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국내외 지진 정책"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국내외 지진 정책
2.1. 2020년 중점관리 재난안전사고 유형과 재난 현황
2.2. 과거 주요 재난사례
2.3. 국내외 재난관련 보건의료정책
2.4. 지역사회간호사의 역할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재난은 인류가 직면한 가장 큰 사회적 불안 요소이다. 전 세계 각국이 재난에 대비하여 다양한 정책과 대책을 수립하고 있지만, 실제 재난이 발생했을 때는 여전히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재난 보건의료정책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재난 보건의료정책은 자연재해와 사회재난 등 다양한 유형의 재난에 대비하여 수립한 대안책이다. 이는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핵심적인 정책으로, 재난 발생 시 신속하고 효과적인 보건의료 대응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과 같은 대규모 재난 상황에서 이러한 정책의 필요성이 더욱 부각되었다.
정부와 지역사회가 협력하여 재난 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의료인력 및 시설 등 보건의료 자원을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또한 재난 대비 교육과 훈련을 통해 국민의 재난 대응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재난 발생 시 신속한 대응, 자원 배분, 협력 체계 구축, 예방 및 대비, 회복 및 재건, 정신 건강 지원, 정보 제공 및 교육 등이 가능해질 것이다.
2. 국내외 지진 정책
2.1. 2020년 중점관리 재난안전사고 유형과 재난 현황
3월에서 5월은 건조한 바람으로 인한 산불 발생의 위험이 높아지고, 황사와 꽃가루 등의 영향으로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에 주의해야 하는 시기이다. 양쯔강 근처에서 생성된 고온 건조한 고기압의 영향으로 일년 중에 산불이 가장 많이 발생하며, 중국 북동지역에서 발생한 황사가 유입되어 각종 먼지와 꽃가루의 영향으로 미세먼지의 농도가 증가한다.
여름 6월에서 8월 사이는 호우와 태풍으로 인한 피해가 가장 많은 시기이며, 폭염으로 인한 피해와 물놀이 사고에 주의해야 한다. 여름철 호우와 장마 등으로 인한 지역적인 집중 호우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며, 여름철 평균 11개정도의 태풍이 발생하고, 이 중 2개정도가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친다. 최근 2009~2018년, 10년 동안 여름철 전국 평균 기온은 24.4℃로 나타났으며, 1981~2010년 동안 집계된 여름 평년 기온인 23.6℃보다 0.8℃ 높아지는 등 지속적인 온도의 상승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2018년 8월 1일 시점으로 한 여름철 서울은 39.6℃를 기록하였으며, 이는 1907년 기상관측을 시작 한 이래 111년 만에 가장 높은 값으로 기록되었다. 또한 여름철에는 하천이나 강, 계곡, 바닷가 등으로 물놀이 인파가 늘면서 사고도 집중되는데, 물놀이 사망자 발생장소는 전체 중 하천이 53%, 해수욕장이 13%, 계곡이 15%, 바닷가(갯벌 해변)가 18%를 차지한다.
가을 9월에서 11월은 야외 행사와 활동이 많아지는 시기로 지역축제와 등산사고, 나들이 차량 증가로 인한 교통사고에 주의해야 한다. 전국 각지에서 다양한 축제가 개최되는 시기로, 많은 인파가 한꺼번에 몰리는 경우 안전사고의 위험요인이 될 수 있다. 단풍으로 산을 찾는 등산객이 늘면서 추락이나 실족 등의 사고도 가장 많이 발생하며, 특히 9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10월에는 4,845건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축제와 행사, 단풍 구경 등을 위한 단체 이동 및 나들이 차량이 늘면서 교통사고 발생도 많아지는 시기이다.
...
참고 자료
2020년 재난안전 상항분석 결과 및 중점관리 대상 재난안전사고
중앙응급의료센터
간호사신문, 18.10.17 (간호사, 재난관리 모든 단계에서 핵심역할)
국내외 재난의료체계의료인 및 의료기관 재난대비/대응체계 운영 방안 비교 연구
지역사회보건간호학 편찬위원회. 2022. 수정판 최신 지역사회보건간호학 Ⅰ,Ⅱ. 경기: 수문사. 1098-1103
정혜인.(2024.4.21.). "대만 전역 흔들림 감지"…동부 해역서 또 규모 5.6 지진 발생. 머니투데이
https://news.mt.co.kr/mtview.php?no=*************463425
오진송. (2024.5.22.). 올해 첫 비브리오패혈증 사망자 발생…"어패류 충분히 익혀야".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0530?input=1195m
황진현. (2024.4.27.). "마스크 다시 써야 할까?"…기침 한번에 17명 전염시키는 '이 병'. 뉴시스
https://www.newsis.com/view/?id=NISX20240427_0002715595&cID=10201&pID=10200
정빛나. (2024.5.9.). 유럽도 백일해 환자 급증 '비상'…백신접종 촉구.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40509000500098?input=1195m
박정규. (2024.5.23.).中 하얼빈서 아파트 폭발사고…1명 사망·3명 부상. 뉴시스
https://www.newsis.com/view/?id=NISX20240523_0002746188&cID=10111&pID=10100
김수진. (2024.5.24.). 화순 야산서 불…70대 숨져. 노컷뉴스
https://www.nocutnews.co.kr/news/6150153?utm_source=naver&utm_medium=article&utm_campaign=*************1
이주형.(2024.5.25.). 충남 청양서 버섯재배용 비닐하우스 화재로 1천만원 피해.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0063?input=1195m
조성민. (2024.4.17.) 12시간동안 1년치 비… 물에 잠긴 두바이. 세계일보
https://www.segye.com/newsView/*************0
신혜정. (2024.5.23.). 동남아 폭염 한국에도? 올여름 평년보다 덥고 많은 비 내린다. 한국일보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004966
김지호. (2024.5.17.). 눈 깜짝할 새…식사 중인 사람 날려버린 중국 강풍. 세계일보
https://www.segye.com/newsView/*************4
김수진, 이성우, 이의중, 이아정, 장우영, 차승하, ... & 최현석. (2019). 국내외 재난의료체계 의료인 및 의료기관 재난대비/대응체계 운영 방안 비교 연구.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연구보고서, 1-394.
대한민국 재난안전관리 팜플렛. 행정안전부
손현진. 일본의 재해(재난) 및 안전관리 관련 법령과 주요 내용. 한국법제연구원
지역사회보건간호학 편찬위원회 (2022). 최신 지역사회보건간호학. 수문사
김춘미 외 (2019). 지역사회보건간호학 제2판. 수문사
김수진, 이성우, 이의중, 이아정, 장우영, 차승하, 성시현, 최현석 (2019). 국내외 재난의료체계 의료인 및 의료기관 재난대비/대응체계 운영 방안 비교 연구.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연구보고서, 1-394
박춘식, 장안수, 임훈, 백상현, 추은주. (2011). 국가 재해에 대비한 국가의료체계 현황 및 개선책,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연구보고서 76, 1-125
안전정책실 예방안전과. (2021). 재난안전 상황분석 결과 및 중점관리대상 재난안전사고. 행정안전부. 세종특별자치시
이영근, 정민수, 옥영석, 박미리. (2016). 국내․외 사례 분석을 통한 사회재난 재난관리자원 관리방안 정립 연구, 국민안전처, 1-2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