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간은 몸에서 다양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장기이다. 간경화증은 간세포의 파괴와 재생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간의 정상적인 구조가 섬유화되고 결절로 대치되어 발생한다. 이로 인해 간 내 혈류가 원활하지 않아 문맥압이 상승하고 이에 따른 합병증이 나타난다. 간경화증은 주로 알코올성 간질환과 바이러스성 간염이 주요 원인이며, 그 외에도 자가면역성 간염, 지방성 간염, 약물 및 독성물질, 담즙성 질환, 대사성 및 유전성 질환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알코올성 간경화증과 바이러스성 간경화증의 발생 비율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간경화증의 주요 증상으로는 위장관계, 신경계, 피부계 증상 등이 있으며, 진단을 위해서는 혈액검사와 영상검사 등이 활용된다. 간경화증의 치료는 복수 관리, 출혈 관리, 비약물적 치료와 약물 치료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며, 간호사는 대상자의 증상과 합병증 예방을 위해 체계적인 간호를 제공해야 한다. 간경화증은 국내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로, 그 예방과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2. 간경화증의 병태생리
간세포의 파괴와 재생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간의 정상적인 구조가 섬유화되고, 재생결절로 대치되며 혈관 구조가 크게 뒤틀린다. 이는 간세포가 간염바이러스나 독성 물질에 노출되어 발생한 염증으로 인한 것이다. 간이 섬유화되고 조직이 결절로 변하면 혈관과 담즙 통로를 압박하고 혈관 구조가 뒤틀려 혈액이 간을 통과하기 어려워진다. 이에 따라 동양 혈관(sinusoid) 압이 상승하고 문맥압이 상승한다.
질병 초기에 간은 보통 커지고 단단하며 딱딱해지나, 병리적 과정이 진전됨에 따라 간의 크기는 오히려 위축된다. 섬유화와 재생된 결절이 맥관계와 림프성 담즙 통로를 압박하고 혈관 구조가 뒤틀려 혈액이 간을 통과하기 어렵게 되면서 혈관의 저항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문맥압이 상승하고 정맥귀환혈류가 감소하여 동맥혈액량이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기전, 교감신경계 및 항이뇨 호르몬이 활성화되어 신장혈관의 수축을 유발하여 신기능이 저하된다.
3. 간경화증의 원인과 위험요인
간경화증의 원인과 위험요인은 다음과 같다.
알코올성 간질환은 간세포에 직접적인 독성효과를 미쳐 간세포가 퇴행하고 지방, 백혈구, 림프구가 침투하여 간이 커지게 된다. 초기에는 섬유아세포가 침윤하고 콜라겐이 형성되어 상흔이 생기나 진행되면 염증과정은 감소하고 간세포가 파괴된다. 영양부족과 반복적인 알코올 섭취로 상흔조직이 간 전체로 퍼지고 간세포가 괴사되어 간에 섬유조직이 침윤되는데, 음주를 중단하면 지방침윤과 염증은 호전된다. 이는 간경화증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이다.
B형 간염은 세계적으로 간경화증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염증과정이 서서히 간 조직을 손상시켜 간경화증을 일으킨다. C형 간염도 만성질환으로 간의 상흔조직을 증가시켜 간경화증으로 진전되기까지 보통 10년 정도 걸리며, 음주를 한다면 더 빠르게 악화된다.
자가면역성 간염은 자가항체를 많이 생산하여 간에 염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이러한 만성염증으로 간이 섬유화되고, 결국 간경화증이 초래된다.
지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