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우리는 살아가면서 체육인이 아니더라도 발목손상을 한번쯤은 경험했을 것이다. 겨울철 빙판에 미끄러지거나, 등산에서 돌을 밟아 발목 통증이 생기거나 하는 등의 경험을 했을 것이다. 그만큼 발목은 쓰임새가 굉장히 다양하고 쓰임의 빈도가 높은 우리 인체의 한 부분이다. 그렇기 때문에 발목부상 예방과 발목부상 시 치유방법과 재활방법에 대해서 알게 된다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2. 발목관절의 해부학
2.1. 발목관절의 구조
발목관절은 정강뼈와 종아리뼈의 먼쪽과 목말뼈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목말종아리관절의 모습은 공구에서 너트와 렌치가 유사하다. 목말밑관절은 목말뼈 아래에 위치하며 목말발꿈치관절이라고 알려져있다. 목말밑관절의 움직임은 비체중 시 엎침과 뒤침을 허용한다. 그러나 평상시 서거나 보행할 때와 같이 체중부하 활동 시 안정된 발꿈치뼈에 대해 종아리뼈와 목말뼈가 돌림운동을 하는 복잡한 운동형상학이 필요하다. 가동성은 다리를 넓게 벌려 서기, 가파른 언덕 가로질러 걷기, 빠른 방향전환, 흔들리는 곳에서 중심을 유지하기 같은 활동에서 필수적이다.
2.2. 발목관절의 움직임
안쪽번짐(Inversion)은 깊은종아리신경의 지배를 받는 종아리앞칸근육의 앞정강근이 수축하여 발바닥의 발허리뼈를 감싸고 있기 때문에 일어나며, 정강신경의 지배를 받는 종아리뒤칸근육의 뒤정강근도 종아리 뒤쪽으로 내려가다가 발바닥뼈쪽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수축함으로써 안쪽번짐을 도울 수 있다. 또한 같은 종아리뒤칸근육인 긴엄지굽힘근은 종아리의 가쪽을 지나 발바닥쪽의 엄지발가락 끝마디뼈로 이어지기 때문에 수축시에 발의 안쪽이 들리도록 한다.
가쪽번짐(Eversion)은 깊은종아리신경의 지배를 받는 종아리앞칸근육의 셋째종아리근이 가쪽의 다섯째허리뼈바닥까지 이어지기 때문에 수축함으로써 가쪽 발바닥이 들리는 운동을 하게 되며, 얕은종아리신경의 지배를 받는 종아리가쪽칸근육의 긴종아리근과 짧은종아리근도 가쪽번짐 운동에 관여한다.
발등굽힘(Dorsiflexion)은 공통적으로 종아리앞칸근육에 해당하는 근육들이 깊은종아리신경의 지배를 받아 발등굽힘의 운동을 돕는데, 앞정강근과 긴엄지발가락폄근, 긴엄지폄근, 셋째종아리근 등이 수축하여 발등굽힘을 일으킨다.
발바닥굽힘(Plantarflexion)은 얕은종아리신경의 지배를 받는 종아리가쪽칸근육의 긴종아리근과 짧은종아리근의 수축으로 이루어지며, 정강신경의 지배를 받는 종아리뒤칸근육의 가자미근, 장딴지근, 장딴지빗근, 긴발가락굽힘근, 뒤정강근 등도 수축하여 발바닥굽힘에 관여한다.
3. 발목손상
3.1. 인대손상
발목관절 인대 손상은 주로 지면이 평평하지 못한 곳에서 걷거나, 뛰거나 점프를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