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조현정동장애 타해의 위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조현정동장애 타해의 위험
1.1. 정의
1.2. 원인
1.2.1. 유전적 요인
1.2.2. 신경생리학적 요인
1.2.3. 신경해부학적 요인
1.2.4. 심리적 요인
1.3. 증상
1.3.1. 양성증상
1.3.2. 음성증상
1.3.3. 양극성 장애 증상
1.4. 진단
1.5. 치료 및 간호
1.5.1. 치료적 환경 제공
1.5.2. 감정 표현하기
1.5.3. 인지치료
1.5.4. 행동 치료
1.5.5. 약물치료
1.5.6. 환자와 가족 교육
2. 정신간호사정
2.1. 정신간호력 조사
2.2. 신체 및 심리상태
2.3. 약물치료
3. 간호과정
3.1. 부적절한 공격성과 관련된 비효과적 충동 조절
3.2. 환경변화와 관련된 수면양상장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조현정동장애 타해의 위험
1.1. 정의
조현정동장애는 신경생물학적 부작용 반응으로 주요 뇌의 기능인 인지, 지각, 감정행동, 사회적 활동이나 대인 관계 등의 어려움을 나타내는 뇌기능장애이다. 또한 주요 우울증, 조증 또는 우울증과 조증이 혼합된 증상이 조현병과 함께 동시에 상당기간 같이 나타나는 질병을 말한다. 일정 기간 동안은 조현병 또는 기분장애 증상만 단독으로 나타나는 기간도 있다.
조현정동장애의 원인은 아직까지 명확하지 않다. 유전적 소인이 높은 질환이며 부모에서 자손에게 상속되는 경향이 있다. 가족력이 있는 경우 발병률이 높다. 뇌의 신경화학적 불균형, 면역학적 요인, 신경발달적 요인, 신경해부학적 이상 등이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또한 정신내적 영향과 의사소통 등 환경적 영향도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조현정동장애의 증상은 조현병의 증상과 우울증, 조증, 혼합형 조울증의 증상이 혼합되어 나타난다. 양성증상에는 환청, 환시, 망상 등이 있으며, 음성증상에는 정동둔마, 무언증, 무의욕증, 무쾌감증 등이 있다. 양극성 장애 증상으로는 조증 삽화기의 고양된 기분, 과잉행동, 과대망상 등과 우울 삽화기의 우울한 기분, 절망감, 무기력 등이 나타난다.
조현정동장애는 주요 우울 기분을 포함하는 우울증이 나타나고, 조증 또는 혼재성 증상 중 하나가 연속적으로 지속되며, 그 기간 동안 조현병의 진단 기준을 충족시키는 증상도 함께 나타나는 것으로 진단된다. 장애가 물질이나 의학적 상태로 인한 것이 아니어야 한다.
1.2. 원인
1.2.1. 유전적 요인
조현정동장애의 원인 중 하나인 유전적 요인은 매우 중요하다. 조현정동장애는 유전적 소인이 높은 질환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부모에게서 자손에게로 상속되는 경향이 있다. 가족력이 있는 부모에게서 태어난 경우 자손에게 조현정동장애가 발병할 확률이 매우 높다. 일란성 쌍생아에서 발병률이 40~50%인 반면 이란성 쌍생아에서 발병률은 9~15%에 불과하다. 또한 한쪽 부모만 조현병일 경우 자손에게 15%의 발병 위험이 있으나 양쪽 부모 모두 조현병이면 발병률이 35%로 크게 상승한다. 이처럼 조현정동장애는 유전적 요인이 매우 강하게 작용하는 질환으로 볼 수 있다.
1.2.2. 신경생리학적 요인
정신분열증과 기분장애를 가지고 있는 경우 뇌 속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이 정보전달에 장애를 일으킨다. 이러한 신경화학적 요인으로 인하여 양성증상은 변연계 경로에서의 도파민 과다활동으로 유발되며, 음성증상은 전두엽을 자극하는 중뇌피질경로에서의 도파민 과소활동으로 발생한다. 또한 유아기와 청소년기 시 뇌의 성숙과정을 변화시키고 뉴런에 영향을 주어 조현병의 공통적인 뇌 기능 장애를 나타내는 신경발달적 요인이 있다. 뿐만 아니라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하여 조현병이 생길 수 있다는 면역학적 요인도 제시되고 있는데, 이는 출생 시 신체적 기형이 많다는 것과 바이러스 감염 가능성이 높은 겨울과 같은 계절에 태어난 사람에게서 발병이 많다는 것으로 뒷받침된다.
1.2.3. 신경해부학적 요인
많은 조현병 환자에서 뇌장애가 발견되며, 이는 컴퓨터단층촬영술(CT)과 자기공명영상(MRI)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주요 특징은 측뇌실과 제 3뇌실의 확대, 대뇌피질의 위축이다. 이와 더불어 뇌조직이 얇아지고 뇌척수액이 줄어드는 현상도 관찰된다. 전두피질의 당대사와 산소 공급이 감소되는 것도 특징이다. 전반적으로 볼 때 전두엽의 이상은 주로 음성증상과 관련되며, 측두엽의 이상은 양성증상과 연관된다고 할 수 있다.
조현병 환자의 뇌구조적 변화는 질병의 초기 단계부터 나타나며, 이는 질병의 발병과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측뇌실과 제 3뇌실의 확대, 대뇌피질의 위축은 조현병의 대표적인 신경해부학적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적 변화는 조현병의 증상 발현과 관련이 깊으며, 질병의 경과와 예후를 예측하는 데에도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조현병 환자의 신경해부학적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진단과 치료 방향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1.2.4. 심리적 요인
프로이트는 조현병이 발달과정 중 고착, 자아기능의 결함으로 생긴 내적인 갈등으로 유발된다고 보았다. 또한 의사소통 중에서도 특히 가족 내의 비효과적 의사소통이 거론되어 왔다. 조현병 환자 가족들은 직접적이지 않은 간접적이고, 불명확하면서도 성장을 저해하는 방식으로 의사소통한다. 이러한 심리적 요인들은 조현병 증상 발현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3. 증상
1.3.1. 양성증상
환각, 망상, 와해된 사고, 와해된 언어, 극도로 혼란된 또는 긴장증적 행동 등은 조현병의 대표적인 양성증상이다. 환각은 외부 자극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실제와 같은 감각경험을 하는 것으로, 환청이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 환청은 주로 불쾌하고 공격적인 내용으로, 비난, 권고, 충고, 욕설의 형태를 보인다. 이는 환자의 무의식에 억압된 공격심, 적대감, 열등감 등이 투사되어 나타난 것이다. ...
참고 자료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main.asp
두산백과, “수면위생”,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26202&cid=40942&categoryId=32824
생명과학대사전, “수면시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31888&cid=60261&categoryId=60261
서울아산병원, “정동장애”,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79
미나, “50대 이후 수면의 중요성 5가지 및 효과적인 수면방법”, 시니어라이프, 2023.07.04., https://minassam.net/50%EB%8C%80-%EC%9D%B4%ED%9B%84-%EC%88%98%EB%A9%B4%EC%9D%98-%EC%A4%91%EC%9A%94%EC%84%B1-5%EA%B0%80%EC%A7%80-%EB%B0%8F-%ED%9A%A8%EA%B3%BC%EC%A0%81%EC%9D%B8-%EC%88%98%EB%A9%B4%EB%B0%A9%EB%B2%95/
김경희 외, 「정신건강간호학」, 현문사, 2023년, p.163~185
성미혜 외, 「간호과정의 적용」, 수문사, 2015년, p235-321.
김빛나, 양극성 장애의 근거기반치료, 한국 임상심리학회, 2019년, p427-444
전선혜, 장자, 백동환(2021), 신체활동과 수면의 질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30(2), p. 311~321,
이경자 (2022). 정신간호학 실습Ⅰ 지침서. 수문사
이경희 외 (2021). 정신건강간호학. 정문각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