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윤리적 딜레마의 개념
1.1. 윤리적 딜레마의 정의
윤리적 딜레마는 결정해야 할 길이 두 가지 중 하나인데, 어느 쪽을 결정해도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가 나오게 되는 곤란한 상황이다. 간호현장에서의 윤리적 딜레마란, 간호사가 간호현장에서 만족스런 해결이 불가능해 보이는 어려운 윤리적 문제 혹은 동등하게 만족스럽지 않은 두 가지 이상의 윤리적 문제 중에서 한 가지를 선택하여 의사결정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 생기는 갈등을 말한다. 이러한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서 간호사는 윤리적으로 올바른 결정을 내리기 위해 자율성 존중, 악행금지, 선행, 정의 등의 간호윤리 원칙을 고려하여 윤리적 의사결정을 해야 한다. 특히 진실 말하기, 환자의 자율성 존중, 치료 중단 등의 사례에서 윤리적 갈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고 가치판단을 해야 한다. 더불어 미래 간호사가 직면할 수 있는 타 직종과의 갈등이나 환자 및 보호자의 요구에 대한 윤리적 고민도 예상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윤리적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1.2. 간호윤리에서의 윤리적 딜레마
간호윤리에서의 윤리적 딜레마는 간호사가 간호현장에서 만족스런 해결이 불가능해 보이는 어려운 윤리적 문제 혹은 동등하게 만족스럽지 않은 두 가지 이상의 윤리적 문제 중에서 한 가지를 선택하여 의사결정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 생기는 갈등이다. 이러한 윤리적 딜레마 상황은 구체적으로 비밀 유지, 환자의 자율성 존중, 심폐소생술 금지 결정, 말기환자 간호, 치료와 간호의 중단, 뇌사와 장기이식, 진실을 말하기, 임신중절 등과 관련되어 나타난다. 이 중에서 간호사들이 가장 많이 경험하는 윤리 문제는 비밀 유지와 관련된 문제이고, 가장 중요도가 높다고 인식한 윤리 문제는 환자의 자율성 존중과 관련된 윤리문제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보호자의 부탁으로 환자 본인에게 병명이나 치료 결과, 예후 등을 비밀로 하는 상황에서, 환자에게 거짓말을 하는 것이 의료인과 환자의 신뢰관계를 지키는 것보다 그 환자에게 더 나은 결과를 줄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거짓말을 하는 것이 정당화될 수 있다는 규칙 공리주의의 입장과, 의료인이 환자에게 거짓말을 하는 것이 어떠한 이유에서라도 옳지 않다는 칸트의 의무론적 입장 간의 딜레마가 발생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는 환자의 알권리와 자기결정권에 근거하여 환자에게 진실을 제공하는 것이 있다. 이처럼 간호사는 임상실무에서 윤리적 딜레마에 직면할 수 있으며, 다양한 윤리이론과 의사결정 모델을 참고하여 최선의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
2. 간호윤리의 핵심 원칙
2.1. 자율성 존중의 원칙
개인의 자율성을 최대한 존중해 주어야 한다. 자율성이란 개인이 스스로 선택한 계획에 따라 행동 과정을 결정하는 행동자유의 한 형태로 개인의 독립성, 자립성, 결정에서의 자주성 등을 말한다. 자율성에는 결정할 자유, 행동할 자유, 다른 사람의 자율성을 인식하고 존중해야 한다는 세 가지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간호사는 간호현장에서 환자의 자율성을 최대한 존중해 주어야 한다. 또한 간호사는 환자의 자율성을 존중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환자의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간호를 제공해야 한다. 이를 통해 환자의 권리와 존엄성을 지키고, 환자 중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