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4주 1, 2강에서 정신분석상담에 대해 학습했습니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정신분석상담의 심리성적 발달단계
2.1. 구강기
2.2. 항문기
2.3. 남근기
2.4. 잠복기
2.5. 성기기
3. 고착된 단계 분석
3.1. 나의 고착 단계
3.2. 고착된 단계에 대한 이유
4. 고착 상태 극복을 위한 노력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상담은 인간 심리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매우 고전적이고 기본이 되는 이론이다. 사실 프로이트의 이론에 대한 많은 비판이 제기되어 왔으며 이에 반대되는 이론 또한 수없이 많이 등장하였지만, 프로이트 이론의 궁극적인 목적은 환자의 치유와 성장에 있다. 환자는 상담을 통해 자신을 통찰하고 혼란스러운 내면을 통합할 수 있으며 적응적이고 바람직한 행동을 실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가능성의 핵심은 프로이트 이론의 핵심인 무의식의 발견에 있다. 억압되어 왔던 무의식 속 갈등이 해결되면 환자의 역기능적인 면도 해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러한 무의식에는 프로이트가 주목한 심리성적 요인들이 깊이 연관되어 있다. 프로이트가 제시한 인간 발달단계의 이론에는 성적 리비도가 중심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이번 과제에서는 정신분석상담에서의 심리성적발달단계 중 나 자신이 고착된 것으로 보이는 단계와 그에 대한 근거, 그리고 이러한 고착 상태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2. 정신분석상담의 심리성적 발달단계
2.1. 구강기
인간은 출생 후 약 1년 6개월 동안 구강기에 해당한다. 이 시기에는 주로 입술이나 입으로부터 쾌감을 경험하게 된다. 구강기의 쾌감은 처음에는 영양 섭취라는 자기보존을 위한 활동에 의존하여 나타나지만, 점차 자율적이며 자애적인 쾌감으로 발전한다. 인간은 태어날 때 외부의 것을 흡수만 하고 뱉는 행위는 나중에 하게 되는데, 이는 인간의 근본적인 이기주의가 뿌리내리고 있음을 보여준다. 유아에 대한 보호가 이루어지지 않아 지속적인 만족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개인이 자기 운명을 능동적으로 수정할 수 없게 되며 불신감이 발달하게 된다. 낙천주의, 염세주의 등은 구강기에서 비롯된 것으로, 구강기는 유아가 생존을 위해 양육자에게 거의 완전히 의존하는 시기이기에 의존감이 발생하며, 이는 이후 자아 발달이 이루어지더라도 생애를 통해 지속되는 경향이 있다.
2.2. 항문기
인간은 생후 1년 6개월부터 3년까지의 시기에 항문이 성적 긴장과 만족을 주는 중요한 부위로 작용하게 된다. 아이는 배설에 강한 흥미를 경험하고 배설이 이루어질 때 경험하는 쾌감으로 즐거움을 느끼기 때문에 항문기라고 한다. 유아는 부모와의 관계에서 배설을 통해 칭찬이나 비난을 받게 되기 때문에 항문기부터 사회성을 의식하고 자기 신체 내부에서 분리된 대소변을 통해 자의식을 형성하기 시작한다. 유아는 부모가 배설기능 수행을 중요하게 여긴다는 사실을 알고 부모에게 사랑을 받거나 미움을 받을 힘이 자신에게 있다는 느낌을 ...
참고 자료
김춘경, 『상담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6.
류징루이, 2021, 영화 캐릭터에 나타난 정신분석학적 심리방어기제, 국내석사학위논문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p.4~27송석재, 1996, 프로이트의 도덕발달 이론에 관한 고찰, 국내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p.14~19
윤순임 외(2011). 현대상담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중앙적성출판사.
김흥규(2015). 상담심리학. 양서원.
양철수(2019).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에 나타난 사회복지 연관성 연구. 산업진흥원.
이희영(2022). 인간심리의 이해. 시그마프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