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마케팅트랜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상세정보

소개글

"SNS마케팅트랜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SNS의 개념과 특성
1.1. SNS의 정의
1.2. SNS의 주요 기능
1.3. SNS의 특징

2. SNS 발전 현황
2.1. SNS의 확산과 영향력 증대
2.2. 주요 SNS의 가입자 수 폭증
2.3. SNS 주요 동향

3. SNS 유형 및 특성 분석
3.1. SNS 광의개념에 따른 분류
3.2. 대표적인 SNS 유형 비교
3.3. 마이크로블로깅(트위터)과 타 SNS의 공존

4. SNS를 활용한 기업 마케팅 전략
4.1. SNS가 기업에 끼친 영향
4.2. 기업의 SNS 활용전략과 사례
4.3. 기업의 SNS 활용 시 장단점

5. SNS를 활용한 유통채널 관리
5.1. SNS 활용의 필요성
5.2. SNS를 활용한 기업 사례
5.3. SNS를 활용한 기업의 유통채널 관리 방안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SNS의 개념과 특성
1.1. SNS의 정의

SNS(Social Network Service)란 웹에 기반을 둔 특정한 시스템 내에서 공개 혹은 반공개적으로 개인의 프로필을 만들도록 제공하고, 서로 접속하고 있는 다른 사용자들의 목록을 보여주고, 시스템 안에서 다른 사람들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웹 서비스이다. 웹 2.0의 발전과 더불어 인터넷 상에서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SNS의 등장은 새로운 인간관계의 형성뿐 아니라 패러다임의 변화를 일으켰다. SNS는 개인이 지닌 성별, 연령, 지역, 학교, 흥미 등과 같은 프로필 정보를 바탕으로 다른 사람들과 커뮤니케이션을 하면서 새로운 사회적 관계를 형성해 나가도록 만들어주는 서비스이다.


1.2. SNS의 주요 기능

SNS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관계 맺기 기능은 SNS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이다. SNS를 통해 사용자들은 새로운 관계를 맺거나 기존 오프라인 관계를 온라인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사용자들은 서로 연결되면 상호작용을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할 수 있다.

프로필 기능은 사용자들이 자신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해준다. 사용자들은 프로필 페이지에 자신의 기본 정보, 사진, 관심사 등을 기재하여 다른 사용자들에게 자신을 소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서로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기능은 SNS의 핵심적인 기능이다. SNS는 사용자들 간의 실시간 대화, 의견 교환, 피드백 등을 가능하게 한다. 사용자들은 댓글, 메시지, 공유 등의 기능을 통해 서로 소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정보를 공유하고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콘텐츠 생산 및 공유 기능은 SNS가 사용자 중심의 플랫폼이 되도록 한다. 사용자들은 글, 사진, 동영상 등 다양한 유형의 콘텐츠를 생산하고 공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자신만의 개성 있는 콘텐츠를 만들어 내고 타인과 공유할 수 있다.

네트워크 형성 및 확장 기능은 SNS가 개인의 사회적 관계를 증진시키는 데 기여한다. 사용자들은 SNS를 통해 친구, 가족, 지인 등 기존 관계를 온라인상에서 유지할 수 있으며, 새로운 관계도 맺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사회적 네트워크가 확장되고 강화될 수 있다.

이처럼 SNS는 다양한 기능들을 통해 사용자들의 인간관계 형성, 정보 공유, 자기표현 등을 지원하여 사회적 연결고리 역할을 수행한다.


1.3. SNS의 특징

SNS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SNS는 개인의 프로필을 바탕으로 다른 사용자들과 관계를 맺고 상호작용하는 웹 서비스이다. SNS의 핵심적인 특징은 사용자 중심성, 개방성, 참여성, 연결성 등이라고 할 수 있다.

첫째, SNS는 개인 사용자를 중심으로 구축되어 있다는 점이다. 사용자는 SNS에 자신의 프로필을 만들고 관심사, 활동 등 다양한 정보를 공유한다. 이를 통해 다른 사용자들과 관계를 맺고 상호작용한다. 즉, SNS는 개인 중심의 관계망을 구축하는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둘째, SNS는 개방적인 특성을 가진다. 기존의 인터넷 커뮤니티가 폐쇄적이었던 것과 달리 SNS는 사용자 누구나 손쉽게 가입하고 참여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플랫폼이 개방되면서 외부 애플리케이션과의 연동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셋째, SNS는 참여성이 강조된다. 사용자가 직접 콘텐츠를 생산하고 공유하며, 다른 사용자들과 상호작용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 간 관계가 형성되고 확장된다.

넷째, SNS는 사용자들 간의 연결성이 강조된다. SNS를 통해 관심사나 취향이 비슷한 사용자들이 서로 연결되고, 그들 간의 관계가 강화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 간 정보의 공유와 확산이 활발히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SNS의 특징으로 인해 SNS는 개인 간 관계 형성과 유지, 정보 공유, 여론 형성 등 다양한 측면에서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2. SNS 발전 현황
2.1. SNS의 확산과 영향력 증대

SNS의 확산과 영향력 증대는 현대 사회에서 매우 두드러지는 현상이다. 조사전문기관 Tinh Van 커뮤니케이션의 전망치에 따르면 SNS의 성장률은 연평균 약 47%이며, 인터넷 이용자의 80%가 SNS로부터 파생한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특히 전 세계 SNS 이용자가 10억 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SNS가 단순한 유행을 넘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어 일상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SNS 이용자의 지속적인 증대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Forrester 보고서에 따르면 12~17세 청소년 SNS 사용자의 60%, 18~21세 사용자의 68%가 매일 SNS를 방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처럼 젊은층을 중심으로 SNS 이용이 일상화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모바일 SNS의 성장세가 눈부셔 2009년 전 세계 모바일 SNS 이용자가 2억 명을 돌파했고 2012년에는 8억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전 세계적으로 SNS의 확산과 함께 그 영향력도 증대되고 있다. ComScore가 2010년 6월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가장 많이 이용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날씨 정보로 전년 대비 11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뒤를 이어 지도, SNS, 검색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장세 기준으로는 SNS가 240%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이처럼 SNS는 전 세계적으로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으며, 그 영향력도 날로 증대되고 있다. 이는 SNS가 사회 전반에 걸쳐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음을 의미한다. SNS는 단순한 인적 네트워크를 넘어 정보 전달, 커뮤니케이션, 마케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SNS의 확산과 영향력 증대는 이용자 행태의 변화, 기업 전략의 변화, 나아가 사회 구조의 변화까지 이끌어내고 있다.


2.2. 주요 SNS의 가입자 수 폭증

주요 SNS의 가입자 수 폭증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지속적인 성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지표이다. 최근 수년간 세계적으로 SNS의 가입자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SNS는 일상생활의 필수적인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자리 잡았다.

페이스북은 2012년 9월에 10억 명의 가입자를 돌파했고, 2022년 3월 기준 약 29억 명의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다. 이는 전 세계 인구의 3분의 1에 가까운 수치이다. 2010년대 초반부터 페이스북은 세계 최대의 SNS 플랫폼으로 자리 잡으며 지속적인 가입자 증가를 기록했다.

트위터의 경우에도 2010년 1월 약 470만 명이었던 가입자 수가 2022년 3월 현재 약 4억 9천만 명으로 급증했다. 트위터는 ...


참고 자료

www.emarketer.com 인터넷 시장 조사 및 동향 분석 업체
www.comscore.com 미국 온라인 시장조사 기관
www.alexa.com 전 세계 웹사이트 페이지뷰 및 인기도 순위제공
www.compete.com 미국 시장조사분석기관
www.ovrdrv.com 온라인 시장조사, 마케팅 대행기관
www.quantcast.com 웹사이트 평가 서비스
차세대 킬러앱 SNS <정책연구센터 유지은 2008.4>
한미일 SNS 서비스 비교분석 <국가정보화기획단 정보화정책개발팀 오정연 2009.12.10>
SNS를 이용한 비즈니스 혁신가능성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 동향과 전망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정유진, 배국진 2007>
SNS의 변화하는 서비스 전략 <정보통신 산업 진흥원 2007.12.31>
SNS, a New Focus of Communication Paradigm <글로벌인터렉티브팀 수석 제이슨최>
21세기 소통의 대명사 SNS <(주)스트라베이스 전략사업팀장 김동진 2009>
소셜 네트워크 리뷰
www.facebaker.com 페이스베이커
http://tki.oiko.cc/service/count 트위터 한국인 인덱스
www.naver.com 검색, 블로그 (본문링크참고)
www.daum.net 검색, 블로그 (본문링크참고)
최종 FAQ: 마케팅 유통 채널, 무엇을, 어떻게, 왜, 언제, FasterCapital, 2 Mar 2024
https://fastercapital.com/ko/content/%EC%B5%9C%EC%A2%85-FAQ--%EB%A7%88%EC%BC%80%ED%8C%85-%EC%9C%A0%ED%86%B5-%EC%B1%84%EB%84%90--%EB%AC%B4%EC%97%87%EC%9D%84--%EC%96%B4%EB%96%BB%EA%B2%8C--%EC%99%9C--%EC%96%B8%EC%A0%9C.html#%EC%9E%98-%EC%A0%95%EC%9D%98%EB%90%9C-%EB%A7%88%EC%BC%80%ED%8C%85-%EC%9C%A0%ED%86%B5-%EC%B1%84%EB%84%90-%EC%A0%84%EB%9E%B5%EC%9D%84-%EA%B0%96%EB%8A%94-%EA%B2%83%EC%9D%B4-%EC%99%9C-%EC%A4%91%EC%9A%94%ED%95%A9%EB%8B%88%EA%B9%8C?)
MZ세대가 줄 서는 매장 '노티드'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프리미엄 경영 매거진 DBR 337호, 이규열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