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병원CPR"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국내 응급의료체계의 구성
1.1. 병원 전 단계
1.2. 이송단계
1.3. 병원단계
1.4. 통신체계
2. 국내 응급의료체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2.1. 국내 응급의료체계의 문제점
2.2. 응급의료체계의 개선방안 제안
3. 가슴압박소생술(hands-only CPR)
3.1. 가슴압박소생술(hands-only CPR)을 도입한 과학적 근거
3.2. 가슴압박소생술(hands-only CPR)을 권장하게 되는 상황
4. 심실세동과 무수축
4.1. 심실세동과 무수축
4.2. 심실세동과 무수축의 치료과정
4.3. 심실세동과 무수축 치료과정의 차이점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국내 응급의료체계의 구성
1.1. 병원 전 단계
병원 전 단계는 응급환자가 발생하고 이에 대한 신고가 이루어진 다음 응급후송 차량이 도착하기까지의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응급환자 발생 후 빠른 신고가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신고 이후 응급후송 차량이 도착하기 전까지 신고자는 환자의 상태가 더 악화되지 않도록 하는 응급처치를 전달받아 이를 시행하도록 해야 한다. 신고를 받는 기관은 즉시 응급체계를 가동하여 환자의 상태에 따른 이송 가능한 병원으로 연락을 취하도록 한다. 사고발생 지역에 도착한 후에는 환자에게 필요한 응급처치를 시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송병원의 선택은 현재 환자에게 주어져 있기 때문에 병원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고 환자가 원하는 병원으로 즉시 출발하도록 한다.
1.2. 이송단계
구급차가 사고 현장에 도착하면 환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의료진의 지시에 따라 필요한 응급처치를 시행한다. 환자의 상태변화에 빠르게 대응하기 위하여 이송 중 병원과 지속적인 연락을 취하게 된다. 이송방법에는 지상이송, 항공이송, 수상이송이 있으며, 환자 상태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한다. 구급차 내에는 기본적 응급치료 장비를 갖춘 일반구급차와 첨단의료 장비를 갖춘 특수구급차로 구분된다. 환자의 상태가 위중한 경우 즉시 장비가 갖추어진 병원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병원과 상시 연락을 취하게 된다. 이송 중 환자의 상태가 악화되면 현장에서 제공할 수 있는 응급처치를 신속히 시행하여 환자의 상태 악화를 막는다.
1.3. 병원단계
병원에 도착하여 응급 의료진들이 환자를 인계받는 병원단계가 시작된다. 응급대원을 통하여 환자의 대략적인 상태와 함께 구조된 과정, 그리고 현장에서 이루어진 처치의 내용에 대한 정보를 입수한다. 환자의 상태에 따라서 응급치료를 즉시 시행하거나 검사가 필요한 경우에는 검사를 시작한다. 간혹 환자의 상태에 따라서 병원에 필요한 장비가 없는 경우에는 즉시 장비가 갖추어져 있는 병원에 연락하여 환자를 즉시 이송하도록 한다.
병원단계에서는 응급 의료진들이 환자를 인계받아 환자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필요한 응급치료와 검사를 신속하게 진행한다. 상황에 따라 즉각적인 이송이 필요할 경우에는 장비가 잘 갖추어진...
참고 자료
[경북대학교병원] 병원소개 https://www.knuh.kr/content/06introduce/02_01.asp
[울산대학교 병원, 춘해병원] 실습교육
[서울대학교병원] CPR 교육 https://dept.snuh.org/dept/RTO/content.do?menuId=004024
[대한심폐소생협회] 심정지 국민 행동 지침, 심정지 예방 수칙 https://www.kacpr.org/page/page.php?category_idx=3&category1_code=1247206302&category2_code=1527742406&page_idx=1118
[삼척소방서] 완강기 사용법 http://www.gwnews.org/news/articleView.html?idxno=139602
[질병관리본부] 손위생 http://www.kdca.go.kr/index.es?sid=a2
[분당서울대학병원] 손위생, 의료폐기물 안전관리 http://www.alio.go.kr › informationBidVie
정성희, 이수진 『응급간호학』2019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대한심폐소생협회 『2015 한국형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 2016
이영현 『응급의료체계 개선 방안 : 선진국 응급의료체계 연구를 통하여』한국응급구조학회지 7권 1호 2003 P:135~146
통계청 www.kostat.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