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기술전수 계약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국제계약의 개념 및 필요성
1.1. 국제계약의 정의
1.2. 국내계약과 국제계약의 차이
1.3. 국제계약의 필요성
2. 국제계약의 대표적인 형태
2.1. 직접 프랜차이즈 계약
2.2. 마스터 프랜차이즈 계약
3. 국제계약 체결 시 고려사항
3.1. 당사자에 대한 확인
3.2. 준거법 및 분쟁해결절차 선택
4. 국제계약 사례 분석
4.1. LG전자의 스마트폰 산업 진출 사례
4.2. 국제 프랜차이즈 계약 사례
5. 국제계약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5.1. 국내계약과의 차이점
5.2. 계약서 작성 시 유의사항
5.3. 분쟁해결을 위한 방안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국제계약의 개념 및 필요성
1.1. 국제계약의 정의
국제계약이란 2개 이상의 주권국가 또는 법체계와 관련된 2인 이상의 당사자 사이의 의사의 합치 혹은 상이한 국가영역에 영업소를 둔 당사자 사이의 국제상거래에 관한 계약을 의미한다. 즉, 당사자 또는 내용에서의 섭외성을 가진 계약을 국제계약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국제계약은 상이한 언어, 문화, 상관습과 법률제도를 가진 당사자들 사이에서 체결되므로 어느 나라 법을 적용할지 여부가 불확실하기 때문에 이를 정하는 준거법 조항이 필요한 것이다.
1.2. 국내계약과 국제계약의 차이
국내계약과 국제계약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국내계약은 동일한 국가 내에서 체결되는 계약을 의미하는 반면, 국제계약은 서로 다른 국가 간에 체결되는 계약이다. 국내계약의 경우 단일한 법체계와 문화권 내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당사자 간의 상호 이해와 신뢰가 높은 편이다. 반면 국제계약은 서로 다른 법체계와 문화권에 속한 당사자들이 체결하는 계약이므로 당사자 간 상호 이해와 신뢰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다. 이에 따라 국내계약에 비해 국제계약에서는 준거법 선택, 분쟁해결절차 등에 대한 고려가 더욱 중요하다.
또한 국내계약의 경우 단일한 언어와 상관습을 공유하지만, 국제계약은 서로 다른 언어와 문화, 상관습을 가진 당사자들 간에 체결되므로 원활한 의사소통과 상호 이해를 위한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 특히 국제계약의 경우 주로 영문계약서가 작성되어 영미법 원칙이 우세하게 적용되는 특징이 있다.
이처럼 국내계약과 국제계약은 당사자의 국적, 법체계, 문화, 언어 등에서 차이가 있어 국제계약에서는 국내계약에 비해 보다 복잡한 고려사항이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1.3. 국제계약의 필요성
국제계약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제계약은 기업의 글로벌 활동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오늘날 기업들은 국내시장에 안주하지 않고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하여 더 큰 매출과 이익을 달성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국경을 넘나드는 다양한 거래관계가 필요한데, 국제계약은 이러한 국제 거래를 체계적으로 규율하고 관리할 수 있는 법적 기반을 제공한다. 즉, 국제계약은 서로 다른 국가의 당사자들 간 거래를 원활하고 안전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둘째, 국제계약은 서로 다른 법제와 문화권에 속한 당사자 간 계약관계를 명확히 정립하는 데 도움이 된다. 국내계약과 달리 국제계약에서는 어느 나라 법이 적용될지가 불확실하기 때문에, 당사자 간 합의에 의한 준거법 선택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국제계약에서는 언어, 문화, 관습의 차이로 인한 오해와 분쟁 가능성이 높아, 이를 예방하기 위해 계약서 작성 시 세부적인 내용과 조건을 명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국제계약은 당사자 간 권리·의무관계를 명확히 규정하고 분쟁 발생 시 대응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한다.
셋째, 국제계약은 글로벌 시장 진출의 전략적 수단이 된다. 국제계약을 통해 기업은 해외자본과 기술, 인력 등의 경영자원을 효과적으로 이동시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현지 네트워크와 유통채널에 접근할 수 있어 새로운 성장기회를 모색할 수 있다. 특히 국제 프랜차이즈 계약이나 라이센스 계약 등은 초기 투자비용이 적고 위험부담이 낮아 중소기업의 해외진출에 유용한 수단이 된다.
이처럼 국제계약은 기업의 글로벌 경영활동을 뒷받침하고, 다국적 거래 당사자 간 권리·의무관계를 명확히 하며, 시장 확대를 위한 전략적 수단으로서 그 필요성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2. 국제계약의 대표적인 형태
2.1. 직접 프랜차이즈 계약
직접 프랜차이즈 계약은 가맹본부가 해외의 가맹점과 직접 계약을 체결하여 가맹점을 직접 관리하는 형태이다. 이는 목표시장이 가맹본부로부터 인접하여 관리가 용이한 경우, 시장진입에 앞서 사전 테스트를 위한 경우에 이용되나, 국제거래의 특성상 비용이 높고 관리가 용이하지 않아서 자주 이용되지는 않는다.
가맹본부가 해외 가맹점과 직접 계약을 체결하여 관리하는 형태이므로, 가맹본부 입장에서는 시장에 대한 이해도와 통제력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시장진입 초기 단계에서 사전 테스트를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참고 자료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제공자료
백연식, LG전자 vs 퀄컴 ‘라이센스 분쟁’…LG 5G폰 운명은?, 디지털투데이, 2019
국제영문계약의 체결에 대하여 ① 법률신문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제공자료
백연식, LG전자 vs 퀄컴 ‘라이센스 분쟁’…LG 5G폰 운명은?, 디지털투데이, 2019
https://www.easylaw.go.kr/CSP/CnpClsMain.laf?popMenu=ov&csmSeq=647&ccfNo=3&cciNo=1&cnpClsNo=1&menuType=lsi&search_put= 프랜차이즈 가맹계약의 체결 및 사업의 유지
http://www.ikfa.or.kr/page/information.php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port&m201_id=10023211&local_id=10048937 프랜차이즈계약에 관한 연구
https://www.reportworld.co.kr/social/s1317367 국제프랜차이즈 계약
국제프랜차이즈계약에서의 국내 가맹점사업자 보호와 소송상 준거법*
국제프랜차이즈계약의 표준조항과 불공정거래행위
https://easylaw.go.kr/CSP/CnpClsMain.laf?popMenu=ov&csmSeq=647&ccfNo=3&cciNo=1&cnpClsNo=2 쉬운법령
https://www.law.go.kr/LSW/LsiJoLinkP.do?lsNm=%EA%B0%80%EB%A7%B9%EC%82%AC%EC%97%85%EA%B1%B0%EB%9E%98%EC%9D%98+%EA%B3%B5%EC%A0%95%ED%99%94%EC%97%90+%EA%B4%80%ED%95%9C+%EB%B2%95%EB%A5%A0¶s=1&docType=JO&languageType=KO&joNo=001100000#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9242837&memberNo=9353678 가맹점계약서
https://kfll.org/untitled-9 가맹계약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