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도서관에서 성과주의 예산제도 적용"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예산제도의 의의
2.1. 예산 개념과 역할
2.2. 예산제도의 주요 기능
2.3. 예산제도의 유형
3. 성과주의 예산의 특징
3.1. 성과주의 예산제도의 정의와 특징
3.2. 성과관리와 예산의 연계
3.3. 해외 성과주의 예산제도 도입 현황
4. 도서관에서의 성과주의 예산 적용
4.1. 성과 목표와 지표의 설정
4.2. 성과 기반 예산 편성
4.3. 성과 평가와 환류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도서관과 정보센터는 국민의 정보 접근권과 알 권리를 보장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사업계획 수립과 함께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적절한 예산 확보가 필수적이다. 예산 결정에 대한 이해는 도서관의 지속적인 발전과 양질의 서비스 제공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예산제도는 정부나 조직이 재정적 자원을 계획하고 관리하기 위한 체계적인 과정으로, 재원 관리의 효율성, 정책 목표 달성, 책임성과 투명성 강화, 성과 평가 및 피드백, 경제적 안정성 및 발전, 자원 배분의 공정성 등 다양한 의의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예산제도 중 성과주의 예산제도는 성과를 중심으로 예산을 편성하고 운용하는 결과 중심적 접근 방식이다. 성과주의 예산제도는 성과 목표와 지표의 설정, 성과 기반 예산 편성, 성과 평가와 환류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를 통해 재정 운영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증대시키고자 한다.
따라서 도서관정보센터의 경영에서도 성과주의 예산제도를 적용하는 것이 유용할 것이다. 도서관 사업 단위별로 성과 목표와 지표를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예산을 편성할 수 있다. 또한 성과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개선과 환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도서관정보센터 경영의 합리화와 경제적 효율성 제고를 추구할 수 있을 것이다.
2. 예산제도의 의의
2.1. 예산 개념과 역할
예산은 정부나 조직이 재정적 자원을 계획하고 관리하기 위한 체계적인 과정이다. 예산 개념과 역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산은 재원 관리의 효율성을 높인다. 예산제도는 자원의 배분과 사용을 체계적으로 계획할 수 있게 해주며, 이를 통해 제한된 재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불필요한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둘째, 예산은 정책 목표 달성의 재정적 기반을 제공한다. 예산을 통해 각 부서와 기관은 설정된 목표에 맞춰 자원을 배분하고, 이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재원을 확보할 수 있다.
셋째, 예산제도는 책임성과 투명성을 강화한다. 예산은 사전에 계획된 사항이기 때문에, 예산 집행 후 결과를 평가하고 책임을 물을 수 있는 기준이 된다.
넷째, 예산제도는 성과 평가 및 피드백의 기초가 된다. 예산 집행 후 성과를 측정하고 평가함으로써, 다음 예산 편성 시 이를 반영할 수 있다.
다섯째, 예산제도는 국가의 경제적 안정성과 발전을 위한 기초를 제공한다. 정부는 예산을 통해 재정 정책을 수립하고, 경제 성장, 고용 창출, 사회 복지 등 다양한 분야에 필요한 자원을 배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예산제도는 자원 배분의 공정성을 고려한다.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사회의 형평성과 공정성을 고려한 예산 편성이 이루어진다.
이처럼 예산은 재원 관리, 정책 목표 달성, 책임성 및 투명성 강화, 성과 평가, 경제적 안정성 제고, 공정한 자원 배분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2.2. 예산제도의 주요 기능
예산제도의 주요 기능은 통제기능, 관리기능, 계획기능, 감축기능이다.
통제기능은 예산을 통해 재정지출을 통제하여 정부 부서나 기관의 비용 지출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이다. 관리기능은 예산을 통해 정부 조직이나 부서의 성과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해준다. 계획기능은 예산을 통해 정부의 정책목표와 계획을 구체화하고 실현할 수 있게 해준다. 감축기능은 예산 절감을 목적으로 하여 불필요한 지출을 제한하거나...
참고 자료
기획재정부 - [시사경제용어사전] 성과주의예산제도 (https://www.moef.go.kr/sisa/dictionary/detail?idx=1450)
지방공기업평가원 - 지방공기업의 사업별 예산제도 도입과 필요성 (https://www.erc.re.kr/webzine/vol35/sub17.jsp)
시민참여예산 - 성과주의 예산제도 < 예산의 이해 < 자료실 | 서울특별시 참여예산 (https://yesan.seoul.go.kr/sch/sch030304.do)
국회예산정책처 - 예산과정에 있어서 참여민주주의의 한계와 발전과제: (https://www.nabo.go.kr/system/common/JSPservlet/download.jsp?fCode=33314072&fName=[%EC%A0%9C6%EA%B6%8C%20%EC%A0%9C1%ED%98%B8]%205.%20%EC%98%88%EC%82%B0%EA%B3%BC%EC%A0%95%EC%97%90%20%EC%9E%88%EC%96%B4%EC%84%9C%20%EC%B0%B8%EC%97%AC%EB%AF%BC%EC%A3%BC%EC%A3%BC%EC%9D%98%EC%9D%98%20%ED%95%9C%EA%B3%84%EC%99%80%20%EB%B0%9C%EC%A0%84%EA%B3%BC%EC%A0%9C.pdf&fBid=27&flag=bluenet)
네이버 블로그 - 성과주의 예산제도의 특징과 장점 -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judas2743/221653889848)
해피캠퍼스 - 성과주의 예산제도에 대해 요약하고 장점과 단점을 기술하시오 (http://www.happycampus.com/report-doc/23590568/)
Wikipedia - 성과주의예산제도 (https://ko.wikipedia.org/wiki/%EC%84%B1%EA%B3%BC%EC%A3%BC%EC%9D%98%EC%98%88%EC%82%B0%EC%A0%9C%EB%8F%84)
[8] 한국조세재정연구원 - 우리나라와 외국의 성과주의 예산제도 (https://www.kipf.re.kr/cmm/fms/FileDown.do?atchFileId=FILE_000000000010689&fileSn=0)
국가 오픈액세스 플랫폼 - 한국 공공도서관 예산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https://accesson.kr/kslis/assets/pdf/9569/journal-53-3-5.pdf)
OAK 국가리포지터리 - 국립중앙도서관 운영사업 성과분석 평가 연구 (https://oak.go.kr/nl-ir/bitstream/2020.oak/275/1/%EA%B5%AD%EB%A6%BD%EC%A4%91%EC%95%99%EB%8F%84%EC%84%9C%EA%B4%80%20%EC%9A%B4%EC%98%81%EC%82%AC%EC%97%85%20%EC%84%B1%EA%B3%BC%EB%B6%84%EC%84%9D%20%ED%8F%89%EA%B0%80%20%EC%97%B0%EA%B5%AC.pdf)
해피캠퍼스 - 도서관정보센터경영론 1 _성과주의 예산제도에 관해 논술 ... (https://www.happycampus.com/report-doc/30149875/)
레포트샵 - 도서관정보센터경영론1_성과주의 예산제도에 관해 논술 ... (https://www.reportshop.co.kr/rpts/1736603)
김귀환, 대학도서관의 예산관리 정책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박완규 외, 성과주의예산제도의 발전과 성인지예산제도에 대한 함의 : (위탁과제_한국재정학회),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6.
심의영, 지방정부 성과주의예산제도 효과성 제고를 위한 제도 운영실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박선영, 제도적 동형화 압력과 조직 문화가 성과주의 예산제도 운영의 효과성 및 내재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재정성과관리담당 공무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도서관정보센터경영론 강의안
건국대학교 공공경제학의 이해 강의안
‘OECD 국가들의 성과주의 예산제도 우수 사례, 한국재정정보원 2019년 12월호