원전 2세기경에 조성되었다. 그리스인들이 기원전 175년경에 인도 펀잡 지역에 정착하면서 유럽의 헬레니즘 문화가 이 지역에 성행하게 되었으며, 이들의 영향으로 형성된 도시문화의 일면을 볼 수 있는 곳이 바로 탁실라 도성이다.

탁실라 도성은 그리스계 박트리아 왕국이 멸망한 이후 힌두 세력들이 점유하였으며, 기원전 185년경 마지막 마우리아 왕조의 브리하드라타가 슝가왕조의 창시자 푸샤미트라에게 살해되면서 막을 내렸다. 이후 인도는 동부, 중앙, 데칸 지역으로 나뉘어져 각각 슝가왕조, 칸바왕조, 사타바하나왕조가 세력을 다투게 되었다.

탁실라 도시는 이러한 전환기에 형성된 도시로, 그리스의 영향을 받은 도시계획이 잘 나타나고 있다. 성벽은 방형의 격자형 배치로 이루어져 있으며, 남북 대로와 이에 교차하는 동서 대로에 따라 도시가 구획되어 있다. 도성의 중심부에는 왕궁이 배치되어 있으며, 그 주변으로 주거지와 기타 시설들이 배치되어 있다. 이처럼 탁실라 도성은 서방 문화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고대 인도의 중요한 도시유적이라 할 수 있다.


1.5. 고대 도성의 평면계획

고대 도성의 평면계획은 다음과 같다.

고대 도성은 전체적으로 남북방향과 동서방향의 주요 가로를 중심으로 조직되어 있다. 성벽은 사방에 설치되어 있으며 주요 가로에 문을 두었다. 성 내부는 격자형의 가로망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왕궁은 중앙부에 배치되었다. 왕궁 앞쪽은 정치적 기능을 담당하는 관청 공간이며, 뒷쪽은 시가지가 조성되었다. 왕궁 왼쪽에는 종묘, 오른쪽에는 사직단이 위치하는 것이 전형적인 배치이다. 가로의 위계는 중로와 소로로 구분되며, 가로변으로 건축물이 배치되었다. 이와 같은 고대 도성의 평면 구조는 음양오행설에 기반한 만다라적 공간 구성의 반영이다.

이처럼 고대 동양의 도시 계획은 자연 지형과 풍수지리사상이 깊이 반영되어 있다. 산과 물, 방위 등의 자연 요소를 고려하여 길지를 선정하고, 음양오행의 조화를 이루는 도시 구조를 만들었다. 또한 성스러운 공간인 왕궁을 중심에 두고 주변으로 위계별 공간을 조직하는 등 상징적 의미를 담고 있다. 이러한 전통적인 도시 계획 원리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계승되고 있다.


1.6. 교하고성

교하고성은 현재 중국 신강성...


참고 자료

김형준, 이야기 인도사, 청아출판사, 2002
윤장섭, 인도의 건축, 서울대학교출판부, 2002
村田治郞, 東洋建築史(建築學大系4-2), 彰國社, 1979, 89-91쪽
Ed. Henri Stierlin, INDIA, Benedikt Taschen, 47-49쪽
中國藝術硏究院, 中國建築藝術史 下, 文物出版社,1999, 999-1003쪽
중국사연구회, 중국통사, 청년사, 1990, 224-290쪽
中國文物硏究所, 西藏布達拉宮修繕工程報告, 文物出版社, 1994, 15-27쪽
中國藝術硏究院, 中國建築藝術史 下, 文物出版社,1999, 966-969쪽
傳熹年 主編, 中國古代建築史 第2卷, 中國建築工業出版社, 2001
한동수 외2인역, 중국고대건축사, 세진사, 1995
潘谷西 主編, 中國古代建築史 第4卷, 中國建築工業出版社, 2001
于倬云 主編, 紫禁城建築硏究與保護, 紫禁城出版社, 1995, 65-69쪽
東潮?田中俊明, 高句麗の歷史と遺跡, 中央公論社, 1995, 95쪽
장경호, 한국의 전통건축, 문예출판사, 60-61쪽
東潮?田中俊明, 高句麗の歷史と遺跡, 中央公論社, 1995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신라왕경발굴조사보고서, 2002
이병건 편저, 발해건축의 이해, 백산자료원, 2003
朴鍾鳴, 奈良のなかの朝鮮, 明石書店, 2000
윤장섭, 일본의 건축, 서울대출판사, 2000, 120-123쪽/
(日本)新建築學大系編輯委員會, 新建築學大系2 日本建築史, 彰國社, 1999, 96-102쪽/ 岸俊男, 日本の古代宮都, 岩波書店, 1993, 67-72쪽
(1) 김동욱외6. 『아시아 건축을 찾아서』경기대학교 건축사연구실. 2005
(2) 안영배. 『안영배 교수의 인도건축기행』서울 : 다른세상. 2005
(3) 김필수. 『관자(管子)』 소나무. 2006.12.15
(4) http://blog.naver.com/jbh0127/110015116738(블로그)
풍수지리방
(5) http://blog.naver.com/archur?Redirect=Log&logNo=40061561907(블로그)
ARCHER가 해석하는 도시, 건축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