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문학 갈래 중 서사시 '동명왕편'을 분석하고 자신의 의견을 정리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조선문학의 성장과 가사의 발전
1.2. 시대적 배경과 가사의 특징
1.3. '용부가'의 선정 이유
2. 본론
2.1. '용부가'의 내용과 풍자적 특징
2.2. 가부장제 아래 여성의 현실 반영
2.3. '뺑덕어미' 인물의 상징적 의미
2.4. 독자의 공감과 교훈적 의미 도출
3. 결론
3.1. 가사 문학에 대한 이해와 고찰
3.2. 고전문학 교육의 방향성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조선문학의 성장과 가사의 발전
조선 후기에 해당하는 17세기 이후 양반들의 경제력은 정체되는 양상을 보이기 시작했다. 정치적인 권력도 서울에 거주하는 문벌 가문에 편중되었다. 그로 인해 양반 중에는 기본적인 생활조차 영위해 나가기 어려운 사람들이 속출하기 시작했다. 경제적으로 어려워진 양반들은 결국 양인과 다름없는 처지의 생활로 전락할 위험에 놓이게 되었다. 이로 인해 양반들은 특권층으로서의 자신의 사회적 기득권을 지키기 위하여 성리학적인 이념을 전면에 내세웠다. 그리고 그를 기반으로 하여 더욱 짙은 보수화를 지지해 나갔다. 하지만 여성들은 이와 같은 억압적인 사회 분위기 속에서도 새로운 자의식과 가치관의 변화를 지향하고 있었다. 여성들은 자신들에 대한 사회적인 요구를 자연스럽게 수용하면서도 반대로 열린 시대를 지향하는 진보적인 모습을 보였다. 다시 말해, 여성들은 보수와 진보를 함께 추구해 나간 것이다. 그런 그들은 문학으로까지 그들의 범위를 넓혀나갔다. 여성들은 조선 전기까지 남성들의 전유물나 다름없었던 가사 양식을 여성들의 문학 영역으로 들였다. 그리고 여성 나름의 새로운 가사 영역을 구축하였다. []
1.2. 시대적 배경과 가사의 특징
조선 후기는 성리학이 지배하던 엄격한 도덕사회로, 양반들의 경제력이 정체되고 정치적 권력도 일부 문벌가문에 편중되는 시기였다. 이에 따라 양반들은 특권층으로서의 지위를 지키기 위해 성리학적 이념을 내세우며 보수화되어 갔다. 그러나 여성들은 이러한 억압적 분위기 속에서도 새로운 자의식과 가치관의 변화를 지향하고 있었고, 이를 문학 영역으로 확장시켰다. 특히 조선 후기로 오면서 가사 문학의 작가 층이 서민과 부녀자들로 크게 확대되었는데, 여성들은 가사를 통해 자신의 애환을 표출하고자 하였다. 조선시대의 여성들은 가부장제 아래 시집살이 등 억압적인 현실을 겪었지만, 자의식과 주체성도 높아져 가고 있었기에 문학을 통해 자신의 삶과 견해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시대상이 반영된 결과, 여성들의 생활 경험과 감정을 적극적으로 담아낸 다양한 가사 작품들이 창작되기 시작하였다. 이 중 '용부가'는 그 대표적인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1.3. '용부가'의 선정 이유
'용부가'의 선정 이유는 가사에 참여하는 주체가 여성이라는 점이다....
참고 자료
길진숙, 뺑덕어미와 괴똥어미의 일탈과 그 성격 : <용부가>· <복선화음가>· <심청가>의 일탈형 여성인물에 대한 고찰, 한국고전연구학회, 2009.
최상은, 조선후기 가사의 語調와 이념적 지향 : 교훈가사, 현실비판가사, 개화가사를 중심으로, 반교어문학회, 2009.
고전의이해와 감상 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김학성, 「<용비어천가>의 짜임새와 시적 묘미」, 국어국문학회, 2000, 125쪽-126쪽
배석범, 「악장(樂章)의 언어질서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1998, 37쪽-42쪽
김승우, 「龍飛御天歌의 成立과 受容, 變轉 양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5쪽-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