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세종 회화3"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세종 회화 3 수업 참관
2.1. 첫 번째 수업 참관
2.2. 두 번째 수업 참관
3. 온라인 한국어 발음 교육 앱 분석
3.1. 세종학당 회화학습 앱
3.2. 구구절절 앱
3.3. 한글 자모 교육과 발음 교육 연습 방법 비교
3.4. 공통점과 차이점
3.5. 문제점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언어 학습에서 기본적인 것은 그 언어에서 나타나는 발음을 배우는 것이다. 정확한 발음은 지식의 효과적인 전달과 의사소통에 도움을 주며 발음이 좋지 않을 경우 학습자의 실제 언어능력보다 낮게 평가받을 가능성도 있다. 한국어 발음학습은 대부분 교실수업에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교사가 수업 중에 학생들의 발음에 관심을 가지고 관찰 지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학습초기 단계에는 교실 수업에서 발음을 배울 기회가 많지만 중·고급으로 올라갈 수록 어휘, 문법에 집중하다보면 발음학습에 소홀해질 수 있다. 외국어 학습에서 발음연습은 학습자의 언어수준과 상관없이 꾸준한 연습이 필요하며 중·고급과정에서 잘못된 발음이 화석화 될 경우 불균형적인 언어를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초급부터 고급에 이르기까지 모든 단계에서 교사의 올바른 발음지도는 필수적인 것이다. 최근 학습자들은 발음학습 도움을 받기위해 다양한 온라인 프로그램을 활용하고 있다. 본론에서는 온라인상에서 이용되고 있는 한국어 발음 교육 앱 두 개를 택하여 한글 자모 교육과 그 발음 교육 연습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그 차이점과 공통점을 비교하여 기술하고,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 분석해 보고자 한다.
2. 세종 회화 3 수업 참관
2.1. 첫 번째 수업 참관
비대면으로 진행된 세종학당의 회화 3 수업 참관에서 특징적으로 보였던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수업에서는 칠판 대신 한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집중해서 읽을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있었다. 학생들이 수업 중 말하는 내용을 교수님께서 완전한 문장으로 바르게 교정해주시는 모습이 인상 깊었다.
둘째, 학생들의 문제해결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대화를 이끌어 가며 학생들의 흥미와 참여를 유도하고 있었다. 특히 학생들의 일상생활을 물어보면서 교안의 내용과 비교하여 친숙한 느낌을 주었기 때문에 편안한 분위기 속에서 수업에 참여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셋째, 비대면 수업이라는 특성상 대면 수업에 비해 학생들의 참여에 다소 부담감이 느껴지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하지만 교수님께서 학생들의 발음과 억양을 세부적으로 피드백해주고 있어 학생들의 정확한 발음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세종학당의 회화 3 수업은 비대면 환경 속에서도 학생들의 발음 연습과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 다양한 교육 방식을 활용하고 있었다. 온라인 수...
참고 자료
박기영(202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발음교육론 강의교안, 배움원격평생교육원
서울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국어교육연구소,언어교육원(2017), 한국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 2, 아카넷
구글 플레이(https://play.google.com)/세종학당 회화학습 초급/중급
구글 플레이(https://play.google.com)/구구절절 APP - 구화교육, 발음 교정, 한국어 학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