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새우와 고래싸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새우와 고래싸움에 대한 이해
2. 주요 학자들의 국제정치 이론
2.1. 현실주의 패러다임의 시조, 투키디데스
2.2. 구조적 현실주의자, 캐네스 월츠
2.3. 역사의 종말, 프랜시스 후쿠야마
2.4. 힘의 균형, 헨리 키신저
3. 국제정치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새우와 고래싸움에 대한 이해
국제정치는 복잡한 이해관계가 얽혀있는 영역이며, 이를 바라보는 관점 또한 매우 다양하다. 투키디데스, 캐네스 월츠, 프랜시스 후쿠야마, 헨리 키신저 등 주요 학자들이 제시한 각기 다른 국제정치 이론은 현실세계를 설명하는 데에 유용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이들의 주장을 살펴보면 국제정치를 이해하는 다양한 시각을 엿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다양한 관점들이 공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보고서에서는 제공된 문서를 바탕으로 각 학자들의 견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그 의의와 한계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2. 주요 학자들의 국제정치 이론
2.1. 현실주의 패러다임의 시조, 투키디데스
투키디데스는 현실주의 패러다임의 시조이다. 그는 인간의 역사는 되풀이된다고 생각했는데, 이는 인간의 본성이 매우 지속적이고 잘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의 저서인 「펠로폰네소스 전쟁사」에서는 전쟁의 원인, 과잉 팽창의 문제점, 강대국과 약소국 간의 관계 등 국제정치에서 당면할 수밖에 없는 많은 상황들에 대한 교훈을 제공한다.
투키디데스는 힘이 비슷한 국가들 사이에서의 전쟁은 오히려 상대적으로 힘이 약한 쪽이 강한 국가를 먼저 공격함으로써 발발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는 '제로섬 게임'으로 설명되는데, 제로섬 게임이란 참가자들의 점수를 전부 합산하면 반드시 '0'이 되는 게임을 말한다. 즉, 누군가 얻는 만큼 누군가는 반드시 잃게 되는 게임이다. 이러한 제로섬 게임의 경쟁 상태에서 힘이 비슷한 두 국가는 상대방에 대한 공포로부터 벗어나 자기 나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상대적으로 힘이 약한 쪽에서 먼저 전쟁을 일으키기 쉽다는 것이다. 실제로 아테네와 스파르타의 펠로폰네소스 전쟁 당시, 아테네의 힘의 증가를 두려워했던 스파르타가 아테네를 먼저 공격함으로써 20년간의 전쟁이 시작되었다.
투키디데스는 또한 「펠로폰네소스 전쟁사」를 통해 간접적으로 과잉 팽창에 대한 경고를 보냈다. 그는 당시 아테네를 몰락시킨 결정적 계기인 시실리 원정이 지나친 팽창이었다고 보았다. 즉, 과잉 팽창은 반드시 비극을 가져온다는 경고를 던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과잉 팽창의 문제는 미국의 예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 미국은 2차 대전 이후 유일무이한 패권을 누려왔지만, 그로 인한 후유증을 겪었다. 9.11 테러 이후 아프가니스탄 전쟁을 벌인 미국은 막대한 정치적, 경제적 손해를 입었다. 이를 통해 우리는 항상 ...
참고 자료
제로섬 게임, 나무위키, https://namu.wiki/w/제로섬%20게임, 2018.04.05.
김준형 한동대 교수, [국제칼럼] 패권확장 후유증 앓는 미국, 경향신문, 2009.12.06.
강성학, 「새우와 고래싸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